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15:30:15

아문

아몬(이집트 신화)에서 넘어옴
1. 이집트 신화의 신
1.1. 아마르나 혁명
2. 생물 분류 단계3. 중국, 조선의 옛 관청의 이름

1. 이집트 신화의 신

파일:호루스의 눈.svg
이집트의 신
 
{{{#FFFFFF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90000, #A23925 20%, #A23925 80%, #79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엔네아드(Ennead)
아툼 (, 케프리)
테프누트
게브 누트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
하토르 (세크메트, 바스테트)
호루스
아누비스
토트 마아트 세스헤트 프타
아문 무트 콘수 아무네트
아포피스 암무트 타와레트
네이트 세베크 사티스 아누케트
크눔 헤케트 멘히트 넵프누트
세르케트 우라에우스 아톤
메제드 마프데트 베누 웨프와웨트
바넵데데트 베스 세커 메렛세게르
네크베트 하피
바제트 네페르툼 넴티 아나트
임호텝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Amun.svg.png 파일:1ECD8092-2276-41E3-B250-C6DC4A9CCFFD.jpg
그림 문자로 묘사된 아문 숫양의 모습으로 조각된 아문
신들의 왕이자 바람의 신인 고대 이집트의 신. 아몬(Amon)이나 아멘(Amen)이라고도 읽는다. 히에로글리프로는 갈대 단음 문자 i와 게임판 복음 문자 mn, 소리 보조 문자 물결 n을 합쳐서 imn이라 표시하였는데, 고대 이집트인들은 야마누라고 발음하였으리라 추정한다. 이름의 뜻은 '감추어진 자'로, 본래 공기의 신이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1] 개구리 머리 또는 그냥 개구리로 표현되곤 했으나, 나중에 제대로 된 사람의 머리를 갖추게 되었고, 개구리 속성은 헤케트(Heket) 여신이 가져갔다. 신왕조 말기가 되면 숫 머리를 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늘어나며, 아몬을 제우스와 동일시한 그리스인들에 의해 숫양 이미지가 지중해 세계에 널리 전파되었다.[2]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자신의 조각상에 숫양 뿔을 단 사례나 암모나이트의 명명 등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다만,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는 여전히 제우스-아몬 으로서 숭배되기는 하였으나, 아몬 신앙이 네일로스 삼각지대와 하 이집트에서는 그닥 강하지 않은데다가 동물 머리가 그리스인들에게 거부감을 불러와서 습합신 세라피스 숭배가 장려되었다.

원래는 룩소르의 지방신 출신으로, 헤르모폴리스 신화에 등장하며 최초의 8신 중 한 명이다. 아몬은 아마우네트와 더불어 공기의 속성을 띄있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상징한다. 고왕국 시대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으나 룩소르를 수도로 삼은 신왕국이 융성하면서 아문을 최고신으로 삼으면서 아몬 신앙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주신이 되면서 수많은 파라오들의 노멘에 그의 이름이 등장하게 된다. 아메넴하트(Amenemhat; 아멘 신 앞에 있는 자), 아멘호테프(Amenhetep; 아멘 신이 만족하는 자, 아멘이 기뻐한다) 등의 이름이 그것이며, 그 파라오의 저주로 유명한 투탕카멘(Tutankhamen; 아멘의 살아있는 형상)도 마찬가지다. 나중에는 태양신 와 결합해 '아문 라'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아문은 태양신이 아니며 사실상 별개의 신이다. 라의 경우 아문 뿐만이 아니라 호루스와도 결합하여 라-호라크티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의 대신전은 카르나크에 있다. 최초로 조성한 건 아메넴헤트 1세지만 그 뒤를 이은 수많은 파라오들이 미친 듯이 탑 문과 기둥, 그리고 오벨리스크를 경쟁하듯 지어 댔고, 현재는 10개가 넘는 탑 문부터 참로를 따라 늘어선 숫양 스핑크스, 대열주실을 가득 채운 수많은 거대한 기둥들, 하트셉수트 여왕의 것을 비롯한 오벨리스크들 등 중왕국 시대에서 신왕국 시대까지의 이집트 미술의 정수를 모아둔 곳이 되었다. 근처에 부인인 무트(Mut) 여신전과 아들인 달의 매 콘수 신전도 있다. 아문의 신전 인근에 염화암모늄이 많이 보였기 때문에 암모니아 관련 화합물은 이 아문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봐도 무방하다.

