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8:17:42

아무르고슴도치

아무르고슴도치
Amur hedgehog, Manchurian hedgehog
파일:8238488234.jpg
학명 Erinaceus amurensis
(Schrenk, 18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진무맹장목(Eulipotyphla)
고슴도치과(Erinaceidae)
유럽고슴도치속(Erinaceus)
아무르고슴도치(E. amurensi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

1. 개요

고슴도치의 일종. 대한민국에 자생하는 고슴도치는 이 종이다.

2. 특징

몸길이는 16~29cm고 체중은 0.6~1kg이다.

체모가 변형되어서 생긴 가시가 몸에 돋혀 있으며, 전체적으로 억세며 가로줄 모양의 어두운 무늬가 있다. 귓바퀴가 짧고 주둥이가 돼지처럼 뾰족하며 발톱이 잘 발달했다. , 다리, 꼬리가 짧고 몸집은 뭉툭하다.

러시아아무르주연해주, 중국만주, 한반도에 분포한다. 일본가나가와현시즈오카현에도 인위적으로 도입되었다. 초원, 침엽수림, 활엽수림에서 주로 서식하고 야행성으로 낮에는 구멍이나 바위틈에 숨는다. 10월에 동면에 들어간다.

천적으론 맹금류[1], 붉은여우, 시베리아족제비, 검은담비 등이 있으며, 이들과 맞닥뜨리면 네다리를 배 부위에 모아 공처럼 몸을 둥글게 하여, 등에 난 가시털로 자신을 방어한다.

육식 위주의 잡식성이다. 녹초와 열매는 물론 곤충이나 곤충유충, 거미, , 도마뱀, 아무르장지뱀, 민달팽이 등을 잡아먹는다.

번식기를 제외한다면 철저히 단독생활을 고수한다. 새끼는 한 번에 4~6마리 정도 낳는다. 사육 상태 기준 수명은 8년 정도다.


[1] 검독수리, 수리부엉이, 참매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