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실존했던 공룡}}}에 대한 내용은 [[스피노사우루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실존했던 공룡: }}}[[스피노사우루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피노사우루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피노사우루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쥬라기 공원 3에 나온 스피노사우루스}}}에 대한 내용은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쥬라기 공원 3에 나온 스피노사우루스: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스피노사우루스 Spinosaurus | |
<nopad> | |
<colbgcolor=#D80000><colcolor=#ffffff> 학명 | 스피노사우루스 아이깁티아쿠스Spinosaurus aegyptiacus |
출생 | 이슬라 소르나, 첫번째 쥬라기 공원 연구실험실 |
체고 | 4m ~ 4.9m (신경배돌기 제외) |
길이 | 12m ~ 13.4m |
체중 | 8 ~ 10t 초과 |
포효 소리 | |
등장 작품 | 《쥬라기 공원 3》 《쥬라기 월드: 백악기 어드벤처》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1. 개요
인젠에서 보유하고 있는 프로필 |
|
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에 등장하는 스피노사우루스.
2. 작중 행적
2.1. 쥬라기 공원 시리즈
2.1.1. 쥬라기 공원 3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쥬라기 월드 시리즈
2.2.1. 쥬라기 월드
여러 가지로 모자란 연출과 더불어, 티라노사우루스를 죽였다는 것 자체로 스피노사우루스는 팬덤에게 비난받는 공룡이 되어버렸고,[1] 3편 데뷔 후 10년도 넘게 지난 지금까지도 심심하게 까이고 있으며, 현실의 스피노사우루스 역시 갈수록 수생 계열로 분류가 옮겨지면서 더 이상 티렉스와 같은 육상 포식자 계열로 보기 어려워짐에 따라[2] 제작진들도 등돌린 팬덤을 다시 끌어들임과 동시에, 대중의 인지도를 파악했는지 결국 4편인 쥬라기 월드에서는 22년 만에 시리즈에 복귀한 렉시와 새로 등장한 인도미누스 렉스에게 완전히 밀렸다.[3]그래서인지 작중 등장은 골격이 쥬라기 월드 광장에 전시된 채로 나오는 게 전부. 단순한 골격과 화석만이 아닌 살아있는 복원체를 주로 전시하는 쥬라기 월드에서 골격만 전시된 것도 모자라, 그것도 대나무 줄기를 가져다가 대충 세워놓은 듯한 볼품없는 모습이다.
흥행 증대를 위해 막대한 돈을 들여 유전자 합성까지 꾀할 만큼 새로운 공룡 확보에 혈안이 되어있던 쥬라기 월드 운영진들이 스피노사우루스를 전시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3편의 그랜트가 말한 인젠사의 비공개 문제로 세간에는 알려지지 않았거나, 재복원을 할 정도의 상품 가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어쩌면 쥬라기 월드에 바리오닉스와 수코미무스같이 다른 스피노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이 두 종류나[4] 있어서 운영진 입장에선 스피노사우루스는 확보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후 설정에 의하면 마스라니사가 쥬라기 월드 건설을 위해 이슬라 소르나를 방문해서 공룡들을 확보했다는 내용도 있고, 이노베이션 센터의 홀로그램 리스트에 스피노사우루스가 있는 것을 보면 최종적으로는 개체를 확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 골격은 영화 후반부에 티라노사우루스가 등장하면서 박살낸다. 쥬라기 공원 3의 타이틀 로고가 이 스피노사우루스의 화석이었다는 점에서 볼 때, 쥬라기 공원의 최고 인기 캐릭터인 렉시에게 화석이 산산조각난다는 점은 3편에서 뒤바뀌게 된 마스코트의 자리를 티라노사우루스가 3편의 후속작에서 탈환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다.[5][6]