고대 이집트에서 '아메누'라고 발음하다가 아멘으로 변형되어 기독교의 기도주문인 아멘이 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학계에서는 정설로 취급하지 않는다. 기독교의 아멘은 알레프로 시작하지만 아문의 아멘은 요드로 시작하며 두 어휘의 용법[3]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연결고리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 등장하는 어휘 중 아문과 관련이 있는 것은 뜻밖에도 베냐민[4]이다. 고전 이집트어히브리어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데, 아문과 베냐민은 아프리카아시아조어인 *yamin-(오른손)에 그 기원을 두고있다.

마케도니아 왕국알렉산더 대왕이 이집트를 정복한 후에 스스로 아문의 후예라고 칭했는데, 이 때문에 이집트의 주군을 신격화하던 이집트의 관례에 들어맞아 파라오로 추대됐다.

1.1. 아마르나 혁명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아문-라의 숭배 절정기에는 아문-라 신전의 사제들이 가진 돈과 권력이 너무 강대해져 파라오를 위협하는 수준이 되었는데, 이 때문에 당시 파라오였던 아멘호테프는 아문-라 신앙과 모든 다신교 신들을 부정하고 아톤을 유일신으로 삼는 유일신교를 창제한다.[5] 이때 사제들의 입김이 많이 불던 룩소르에서 아마르나라는 신도시로 천도까지 하고 파라오 자신의 이름도 아크나톤으로 개명했다.

하지만 종교개혁은 너무나고 갑작스럽게 이루어진데다 일반 백성들의 공감도 거의 못 얻어내어 최종적으론 실패한다. 아크나톤의 치세 동안에는 그래도 그럭저럭 굴러갔지만, 아크나톤이 죽자 다시 롤백. 아마르나는 버려지고 수도도 다시 룩소르로 돌아갔다. 아크나톤의 다음 파라오인 투탕카텐(아텐의 살아있는 상)은 결국 사제들의 압박하에 아크나톤이 했던 모든 개혁을 되돌리고 이름도 다시 투탕카멘(아멘의 살아있는 상)으로 바꿔야 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fertiti_30-01-2006.jpg

아마르나 예술의 대표작으로 유명한 네페르티티의 흉상. 베를린 신박물관에서 전시중. 갓 오브 워 헤라 닮았다

그래도 모든 것이 헛수고는 아니었던 것이, 유일신 사상은 결국 근동에도 흘러들어갔다는 주장이 있긴 있고, 아마르나 혁명시기에 태동했던 아마르나 예술이란 문화적 걸작을 남겨 지중해권 여러 문명에 영향을 미쳤다.[6]

2. 생물 분류 단계

생물 분류 단계 문서 참고.

3. 중국, 조선의 옛 관청의 이름

관아의 문이라는 말을 줄여서 아문(衙門)이라고 했다. 본래 중국에서 6부 아래에 있는 특정 부서의 단위였으며, 조선에는 구한말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면서 아문제가 시행되었다.


[1] 이 3문자로 표기할 경우 '감춰진' 신이기 때문에 결정 문자를 붙이지 않으며, 라메시드 왕조 즈음 아문 신 자체를 뜻하는 문자가 따로 생긴다.[2] 그리스인들은 이집트의 동물 머리를 한 신들을 티폰을 피해 이집트로 달아난 올림포스 신들이 동물로 변신한 것이라고 믿었는데, 제우스가 숫양으로 변신해 아문이 되었다고 믿었다.[3] 아멘은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는 뜻으로 명사가 아니다. 또한 아멘이 여기저기서 일종의 후렴구로도 쓰이는 만큼 아멘이 아문에서 갈라진 단어라면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도 아문을 후렴구나 주문으로 썼다는 연결고리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물증은 발견된 바가 전무하다.[4] 요셉의 유일한 친형제이자 야곱의 막내아들이다.[5] 아멘호테프는 고대이집트어로 '아문이 기뻐한다'라는 뜻이다. 본격 신성모독[6] 기존 이집트 예술은 부조에 있어 상징성과 규범을 우선시했다면 아마르나 예술에선 있는 그대로의 사실성을 중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