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편 영화 | |||||||||||
아이스 에이지 | 아이스 에이지 2 | 아이스 에이지 3 | 아이스 에이지 4 | |||||||||
아이스 에이지 5 | 벅의 대모험 | 아이스 에이지 6 | ||||||||||
단편 영화 및 시리즈 | ||||||||||||
매머드 크리스마스 | 알 찾기 대소동 | 스크랫 이야기 |
<colbgcolor=#002c47><colcolor=#ccdeea> 아이스 에이지 2 (2006) Ice Age: Meltdowm | |
| |
장르 | 애니메이션, 코미디, 어드벤처 |
감독 | 카를로스 살다나 |
각본 | 피터 골크 게리 스왈로우 짐 헤치트 |
제작 | 로리 포트 |
기획 | 크리스 멜러댄드리 크리스 웨지 |
음악 | 존 파월 |
촬영 | 레나토 팔카오 |
편집 | 해리 히트너 |
출연 | 레이 로마노 존 레귀자모 데니스 리어리 숀 윌리엄 스콧 퀸 라티파 외 |
제작사 | 블루스카이 스튜디오 20세기 폭스 애니메이션 |
배급사 | |
스트리밍 | 디즈니+ |
개봉일 | |
상영 타입 | 2D |
상영 시간 | 91분 |
제작비 | 8000만 달러 |
상영 등급 |
[clearfix]
1. 개요
아이스 에이지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2. 시놉시스
지구 온난화 현상이 심해지자 빙하가 녹기 시작한다. 매니, 디에고, 시드는 해빙기의 대홍수를 피해 다른 동물들과 함께 이동을 하고 그 과정에서 맘모스들이 거의 멸종했음을 전해 듣는다. 피난 도중 맘모스 엘리를 만난 매니 일행은 반가움을 금치 못한다. 그러나 이럴수가! 어릴 적 부모를 잃고 주머니쥐와 함께 자란 맘모스 엘리는 자신이 주머니쥐라고 믿고 있는 것이다! 매니는 멸종 위기의 맘모스 종족을 살리기 위해 엘리와의 종족보존 프로젝트를 시도하지만 오히려 엘리의 반감을 사게 되는데...
3. 예고편
4. 등장인물
- 매니 역 - 레이 로마노 / 설영범
- 시드 역 - 존 레귀자모 / 이인성
- 디에고 역 - 데니스 리어리 / 홍성헌
- 크래시 역 - 숀 윌리엄 스콧 / 장광
- 에디 역 - 조시 펙 / 김관진
- 엘리 역 - 퀸 라티파 / 장우영 / 유카
- 대장 독수리[1] 역 - 윌 아넷 / 김병관
홍수가 날 것을 예고해준다. 사실 이전에 매니가 얘기하였으나 다른 동물들이 무시하고 비웃었는데 사실이라고 말해준다. 계곡 끝에 있는 통나무 배를 타면 살 수 있다고 언급하며 홍수에 살아남는 이들이 없다면 시체들을 잡아 먹겠다고 말한다.
이후 아르마딜로가 행진 중에 사고가 일어났다는걸 알자 "오! 그럼 시체들도 있겠군"이라며 늙은 독수리와 시체들을 먹으러 현장으로 간다. 며칠 후 다른 독수리들과 같이 'Food Glorious Food'[2] 노래를 떼창한 뒤 늙은 독수리와 같이 누가 행진 중 부주의로 죽는지 감시한다.
- 토니[3] 역 - 제이 레노 / 유강진
통칭 '왕뻥' 토니. 아르마딜로로 말이 매우 빠르고 사기를 잘 친다. "자기 엄마도 팔아먹을 녀석이야."라는 매니의 디스에 "얼마 줄 건데?"라고 받아친다. 자신도 몰랐으나, 초반에 빙하가 녹으며 사방이 물바다가 될 거라고 뻥친 것이 사실로 입증된다. 스투라는 이름의 글립토돈을 조수로 부리는데, 괴수들에게 희생당해 껍데기만 남자 "아이스 에이지 최초의 이동식 주택을 판매합니다!"라며 그것을 챙겨 피난길에 오른다.
- 스크랫 역 - 크리스 웨지
- 수컷 프리키, 엘크 아빠 역 - 제임스 시
- 촐리 역 - 앨런 튜딕
- 크레테이셔스, 메일스톰 역 - 프랭크 웰커[uncredited]
두마리의 성급하고 적대적이며 공격적인 성격의 어룡과 장경룡. 본래는 빙산 안에 갇혔으나, 빙산이 녹아 탈출해 매니 일행이 물 속이나 물가에 있으면 공격한다. 크기는 상당히 큰 편으로 둘 중에 작은 쪽인 크레테이셔스는 매니보다 몸길이가 길고 큰 쪽인 메일스톰은 덩치가 매니보다 크다. 매니 일행을 공격하다 커다란 돌에 의해 수장된다.[8] 등장 횟수와 분량은 적으나 섬뜩한 OST로 강렬한 임팩트를 남긴다. - 크레테이셔스(Cretaceous)[9]
보라색 가비알+어룡류의 모습을 한 괴수로, 메일스톰과 달리 육지에 올라올 수 있어 공격을 전담한다. 모습은 등에 지느러미가 있고 주둥이는 사르코수쿠스를 연상시킨다.