사실 이게 아니더라도 쥬라기 월드의 최종 보스인 인도미누스 렉스를 상대로 쥬라기 공원 시리즈 전통의 인기 캐릭터인 랩터들이 주인공 오웬과 힘을 합쳐서 치열하게 싸우고 클레어와 미첼 형제가 저 옆에서 그걸 보며 긴장감을 드높이고 있는 와중에, 저 한구석에 들러리인 양 화석만 덩그러니 놓여있는 광경이 무척이나 을씨년스럽다. 스피노사우루스라는 공룡에게 쥬라기 공원 3은 인지도를 높인 작품이었지만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팬들과 제작진들은 스피노사우루스를 흑역사 이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만도 서러운 노릇이건만, 쥬라기 월드 유튜브 채널에서 부활절 기념으로 SNS에 렉시가 박살낸 골격이 쥬라기 공원 3의 스피노사우루스라는 충격적인 정보를 공개했다. 출처 링크. 결국 3편의 그 스피노사우루스가 어떤 이유에서인가 죽고 뼈만 남은 채 전시되었다가 렉시와 인도미누스에게 박살나는 추태까지 당하게 됐다. 일부는 이에 대해서 마스라니가 스피노사우루스를 전시하기 위해 포획을 시도했었는데 저항이 심해 마지못해 사살했거나, 혹은 이슬라 누블라로 이주까지는 성공했으나 어떠한 계기로 개체가 폐사해 결국 골격만이라도 회수해서 전시한 것이라고 추측하였지만...
3편에서 나왔던 개체와는 두상이 다르고 골격이 지나치게 작다는 점과 공식 스토리 보드에선 진짜 골격이 아니고 골격 모형으로 설정되었으며, 해당 이스터 에그 영상에서 "The Spinosaurus from Jurassic Park 3" 라고 적혀있어 '쥬라기 공원 3의 등장한 스피노사우루스' 라고 번역이 되지만 3편의 등장한 같은 그 스피노사우루스라고 확정짓기엔 무리가 있었다.
여담으로 이것저것 잔뜩 섞어서 탄생한 인도미누스 렉스에 스피노사우루스의 유전자는 반영되지 않았다. 인도미누스 렉스에게 들어간 수많은 유전자의 종류가 모두 파악되지 않은 데다가, 강력한 앞발과 크기를 볼 때 스피노사우루스의 유전자가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지만 정확한 근거는 없다.
직접적인 출연은 없지만 중간중간에 이스터 에그처럼 간접적으로 등장하는데, 그 빈도가 의외로 꽤 높은 편이기도 하다. 극 초반에 그레이의 방에 파란색으로 칠해진 스피노사우루스 그림이 걸려있고, 중간에 모사사우루스 먹이쇼를 펼칠 때 관객 중 한 명이 갈색으로 칠해진 스피노사우루스 물통을 들고 있는데, 그 모습이 3편의 개체와 굉장히 흡사하다.
2.2.2.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제작 초기부터 팬들 사이에서는 스피노사우루스가 데뷔부터 이미지를 망친 점과 더불어 예고편에 안 나왔기에, 본작에서도 출연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다가 폴른 킹덤 DPG 바이럴 사이트에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류로부터 학대를 당해왔거나 멸종된 공룡들을 표시한 리스트을 공개했는데, 학대 또는 멸종된 공룡들을 가리키는 붉은 글씨로 이름이 적힘으로써 스피노사우루스 또한 과거에 학대를 당했거나 폴른 킹덤 시점에선 멸종한 공룡들 중 하나로 보인다.[7]
놀랍게도 뒷이야기에 따르면 본래 출연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제작 초기에 티라노사우루스와 스피노사우루스의 재대결을 요구한 팬의 요청이 있었는데, 콜린 트러보로 감독이 그 요청에 "고려해보겠다"고 답했었다. 즉, 초기에는 이를 진짜로 시행할 계획이었던 것. 현재는 2편을 트러보로가 아닌 바요나 감독이 연출했기 때문에, 해당 티렉스와의 재대결 문제가 추진되지 않았고, 콜린 본인이 연출할 쥬라기 월드 3으로 미뤄둔 것이라는 루머도 돌았었다.
