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3c3b6e,#141425> 피겨 스케이팅 기술 ||
필수 요소 | |||
데스 스파이럴 | 리프트 | 스텝 시퀀스 | 스핀 |
점프 | 코레오 시퀀스 | 트위스트 리프트 | 아이스 댄스 요소 |
연결 요소 | |||
베스티 스쿼트 | 스파이럴 | 스프레드 이글 | 스플릿 점프 |
왈리 점프 | 이나 바우어 | 캔틸레버 |
피겨 스케이팅 스핀 | ||||
업라이트 스핀 USp | 카멜 스핀 CSp | 싯 스핀 SSp | 레이백 스핀 LSp | 컴비네이션 스핀 CoSp |
피겨 스케이팅 스핀 | |
| |
2019 JGP 프랑스에서 레이백 스핀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위서영[1] | |
유형 | 필수요소 |
[clearfix]
1. 개요
이름 그대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기술 요소이다.2. 종류
2.1. 자세에 따른 구분
스핀을 도는 자세는 크게 업라이트(U), 카멜(C), 싯(S) 세 가지의 기본 자세로 나눈 카테고리가 개설되어있다. 각 자세의 세부 유형에 따라 다시 카테고리가 나뉘며, 컴비네이션 한정으로 넌 베이직 카테고리 스핀을 활용할 수 있다.2.1.1. 업라이트 스핀
2.1.2. 싯 스핀
2.1.3. 카멜 스핀
2.1.4. 레이백 스핀
레이백 스핀은 업라이트 스핀의 한 갈래로 보통의 경우에는 업라이트 스핀으로 인정하지만, 레이백 스핀이 속한 카테고리만을 활용한 스핀을 별도로 레이백 스핀으로 지정하고 있다.2.1.5. 컴비네이션 스핀
업라이트, 카멜, 싯 스핀이 조합된 스핀이다.2.2. 스텝 포함 여부에 따른 구분
하나의 스핀 앞뒤나 중간에는 스텝이나 점프가 들어갈 수 있다. 스핀 직전에 점프를 했는지에 따라, 스핀 중간에 발을 바꾸기 위한 스텝 하나가 있었는지에 따라 크게 4가지로 구분하며, 그 외에 스핀을 꾸미는 스텝의 삽입 여부나 위치는 선수의 자율에 맡긴다.2.2.1. 플라잉 스핀
스핀 하나를 선보일 때 점프를 한 직후 스텝 없이 곧바로 스핀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을 플라잉 스핀이라 부르고, 자세별 스핀 구분자 앞에 F라고 표기하여 플라잉 스핀임을 나타낸다. 한편 하나의 스핀을 선보일 때, 중간에 발을 바꾸어 양발로 스핀을 도는 것을 보여줄 수도 있다. 이런 스핀을 체인지 풋 스핀이라 하며, 구분자는 C이다. 점프도 하고 양발도 사용하면 플라잉 체인지 풋 스핀이 되며, 구분자는 FC이다. 가령 플라잉 컴비네이션 스핀의 구분자는 FCoSp이고, 체인지 풋 업라이트 스핀이라면 CUSp가 되며, 플라잉 체인지 풋 카멜 스핀은 FCCSp가 된다. 한 번의 스핀에 점프와 체인지 풋 모두 없다면 아무런 구분자도 붙지 않고 자세에 따른 구분자만 사용한다.플라잉 스핀의 도입 방법에 따라 난이도가 갈린다. 여러 플라잉 도입 법이 있지만 그중 어려운 난이도로 인정받는 도입법을 해야 레벨이 하나 올라간다. 아래 목록은 여러 플라잉 도입법을 나열한 것으로, 어럽다고 인정받는 도입은 전부 볼드체 처리를 하였다. 설명 기준은 오른발잡이이다.
