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3:11:38

스파이럴(피겨 스케이팅)

스파이럴 시퀀스에서 넘어옴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3c3b6e,#141425> 피겨 스케이팅 기술 ||
필수 요소
데스 스파이럴 리프트 스텝 시퀀스 스핀
점프 코레오 시퀀스 트위스트 리프트 아이스 댄스 요소
연결 요소
베스티 스쿼트 스파이럴 스프레드 이글 스플릿 점프
왈리 점프 이나 바우어 캔틸레버
스파이럴
파일:거쉰스파이럴.gif
파일:비엘만 스파이럴.gif
김연아의 스파이럴
이름스파이럴(Spiral)
약자SpSt[1], SpSq[2]
유형연결요소
1. 소개2. 역사3. 방법4. 자세별 이름
4.1. 자세별 사진
5. 평가 방법

[clearfix]

1. 소개

스파이럴은 피겨 스케이팅에서의 연결요소이다. 발레에서 아라베스크에서 유사하다.

2. 역사

2009-10 시즌까지는 레벨에 따라서 점수가 주어지는 여자 싱글과 페어의 필수요소인 스파이럴 시퀀스로 불렸지만, 2010-11 시즌부터 코레오 스파이럴로 불리게 되며 레벨은 1로 고정이 되었고, 점수도 또한 2점으로 고정되었다. 그러나 2012-13 시즌부터는 남자싱글의 코레오 스텝과 합쳐지며 코레오 시퀀스로 대체되었고, 이후 스파이럴은 단지 피겨 스케이팅의 요소로 바뀌었다.[3]

3. 방법

한쪽 다리를 엉덩이 높이 위로 올린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깊은 인 엣지와 아웃 엣지를 이용한다. 선수들은 움직이면서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빙판을 활주한다. 가장 기본적인 스파이럴 포지션은 프리렉을 엉덩이 높이 이상으로 올린 포지션이다. 많은 선수들이 다리를 최대한 높이 들어올리려고 하지만, 프리 렉의 높이보다 중요한 것은 다리를 완전히 뻗고 상체도 스트레칭 상태를 유지해주는 것이다.

4. 자세별 이름

4.1. 자세별 사진

파일:아라베스크 스파이럴.jpg파일:비엘만 스파이럴.jpg파일:크로스 그랩 스파이럴.jpg파일:Y 스파이럴.jpg
아라베스크 스파이럴비엘만 스파이럴크로스 그랩 스파이럴Y 스파이럴
파일:샬롯 스파이럴.jpg파일:캐리건 스파이럴.jpg파일:스키드 스파이럴.jpg파일:팬 스파이럴.jpg
샬롯 스파이럴캐리건 스파이럴스키드 스파이럴[5]팬 스파이럴

5. 평가 방법

한쪽 다리가 엉덩이 높이 위로 올라가 있어야 한다. 2009-10 시즌까지는 스파이럴 시퀀스라 하여 엣지의 변화, 선수의 활주 방향, 그리고 프리렉의 위치[6]에 따라서 레벨을 평가했다. 또한 선수는 하나의 자세마다 3초를 유지해야 했다. 미관상 아름다운 자세는 물론 엣지의 깊이, 빠른 속도, 아이스 커버리지 등을 가산점 요소로 평가하였다.

2012-13시즌 이후로는 과거의 스파이럴 시퀀스처럼 길게 수행할 일이 없어져 스파이럴을 1~2초 남짓한 시간 동안 짧게 선보인 뒤 다른 안무를 한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유연성이 극도로 필요한 어려운 자세인지 아닌지만을 평가하는 사람이 생겨났고, 이런 기준을 과거의 선수들에게 마저 천편일률적으로 들이대는 경우까지도 발생한다. 그러나 2009-10 시즌 이전까지 활동했던 선수들은 스파이럴을 길게 복합적으로 수행해야했기 때문에 그렇게 단순하게 평가할 수가 없었다. 기술의 구사 시간이 길었기 때문에 한 자세로 활주를 하다 속도가 떨어지기가 매우 쉬웠고, 그래서 빠른 속도나 속도의 유지 등을 주의 깊게 평가했다. 또한 중간에 자세와 엣지를 바꾸어야 했기 때문에 그에 걸맞는 엣지 컨트롤을 요구했던 기술이었다.

[1] 2003/04 ~2005/06 시즌[2] 2006/07 ~ 2009/10 시즌[3] 이러한 개정에 대해서는 의견이 많이 갈리는데, 우아한 스파이럴 동작은 피겨의 또다른 상징 중 하나이지만 선수의 실력이 부족할 경우 프로그램의 질을 떨어뜨리고 경기를 지루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4] 왼손으로 오른쪽 다리, 오른손으로 왼쪽 다리[5] 이 스파이럴은 사진의 포지션만 보면 캐치풋 스파이럴 이지만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의 경기를 보면 스파이럴 포지션을 한 뒤 방향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6] 포워드, 백워드, 사이드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