{{{#!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eae,#2284fd><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005eae,#2284fd;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일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마을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평촌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구로디지털단지역) | ||
종점행 | 첫차 | 04:35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4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5~8분 | 주말배차 | 9분 | ||
운수사명 | 삼영운수 | 인가대수 | 32대[1] | ||
노선 | 평촌차고지 - 평촌역 - 농수산물시장 - 대원아파트 - 계원예술대학교 - 내손e편한세상 - 내동.내손초등학교[단독] - 벌말초등학교 - 인덕원역 - 관양중학교 - 안양종합운동장 - 비산사거리 - 대림대학교 - 안양예술공원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구로디지털단지역 |
2. 개요
삼영운수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갈뫼지구와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잇는다. 왕복 운행거리는 39.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0년대 중반까지는 배차간격도 이 정도로 짧지는 않았고, 차량도 중형버스로 운행하던 평범한 노선이었다. 여담으로 처음부터 의왕 갈뫼지구가 기점이었지만, 구도색 시절에는 인덕원역 ~ 디지털단지로 표기했었다.
- 2006년 6월에 5713번이 인덕원역에서 비산동차고지[3]로 단축되면서 수요가 늘었다. 이후 2007년 7월 1일 수도권 통합 환승제가 시행되어 수요가 크게 늘었고, 덕분에 증차도 이뤄졌다.
- 2009년에 수요가 급격히 증가해서 삼영운수에서 두 번째로 수익이 많은 노선이 되었다.[4]
- 2010년에 3대, 2012년에 1대, 2019년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22년 1월 9일부터 구로디지털단지역 환승센터가 폐쇄되면서 중앙버스전용차로 상행정류장 옆에 위치한 회차노선 정류장에 정차한다.
- 2022년 7월 7일에 '대원아파트 - 농수산물시장 - 동안고교 - 평촌역 - 평촌차고지' 구간이 연장되었다. 삼영운수 공지사항 이와 동시에 인가대수 5대가 증차되었다.[5] 연장된 구간은 동일한 시기에 33번에게 숲속마을 회차 구간을 내어준 1번과는 회차 선형 중에서 평촌역 - 꿈마을단지 구간이 사실상 동일하게, 기존에 동일 경로를 다니던 3번과는 초원한양아파트 - 농수산물시장 구간이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삼영운수 공지사항
4. 특징
- 한때 소속 차고지가 고천영업소라서 점심시간, 첫막차 시간대에 공차회송을 했었다.[6] 고천차고지가 폐쇄된 현재는 1번과 함께 평촌차고지에서 주박한다.
- 출근시간에 내손동 부근에서부터 인덕원역까지는 말 그대로 헬게이트.
- 비산사거리에서 석수역 방향으로 1번 국도(경수대로)를 따라 운행한다.[7]
- 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