크레테이셔스의 종족인 어룡의 실제 모습은 악어보다는 돌고래의 파충류 버전처럼 생겼다. 그리고 크레테이셔스의 어룡 종류로 보이는 심보스폰딜루스 같은 원시 어룡은 실제로는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이크티오사우루스의 경우 등지느러미 모양이 다르다. 게임 아이스 에이지 빌리지에는 '메트리'라고 불리는 적대적이지 않은 동족이 등장하나 종족은 메트리오링쿠스로 나온다. - 메일스톰(Maelstrom)[10]
초록색 장경룡의 모습을 한 괴수. 크레테이셔스와 달리 육지에 올라올 수는 없으나, 대신 몸집이 커 탱커 같은 역할을 한다.
참고로 메일스톰의 종족인 플리오사우루스류는 실제로 목은 짧으나 주둥이가 뭉툭한 것이 아닌 악어처럼 뾰족하며, 메일스톰의 체형은 플리오사우루스보다는 어류인 둔클레오스테우스나 고래인 리비아탄을 더 닮았다. 게임 아이스 에이지 빌리지에는 적대적이지 않은 동족이 등장하나 종족은 플라코두스로 나온다.
5. 평가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
신선도 55% | 관객 점수 71%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c1d1f> [[IMDb|
]] ||
||<-3><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bgcolor=#333><tablebordercolor=#333>
||
메타스코어 68 / 100 | 점수 7.8 / 10 | 상세 내용 |
6. 흥행
미국에서 1억 9533만 621달러, 해외에선 전작의 2배가 넘는 4억 6005만 달러를 벌었다. 세계 흥행 2위는 전작과 같은 독일로 5937만 달러를 벌어들였고 영국에서는 5232만 달러, 프랑스에서는 4842만 달러를 벌었으며 브라질, 이탈리아 같은 나라들에서도 전작의 흥행 성적을 크게 넘어섰다. 일본에선 전작의 절반인 795만 달러에 그쳤으며 한국에서는 약간 늘어난 530만 달러를 벌었다.7. 기타
- 전문 성우 외에 카메오 격으로 송유근(비버 소년 역), 조오련, 하일성, 엄홍길(딱정벌레 아빠 역), 최열(모울혹 역) 등이 더빙했다. 최열은 나쁘지 않은 연기를 보여줬으나 나머지는 경험이 없다보니 평가가 안 좋다. 덤으로 오디션을 통해 성우 지망생인 박하늘과 유효경을 캐스팅했다.[11]
- 크라잉넛, 최정원, 이희아 등[12]은 독수리들이 부르는 'Food Glorious Food(오! 위대한 고기)' 합창에 참여했다. 기사들을 보면 원래는 록 버전으로 편곡하여 녹음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어 원어처럼 뮤지컬 형식이 되었다.[13]
- 공식 비디오 게임을 출시했다.
[1] 원 배역명은 Lone Gunslinger Vulture.[2] 소설 올리버 트위스트를 바탕으로 만든 뮤지컬 올리버!에 나온 동명의 곡을 패러디한 곡으로 한국에서는 '오! 위대한 고기'로 번안했다.[3] 원 배역명은 Fast Tony.[4] 수컷 황소도 연기했다.[5] 원 배역명은 Traffic Vulture.[6] 참고로 원어 더빙과 한국어 더빙 말투가 뭔가 안내 음성이나 스포츠 경기 해설에서 들을 수 있을 법한 말투다.[uncredited] [8] 작중에는 나오지 않으나, 소설에 의하면 사체는 테라토르니스들이 먹어 치웠다고 한다.[9] 백악기를 뜻하는 영단어.[10] 소용돌이를 뜻하는 영단어.[11] 각각 비버 소녀와 새 소녀를 맡았다.[12] 김재우, 이상익, 김기현, 김혜능, 이재은, 양꽃님, 전혜선, 고은.[13] 원어는 랜디 크렌쇼(Randy Crenshaw), 에디 레먼 보디커(Edie Lehmann Boddicker), 에멜린 레먼 보디커(Emmeline Lehmann Boddicker), 모니크 도넬리(Monique Donnelly) 등이 참여했는데 크레딧에는 이름을 찾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