- 레귤러 플라잉 카멜
유일하게 어렵다고 인정받지 못하는 플라잉 도입법이다. 공중에서 카멜 자세가 만들어지고, 그 중 어렵지 않은 보통의 도입이라는 의미에서 레귤러 플라잉 카멜이라고 한다. 레귤러 플라잉 카멜 이후 카멜 스핀이 아닌 다른 자세의 스핀을 할 수도 있으므로 도입 플라잉 카멜 스핀과는 명칭만 비슷할 뿐 전혀 다르나, 레귤러 플라잉 카멜 도입 이후 카멜 스핀을 주로 수행하는데 그런 스핀을 플라잉 카멜 스핀이라고 부르게 되기는 한다. - 데스 드롭(=플라잉 카멜=플라잉 오픈 악셀)
어려운 형태의 플라잉 카멜로, 데스 드롭으로 주로 알려져 있다. 악셀과 유사하게 도입한 뒤 오른발이 아래로 오면 왼쪽 다리가 높게 뻗으며 공중에서 카멜 자세가 만들어진다. - 플라잉 싯
공중에서 싯 자세가 만들어진다 하여 플라잉 싯이다. 플라잉 카멜(=데스 드롭)과 마찬가지로 악셀처럼 도입하며, 왼발을 접어 싯 자세를 만들고나면 왼발로 떨어진다. 마찬가지로 플라잉 싯 도입 이후 싯 스핀이 아닌 다른 스핀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플라잉 싯 스핀과 명칭만 비슷할 뿐이나, 주로 싯 스핀을 이어서 수행하다보니 플라잉 싯 스핀이 되기는 한다. - 버터플라이
무용의 버터플라이(선자)와 거의 동일하다. - 토 아라비안
버터플라이 도입을 하기 전 토픽으로 도움닫기를 하면 토 아라비안이 된다. - 플라잉 리버스 싯(=플라잉 악셀 싯=플라잉 체인지 싯)
플라잉 싯을 수행한 뒤 이미 접혀있는 왼발이 아닌 뻗어진 오른발로 착지를 하면 플라잉 리버스 싯이다. 플라잉 리버스 싯부터 그 아래로 나열된 도약법은 구사하는 선수를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 백워드 플라잉 싯
버터플라이처럼 도입하나 오른쪽 다리를 이용하여 도약하지 않고 왼쪽 다리를 몸 뒤쪽 방향으로 차서 공중에 뜨며, 나중에 뜨는 오른쪽 다리를 접어서 공중에서 싯 자세를 취한다.
2.2.2. 체인지 풋 스핀
체인지 풋 스핀에서는 점프를 통해 발을 바꾸면 고난이도로 인정받아 레벨을 하나 올릴 수 있다.2.2.3. 플라잉 체인지 풋 스핀
2.3. 홀드의 유무에 따른 구분
'홀드'는 한 쌍의 스케이터가 어떻게 서로를 잡고 있는지를 일컫는 단어이므로 싱글 스케이팅에서는 쓰이지 않는 용어이다.페어 스케이팅 / 아이스 댄스에서는 이 구분이 유의미하게 적용된다. 두 사람이 각자의 축을 잡고서 같은 자세로 솔로 스핀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두 사람이 서로 꼭 붙어서 수행하는 스핀이 있다. 전자를 '솔로 스핀'이라 하며, 후자는 페어 스케이팅에서는 '페어 스핀', 아이스 댄스에서는 '댄스 스핀'이라고 한다. 아이스 댄스에서는 솔로 스핀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솔로 스핀은 페어 스케이팅에서만 볼 수 있다.
싱글 스케이팅에서는 혼자서 스케이팅을 하기 때문에 홀드가 존재할 수 없고, 따라서 싱글 스케이터가 수행하는 스핀은 전부 솔로 스핀이지만 싱글 스케이팅 특성상 유의미한 용어가 아니다.
2.4. 종목별 스핀 지정
남녀 싱글 스케이팅에서는 쇼트와 프리에서 각각 서로 다른 스핀을 3번 수행해야 한다.페어에서는 쇼트에서 1번 프리에서 2번 수행해야 하는데, 이때 쇼트에서는 솔로 스핀을, 프리에서는 페어 스핀을 각각 1번씩 수행한다.[2]
아이스 댄스에서는 프리 댄스에서 1번 댄스 스핀을 수행해야 한다.
3. 싱글 스케이팅
3.1. 레벨 업 요건
- 어려운 변형 자세로 스핀
- 위에서 설명한 각 자세(카멜, 싯, 업라이트 + 레이백)의 어려운 변형을 수행하면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카테고리마다 각각 한 번씩만 인정받을 수 있다.
- 컴비네이션 스핀 한정으로 넌 베이직 카테고리를 통해 프로그램 중 단 한 번만 레벨 업을 인정받을 수 있다.
- 스핀 중간에 점프하면서 발을 바꿈.
- 점프 후 2회전 안에 기본 자세(싯, 카멜, 업라이트)가 잡혀야한다.
- 발을 바꾸기 전후로 각각 3바퀴 이상을 회전하여야 한다.
- 스핀 중간에 발을 바꾸지 않으면서 점프.
- 점프 후 2회전 안에 기본 자세(싯, 카멜, 업라이트)가 잡혀야한다.
- 스핀 도중에 발을 바꾸지 않고 어려운 동작으로 자세를 바꿈.[3]
- 싯 비하인드 → 카멜 포워드 또는 그 역순
- 싯 포워드/싯 사이드웨이 → 어려운 업라이트 스트레이트/사이드웨이 또는 그 역순.
- 카멜 포워드 → 캐치풋 레이백 또는 그 역순}}}]
- 변화 전후로 각 자세가 2회전 이상 유지되어야한다.
