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스타크래프트에서 나오는 프로토스의 전술로, 주로 저그전에서 사용된다. 아칸 + 리버 + 하이템플러[1] 같이 방사 피해를 주는 유닛으로 이루어진 조합을 말한다. 저 유닛들이 가스를 많이 먹는 만큼 보통 미네랄만 먹으며 높은 체력으로 탱킹을 해주는 질럿까지 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2. 설명
보통 기본 빌드는 원게이트 더블넥서스 이후 질템, 드라템으로 운영을하다가 멀티를 먹고 포톤캐논 도배와 하이템플러 몇기, 혹은 리버 1~2기 로 수비하며 전환한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토스가 3~4가스를 돌리지 못하면 조합 자체가 안 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이 조합에서 리버, 아칸, 하이템플러는 모두 가스를 많이 먹는 유닛이고 이들 유닛이 모이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2]
대 저그전에서의 결전 병기이자 최종병기로, 저그 지상군유닛들 중에는 아칸과 리버, 그리고 그 틈에 조합된 하이템플러와 소수의 다크 아칸을 상대할 수 있을 만한 유닛이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3]
이 조합을 일단 성공적으로 구축하게 된다면, 프로토스 입장에서는 지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스플래시 프로토스를 쓰지 않고 그저 드라템만을 고집하고 유지하면 하이브를 간 이후의 저그, 즉 아드레날린 업그레이드가 된 저글링과, 울트라리스크, 디파일러 등을 상대할 방법이 없다.#
그래서 저그는 프로토스를 상대로 프로토스가 이 조합을 완성시키기 전에 빨리 게임을 끝내버리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자 핵심이다. 서로 반땅먹고 200대 200싸움 하면 저그가 대부분은 패배하며, 멀티 차이를 1개 가량 내는데 성공해도 프로토스가 이 조합을 성공적으로 갖추게 된다면 결국 유닛들 하나하나의 질이 월등히 뛰어난 이런 프로토스의 조합 병력들에게 결국 게임을 패배할 위험이 높게 되므로 이 시점까지 간다면 프로토스와의 멀티 수 차이를 2개 이상은 내도록 해야 한다.
2.1. 아칸
아칸 같은 경우는 아시다시피..테란전에는 쓰레기입니다. 하지만 저그전에서 공 3업된 아칸 5마리, 10마리 모인다? 조합 안깨집니다, 개사기에요. 울트라 일단 상대도 안되고요, 저글링은 붙지도 못해, (그나마)히드라, 러커로 아칸을 깨야되는데 그것 또한 쉽지 않을거야. 왜냐면 아칸만 혼자다니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공짜스톰을 쓰고 아칸으로 만들면 공짜아칸. 원플러스 원이기 때문에, 이것 또한 스펙이 좋은건 팩트긴 해요, 아칸 사긴데? 아칸.
프로토스 프로게이머 장윤철 언급# 6분 48초부터
프로토스 프로게이머 장윤철 언급# 6분 48초부터
스플래시 프로토스 조합을 갇추는 데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병력 유닛이다. 이 다수의 아칸이 없이는 프로토스에게 게임이 매우 어렵다.[4][5] 하지만, 이 후반 시기까지 오게 되서 프로토스에게 병력으로 다수의 아칸이 일단 갇추어지게 된다면 다수의 아칸들은 저글링 물량과 울트라리스크 물량 모두의 담당 일진 역할을 제대로 담당하게 되어버리기 때문에 아칸의 존재 자체만으로 게임 후반 저그 유저의 저글링과 울트라리스크 병력의 사용 빈도를 어렵게 만들어버린다. 아칸에게 상성상 유리한 유닛이 저그에는 히드라리스크 + 럴커 물량 이 단 2개가 전부인 이상[6] 아드레날린업 저글링의 생산을 포기하고 히드라리스크와 럴커를 쥐어짜내야 하는데, 이러면 프로토스의 다수의 하이 템플러들이 지져대는 스톰과 리버의 공격에 정말 눈물나게 약해진다.