컨셉아트와 공식 발언에 의하면 초기 시나리오상 스피노사우루스의 행적은 크게 둘로 나뉘었는데, 첫번째는 자이로스피어를 탑승한 주인공 일행을 갑툭튀해서 습격하다가 렉시와 마주해 재대결을 펼치고 결국 패배하는 거였으며, 두번째는 폭발 도중 자이로스피어를 탄 일행을 위협하다가 어디선가 날아온 화산탄에 몸이 관통사당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첫번째 역할은 카르노타우루스에게, 두번째 역할은 알로사우루스에게 내어주면서[8] 출연하지 못하게 된 것. 그렇게 스피노사우루스는 영원히 못 보게 된 줄 알았지만...
2.2.3. 쥬라기 월드: 백악기 어드벤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스피노사우루스(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쥬라기 공원 3#|]]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4.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직접 등장은 없었고, 앨런 그랜트 박사의 작업실에 스피노사우루스 뼈 모형이 장식되어 있었다. 이게 상당히 오묘한게 스피노사우루스는 쥬라기 공원 3에서 그랜트를 몇번이고 죽일뻔한 공룡이다.
제작 초기엔 최종 전투에 참전도 고려되었으나 무산되었다. 등장하지 않은 이유는 백악기 어드벤처 시즌 5에서 죽을 예정이었기 때문이라 하는데, 백악기 어드벤처에서 스피노사우루스는 멀쩡히 살아남았기에 이는 되도않는 변명으로 취급받으며 대차게 까였다.
또 몰타 암시장에서 참수당한 스피노사우루스의 잘린 목이 걸려있는 장면도 나올 예정이었지만 이 역시도 무산되었고 이 소식을 들은 팬들은 어쩌면 당연하게도 "이게 시리즈 인기 캐릭터 중 하나인 공룡에게 해야 할 대우냐"며 감독을 비판했다. 진짜 나왔더라면 같은 이유로 영화의 평가만 더 깎아먹었을 것이다. 이처럼 기획 단계에서 스피노사우루스의 죽음이 고려되는 일이 한두 번이 아니라 국내 팬들은 스피노를 가리켜 죽어도 죽어도 부활하는 예수피노라 부르며 농담거리로 쓸 정도다.
영화의 최종 전투가 매우 조잡하고 초라하게 나오자 아예 스피노사우루스가 참전하는 팬메이드 영상들도 나오고있다.
2.3.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 | |
스트라이퍼 (Striper) | 헌터 (Hunter) | 룬 (Rune) |
What the hell are those?
조라 베넷: 저것들은 대체 뭐죠?
They're helping the Mosasaur. Defend territory, stalk, hunt.
헨리 루미스: 모사사우루스를 돕고 있는 거에요. 영역을 지키고, 추적, 사냥을 하는거죠.
None of what you just said is good.
조라 베넷: 당신이 한 말 중에 좋은 게 하나도 없잖아.
조라 베넷: 저것들은 대체 뭐죠?
They're helping the Mosasaur. Defend territory, stalk, hunt.
헨리 루미스: 모사사우루스를 돕고 있는 거에요. 영역을 지키고, 추적, 사냥을 하는거죠.
None of what you just said is good.
조라 베넷: 당신이 한 말 중에 좋은 게 하나도 없잖아.
쥬라기 월드 시리즈 3부작에선 스피노사우루스가 코빼기도 모습을 비추지 않아 팬들의 아쉬워하는 반응이 매우 많았었는데,[9] 이번엔 그 아쉬움을 한풀이라도 하듯 무려 3마리가 바다로 보이는 곳에서 등장한다.[10] 모사사우루스를 돕고 있다고 하는데, 사용된 DNA가 모사사우루스와 같거나[11], 모종의 사유로 협력해서 사냥하는 상리공생 관계인 듯.[12]
2014년 이전의 복원도를 기반으로 디자인되었던 전작의 개체와는 달리 2020년도 이후의 복원도를 어느 정도 반영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크기도 티라노사우루스보다 더 작은 최신 고증을 따랐는지 기존의 개체보다 더 작아졌다. 또한 전체적인 색상은 기본적으로 황색을 띈다.