- 어려운 동작으로 도입
- 스타즈, 트위즐, 스파이럴, 런지, 스플릿 점프, 클러스터 등.
- 플라잉 도입과 어려운 도입을 한 스핀에서 모두 수행했다면 어려운 도입은 인정하지 않고 플라잉 도입만을 인정한다.
- 윈드밀은 더이상 어려운 도입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어려운 마무리
- 슬라이딩, 클러스터, 토 아라비안, 비엘만 자세 등 등
- 싯, 카멜, 레이벡, 비엘만 자세로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도중에 엣지를 바꿈.
- 싯 자세에서는 왼발 백 인사이드 엣지에서 오른발 프런트 아웃사이드 엣지로 바꿀 때만 인정됨.
- 어렵지 않은 업라이트 자세와 넌 베이직 자세에서는 인정되지 않음.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바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계→반시계, 또는 반시계→시계방향).[6]
- 한 발로 수행하는 양방향 스핀의 경우 스핀과 스핀 사이에 턴 하나, 또는 엣지 체인지 1회만 허용된다.
- 각 방향 별 3바퀴씩을 회전해야 인정됨
- 양방향 모두 기본 자세로 2바퀴를 돌아야함.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
- 크로스 풋 스핀[7]에서의 속도 증가는 인정되지 않는다.
- 카멜, 싯 자세로 스핀 또는 어려운 변형 자세(컴비네이션 스핀에서의 넌 베이직 자세 포함)로 스핀 중에 발, 에지, 자세를 바꾸지 않고 8바퀴 이상 회전.
- 어려운 변형 플라잉 동작으로 도입하는 스핀/플라잉 스핀을 어려운 동작으로 도입.
- 버터플라이, 플라잉 싯, 토 아라비안, 데스 드롭 등
- 공중에서 스플릿 자세 또는 오픈 버터플라이 자세가 형성되는 경우
- 레귤러 플라잉 카멜은 계산하지 않는다.
- 싯, 카멜, 레이백,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어려운 블레이드 사용 자세를 취함.
- 스핀의 도중 발꿈치를 들어 발 끝으로 돌거나, 반대로 발 끝을 들어 발꿈치로 돌거나 하는 변화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 어려운 마무리 요건과는 합산하지 않으며, 함께 사용되었다면 어려운 블레이드 사용 요건은 다음 스핀에 이용되었을 때 계산한다.
- 레이백 스핀 중에 백워드 포지션(뒤로 젖힘)에서 사이드웨이 포지션(옆으로 젖힘)으로, 혹은 반대 순서로 전환하며 전후로 각각 2바퀴 이상을 회전.
- 레이백 스핀 후에 비엘만 자세 수행. 싱글 종목의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레이백으로 8회전[8] 혹은 6회전[9] 이상을 돈 뒤에 시도해야 인정받을 수 있다.
3.2. 레벨 산정
하나의 프로그램 내에서 스핀을 도는 동안 위에 나열된 요건들을 하나 달성할 때마다 스핀 레벨을 한 계단 올릴 수 있다.아래는 레벨을 합산할 때의 규칙이다.
- 2~9번 요건과 11~14번 요건은 프로그램 당 한 번씩만 인정된다. 시도해서 처음 성공한 것이 인정된다.
- 8회전 요건은 프로그램 당 가장 처음으로 시도한 것이 인정되지만, 양발에서 모두 8회전 요건을 시도했다면 둘 중 선수에게 유리한 수행을 인정한다.
- 각 스핀마다 지정된 요건(파란색 강조 요건)[10]
- 스핀 도중에 발을 바꾸지 않고 어려운 동작으로 자세를 바꿈
- 어려운 마무리
- 싯, 카멜, 레이벡, 비엘만 자세로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도중에 엣지를 바꿈.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바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
- 어려운 변형 플라잉 동작으로 도입하는 스핀/플라잉 스핀을 어려운 동작으로 도입.}}}]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해야 레벨 4를 받을 수 있다.(2022-23 시즌부터 적용.)
- 어려운 변형 자세 요건은 스핀 한 번 당 2번까지만 인정받을 수 있다. 만일 한 스핀에서 어려운 변형 자세를 2개 이상 수행한다면 나중에 수행한 두 개의 자세가 인정되고 처음 수행한 나머지 자세는 레벨 업 요건으로 인정되지는 않지만 다음 스핀에서 레벨 업 요건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 '어려운 도입-카멜-어려운 싯 포워드 변형 자세-엣지 체인지-발 바꿔서 어려운 싯 비하인드-어려운 업라이트 스트레이트'로 스핀을 구성하고 수행했다면, 마지막 두 자세인 어려운 싯 비하인드와 어려운 업라이트만을 사용한것으로 간주하고, 바꾸기 전의 발에서 어려운 도입과 함께 레벨 4의 필수 요건인 엣지 체인지를 인정받아 레벨 4를 얻는다. 이때 앞에 사용한 어려운 싯 포워드는 사용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되 뒤의 스핀에서 어려운 싯 포워드 자세를 이용하여 레벨을 올리는 것은 문제가 없다.