2.2. 하이 템플러
(럴커의 장점을 설명하며), 그치만, 하이템플러를 뛰어넘을 순 없습니다 여러분, 하이템플러는 개사기 유닛이에요, 만능입니다. 얘가 없으면 개임이 진행이 안되요 여러분
프로토스 프로게이머 장윤철 언급 #
프로토스 프로게이머 장윤철 언급 #
더 말할 필요가 없는 명실상부한 저그전에서의 최강의 핵심 유닛이자 프로토스의 진정한 데미지 딜러 유닛이다. 사이오닉 스톰은 저그의 거의 모든 지상 병력을 상대로 매우 , 그리고 가장 강력한 마법 스킬이며[7], 저프전이 후반에 들어서게 되면 프로토스도 최소한 5가스 이상은 차지하고 있으며, 베스핀 가스는 무한 자원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러한 하이템플러들의 숫자가 정말 많아지게 된다. 그만큼 프로토스 병력은 사이오닉 스톰을 잔뜩 장전하고 있가는 뜻이며, 이 사이오닉 스톰은 한두번 갈기는 정도만 해도 저그의 대부분의 지상병력들인 저글링, 히드라리스크, 럴커를 상대로 매우 강력한 마법이고, 이러한 저그 유닛들의 허약한 생명력을 보조해줄 수 있는 디파일러의 마법인 다크스웜 또한 하이 템플러의 사이오닉 스톰은 절대로 막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무효화시켜버릴 수 있기까지 하다. 보통 다수의 아칸으로 저그의 저글링들을 녹여버리고, 나머지 히드라리스크나 럴커들은 하이템플러의 스톰으로 계속해서 처치해내는 것이 핵심이자 일반적이다.
2.3. 리버
하이 템플러와 아칸에 비하면 저프전 후반에서의 존재감이 조금은 낮긴 하지만[8] 어쨋든 저프전에서는 게임 후반부터 들어서 리버가 3~4기 이상 셔틀과 함께 등장하게 되는 순간 저그의 다수의 럴커로 도배된 평지 조이기 라인을 매우 안정적이고 간단하게 처치해버릴 수 있어진다. 프로토스 버전의 시즈 탱크인 것과 거의 마찬가지인 유닛으로, 프로토스의 입장을 난감하게 하는 저그의 다수의 럴커밭을 강제로 철거하는데 이만큼 성능이 좋은 유닛이 없다.[9]디파일러의 다크 스웜 마법도 무시하기 때문에 리버를 상대로 전혀 효과가 없다.], 이에 저그 또한 작정하고 자신의 저그 병력의 거의 모든 지상 공격 유닛들을 동원하여 리버를 점사해서 처치하려고 해도, 현실은 그 리버들의 앞을 다수의 아칸들과 탱킹용 질럿 다수 + 그리고 하이템플러의 넘쳐나는 사이오닉 스톰들이 떡하니 지켜주고 있기 때문에 저그는 할 것이 없다.
2.4. 다크 아칸
스플래시 프로토스 조합을 지탱하는 강력한 보조 마법유닛. 제 아무리 스플래시 프로토스라고 할 지라도 보조 유닛으로 이 유닛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면' 게임이 좀 어려울 수 있다. 다크 아칸은 그 자체만으로도 저그의 모든 마법유닛들의 카운터이기 때문에, 저그전에서 후반부로 갈 수록 최소한 2기 이상은 필요하다. 다크스웜이나 플레이그를 뿌리는 디파일러를 마나 50밖에 안드는 피드백으로 즉사시켜버려서 원콤을 내버릴 수 있으면서도, 게임이 극후반까지 가게 되면 저그 유저도 퀸을 써서 하이템플러들을 브루들링으로 제거하려고 하는데, 이 다크아콘을 통해 퀸 또한 피드백을 통해 즉사적 원콤을 낼 수 있어서 상당히 효과적이다. 또한 다크 아콘의 마엘스톰은 교전 중 저그의 여러 유닛들을 묶어둘 수 있어서 중요한 싸움에서 상당히 효과적이다.[10] 최후반에 맵의 모든 자원이 다 떨어지면 천천히 마나 150이 찰때마다 마인드 컨트롤로 디파일러, 퀸, 울트라리스크 등의 저그의 고급 유닛들을 공짜로 하나씩 뺏어서 합류[11]시키기라도 하면 저그에게는 더이상 뒤가 없어진다. 즉, 프저전 최후반 시간을 무조건 프로토스의 편으로 만드는 최종병기.3. 용례