다만 고증을 어중간하게 반영한데다 목이 너무 짧아서 못생겼다면서 불호를 표하는 의견이 많으며, 차라리 고증은 엉망이더라도 기존 디자인을 쓰는 게 나았을 지도 모르겠다는 의견도 많다. 팬들 뿐만 아니라 고생물학자들 사이에서도 비판 의견이 나왔는데, 고생물학자 토머스 홀츠 및 데이브 혼은 두상 복원 형태는 쥬라기 공원 3이 더 정확하다고 지적하였으며, 귓구멍이 너무 큰 것과 더불어 콧구멍이 어디 있냐고 묻는 등의 비판을 하였다. 다른 학자들 역시 홈메이드 무비 몬스터인 줄 알았다거나 처음엔 괜찮아 보였는데 금방 식었다는 식의 반응을 보였다. #
3. 피규어/스태츄
- 잃어버린 세계 개봉 당시에 나온 스피노사우루스 완구. 당시 스피노사우루스의 복원도처럼 스피노사우루스 특유의 길쭉한 악어 머리 대신 평범한 수각류의 머리를 달고 있다.
- 쥬라기 월드 개봉에 맞춰 해즈브로에서 출시한 피규어. 당시 해즈브로의 쥬라기 월드 라인업은 전반적으로 평가가 좋지 않은데 이 제품도 평이 좋지 않다. 이후 파란색으로 재도색한 버전이 출시되었다.
-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레고 제품 76976에 레고 피규어가 동봉되어 있다. 레고 쥬라기 월드 라인업은 조형 돌려막기가 심해 기가노토사우루스의 경우 인도미누스의 머리 조형을 그대로 사용하였는데, 스피노는 웬일로 기존에 출시된 바리오닉스의 머리 조형을 재활용하지 않고 새로운 조형을 만들었다.
- 마텔에서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의 개체의 액션 피규어 제품을 만들었는데, 꼬리를 흔들 수 있는 기믹이 있다.
4. 기타
- 스티븐 스필버그가 제작한 TV 드라마 테라 노바에서 '엠피로사우루스(Empriosaurus)'라는 가상의 육식공룡이 등장하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스피노사우루스와 거의 똑같이 생겼다. 최대 크기의 육식공룡이라 언급되는 것도 그렇고, 불에 놀라서 도망가는 장면도 쥬라기 공원 3를 오마주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
- 쥬라기 월드: 얼라이브에는 영화를 바탕으로 만든 스피노사우루스와 피부색이 다른 2세대만 존재했지만 최근에는 고증에 충실한 실존했던 스피노사우루스인 아이깁티아쿠스 종도 출연하여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 등장한 모든 육식공룡들중 유일하게 쥬라기 공원 버전과 실존 버전이 존재하는 공룡이 되었다.
-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서는 영화와 비슷한 디자인과 색이 다른 2세대 외에도 영화 3편의 그 개체가 추가로 출시되었다. 작품 내외로 3편의 개체는 따로 불리는 호칭이 없다보니 이름은 그냥 '스피노'로 출시되었다.[13]
[1] 앞서 언급한 인지도 상승은 일반적인 관객이나 고생물 마니아에게 해당되던 사항이었으며, 티라노사우루스를 시리즈의 상징으로 여겨오던 쥬라기 공원 시리즈 팬덤에서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3편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대우했다.[2] 물론 쥬라기 공원의 공룡들이 원본과 거리가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현실에서의 공룡들과 완전히 떼놓고 보기도 어렵다. 해당 공룡들의 현실에서의 이미지는 그만큼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 차라리 벨로시랩터처럼 독창적인 존재감과 특유의 캐릭터를 확보하며 인기를 끌었다면 얘기가 달랐겠지만, 스피노사우루스는 그에 비해 작중 보여준 임팩트가 약한 편이었다.[3] 영화가 개봉하기 이전부터 티라노사우루스 렉스와 인도미누스 렉스가 최종결전을 할 것이라는 예측은 널리 퍼져 있었는데, 대결 도중에 예상치 못한 제 3자가 합세한다는 루머가 돌았으며, 이 제 3자가 바로 스피노사우루스가 아니냐는 추측이 나돌았다고 한다. 결국 이 제 3자의 포지션은 벨로시랩터의 것으로 밝혀지면서 논란은 종식되었다.[4] 영화상에 등장하지는 못했으나 책자에 수록되어 있으며 공식 일러스트 사진까지 있다.[5] 여담으로 쥬라기 월드 개봉 후 쥬라기 공원 3의 블루레이 커버가 스피노사우루스에서 티라노사우루스로 바뀌어 판매가 되고 있다. 쥬라기 시리즈를 모두 섭렵한 일부 팬들은 오히려 스피노사우루스에서 티라노사우루스로 바뀐 것에 무척이나 화를 냈지만. 도미니언 개봉 직전 출시한 스틸북에서도 그대로 티렉스 화석을 이미지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6] 그리고 추후 쥬라기 월드 트릴로지는 모두 티라노사우루스 화석의 이미지로만 사용되었다.[7] 이후 백악기 어드벤처에서 콘 회장 일당한테 조종을 받으며 학대를 받은 것이 사실로 드러났지만 켄지에 의해 멘타 섬이 비밀리에 감춰지면서 대중들은 스피노사우루스를 사실상 멸종된걸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8]
알로사우루스로 확정되기 전에는 무려 기가노토사우루스를 등장시킬 예정이었다고 한다.[9] 대신 외전작 애니메이션인 백악기 어드벤처에서는 시즌 4부터 매우 높은 비중으로 등장했다.[10] 이름은 각각 스트라이퍼, 헌터, 룬이다.[11] 악어나 왕도마뱀의 DNA로 보인다.[12] 현실에서도 곰치와 그루퍼가 협력해서 사냥하는 사례와 아라비아늑대와 줄무늬하이에나가 굴까지 같이 쓰며 함께 생활하면서 같이 사냥하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바다뱀, 문어, 무명갈전갱이 등의 사례도 포함된다.[13] 렉시, 버크, 도우, 랩터 4자매 등 다른 네임드 개체들은 모두 작중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진화할수록 색과 무늬가 화려해지는 게임의 다른 공룡들과 달리 네임드 개체들운 진화해도 작중 외형이 그대로 유지되고 대신 색깔 오오라가 생긴다.
알로사우루스로 확정되기 전에는 무려 기가노토사우루스를 등장시킬 예정이었다고 한다.[9] 대신 외전작 애니메이션인 백악기 어드벤처에서는 시즌 4부터 매우 높은 비중으로 등장했다.[10] 이름은 각각 스트라이퍼, 헌터, 룬이다.[11] 악어나 왕도마뱀의 DNA로 보인다.[12] 현실에서도 곰치와 그루퍼가 협력해서 사냥하는 사례와 아라비아늑대와 줄무늬하이에나가 굴까지 같이 쓰며 함께 생활하면서 같이 사냥하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바다뱀, 문어, 무명갈전갱이 등의 사례도 포함된다.[13] 렉시, 버크, 도우, 랩터 4자매 등 다른 네임드 개체들은 모두 작중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진화할수록 색과 무늬가 화려해지는 게임의 다른 공룡들과 달리 네임드 개체들운 진화해도 작중 외형이 그대로 유지되고 대신 색깔 오오라가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