처음으로 선보인 것은 2001년의 황영재. 다만 그 당시에도 상당히 쓰기 어려웠다.[12] 하지만 2008년대 이후부터는 드라템만으로 디파일러가 나온 하이브 저그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스플래시 프로토스의 필요성도 높아져 현재는 저프전이 후반까지 진행될 경우 거의 모든 프로토스 유저들이 사용한다.4. 스타크래프트 2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쓸만한 스플래시 공격 유닛이 줄었기 때문에 사장되었다. 리버가 거신으로 대체되었고, 커세어는 래더에서는 안 나온다. 이후 스플래시 공격을 할 수 있는 분열기가 추가됐긴 하지만 더더욱 쓰기 힘든 편. 그래서 사실상 분열기를 뺀 거신+집정관+고위 기사를 스플래시 토스로 취급한다. 자매품으로 레이저토스가 있다.[1] 여기에 보조형 마법 유닛으로 다크 아콘도 들어간다.[2] 아칸은 가스를 300이나 소모하는 유닛인 것과 마찬가지고, 리버는 다수를 양산하기 위해서는 200/200이라는 값비싼 자원의 로보틱스를 2개이상 건설해야 한다.[3] 저글링은 아칸의 공격, 리버의 공격, 하이템플러의 스톰 등에 떼죽음을 당하는 처지이며, 히드라리스크 또한 리버의 공격과 하이템플러의 스톰에 크게 취약하며, 럴커는 리버의 긴 사거리를 이용한 공격과 하이템플러의 스톰에 유닛 상성상 크게 약하고, 디파일러의 다크 스웜 또한 하이템플러의 스톰과 리버의 공격에는 그 영향을 받지 않아서 별다른 쓸모가 없다. 디파일러가 뿌리는 플레이그 또한 아칸 위주로 병력이 조합된 프로토스를 상대로 큰 타격을 입히기 힘들다. 거기에 디파일러는 스플래시 프로토스 조합을 같춘 프로토스 유저가 병력들 사이에 한두기씩 끼워놓은 다크 아칸의 피드백에 의해 원콤으로 죽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울트라리스크의 경우에는 그 유닛 자체만으로 아칸과 리버를 상대로 상성이 불리해 카운터를 당하는 처지여서 너무나 약하다.[4] 질럿 + 드라군은 풀업에 아드레날린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저글링에게 매우 취약하며, 하이 템플러 또한 저그 유저가 일부 저글링들을 빼돌려서 하이 템플러를 노려 동귀어진시키는 식으로 소모시켜버리게 되면 프로토스의 손해가 커지기 때문[5] 게다가 질드라템 조합은 게임 후반부로 가게 되면 저그의 다수 울트라리스크+저글링의 목동저그 병력에도 힘싸움상으로 좀 취약하다.[6] 디파일러의 다크 스웜도 있긴 하지만, 다크 스웜이 쳐진다면 아칸이 잠시 빠지면 그만이고, 그리고 그 다크스웜 자체도 이미 아콘으로 변신하기 이전 단계의 하이템플러들이 지져대는 사이오닉 스톰을 절대로 막아줄 수가 없기 때문에 저테전이라면 몰라도 저프전에서는 별로 성능이 좋은 마법이 아니기도 하다.[7] 저프전은 보통 저그의 프로토스 상대로의 우위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긴 하지만, 이러한 사이오닉 스톰이라는 매우 뛰어나고 강력한 마법의 존재 때문에 저그의 입장에서도 프로토스전은 종족 상성이고 뭐고를 떠나서 애초부터 이기기가 매우 어려운 종족전이다.[8] 이러한 이유는 하이템플러, 아칸의 사정과는 다르게 리버는 다수로 생산할 수 있는 유닛이 아니기 때문이다. 리버를 생산할 수 있는 건물 자체가 자원을 200/200씩 차지하는 거금이 드는 로보틱스이기 때문[9] 리버의 스캐럽 공격은 버로우된 럴커를 지켜줄 수 있는[10] 덩치가 큰 울트라리스크만 하더라도 최대 4마리 가량이 묶인다.[11] 빼앗는 즉시 배신자 유닛이 처단당해서 아군에 합류시키지 못하더라도 이득이다.[12] 이와 관련한 일화도 있는데 PC통신 시절 채정원과 김동준이 황영재에게 깝죽대면서 "스플래시 토스 보여주세요" 하고는 했다고. 결국엔 서로 붙었는데 상대방의 전략을 알고 시작하니 당연히 황영재가 패배했고, 황영재는 후에 이를 알고서 "그게 너였냐!" 하고 일갈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