- 체인지 풋 스핀에서는 각 발로 수행하는 스핀에서 최대 2개의 레벨 업 요건만을 인정한다.[11]
- 밑줄 친 요건[12]
- 스핀 도중에 발을 바꾸지 않고 어려운 동작으로 자세를 바꿈
- 싯, 카멜, 레이벡, 비엘만 자세로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도중에 엣지를 바꿈.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바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
- 카멜, 싯 자세로 스핀 또는 어려운 변형 자세(컴비네이션 스핀에서의 넌 베이직 자세 포함)로 스핀 중에 발, 에지, 자세를 바꾸지 않고 8바퀴 이상 회전.
- 싯, 카멜, 레이백,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어려운 블레이드 사용 자세를 취함.
- 레이백 스핀 중에 백워드 포지션(뒤로 젖힘)에서 사이드웨이 포지션(옆으로 젖힘)으로, 혹은 반대 순서로 전환하며 전후로 각각 2바퀴 이상을 회전.}}}]들은 이미 한 번 사용된 카테고리의 어려운 스핀과 함께 사용하지 못한다.
- 첫 번째로 플라잉 카멜 스핀을 수행하며 '어려운 플라잉-어려운 카멜 포워드-어려운 카멜 사이드웨이-8회전'을 하여 레벨 4를 받았다. 두 번째로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을 할 때는 왼발로 \'어려운 싯 포워드-어려운 방법을 필요로 하는 어려운 카멜 포워드로의 전환'을 하고, 오른발로 '어려운 업라이트 스트레이트-어려운 마무리'를 했다. 오른발에서 수행한 것들은 문제가 없지만 왼발에서 어려운 자세 변화를 수행할 때 이전 스핀에서 사용한 어려운 카멜 포워드 포지션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왼발에서는 어려운 자세 변화를 인정받지 못하며, 어려운 카멜 포워드마저 이미 사용된 카테고리이므로 어려운 변형 자세 요건 하나만을 인정받아 도합 레벨 3으로 두 번째 스핀을 마무리하게 된다.
- 앞선 상황에서 세 번째로 싯 스핀을 돌 때 '어려운 도입-어려운 싯 포워드-엣지 체인지-어려운 싯 사이드웨이-어려운 싯 비하인드'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두 번째 스핀에서 이미 싯 포워드를 사용한 상황에 해당 포지션에서 엣지 체인지를 진행하였으므로 엣지 체인지를 인정받지 못하며, 어려운 싯 포워드도 이미 사용된 카테고리이므로 레벨 계산에 들어가지 않아 레벨 3을 받는다.
4. 페어 스케이팅
솔로 스핀인지 페어 스핀인지에 따라 규정이 조금 다르다.페어 스케이팅의 솔로 스핀은 싱글 스케이팅의 스핀에 비해 규정이 까다롭지 않다. 대신 유니슨(일치, Unison)을 중시하는 종목 특성상 모든 레벨 업 요건들을 두 사람이 모두 성공적으로 해내야 인정을 받는다. 한 사람이라도 약속한 레벨 업 요건 수행을 놓치면 스핀의 레벨이 오르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의외로 까다롭다.
4.1. 솔로 스핀
쇼트 프로그램에서 한 차례의 발 바꿈이 있는 컴비네이션 스핀을 솔로 스핀으로 해내야 한다. 도는 동안 아래의 요건들을 하나 달성할 때마다 레벨을 하나 올릴 수 있다. 두 사람이 수행하는 요건은 동일해야며, 두 사람 모두 계획된 요건을 성공적으로 만족해야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서로 다른 수행을 하거나 둘 중 하나라도 계획된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하고자 한 요건이 무엇이었든 레벨을 올릴 수 없다.- 어려운 변형 자세
- 위에서 설명한 각 자세(카멜, 싯, 업라이트 + 레이백)의 어려운 변형을 수행하면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카테고리마다 각각 한 번씩만 인정받을 수 있으며, 넌 베이직 카테고리에서도 마찬가지로 단 한 번 레벨을 올릴 수 있다.
- 두 사람 모두 어려운 변형 자세를 인정 받아야 최종적으로 레벨을 올릴 수 있으며, 서로 자세가 다르거나 한 사람이 인정을 받지 못하면 레벨을 올릴 수 없다.
- 스핀 중간에 점프하면서 발을 바꿈.
- 스핀 중간에 발을 바꾸지 않으면서 점프.
- 단 점프 수행 전후로 2바퀴 이상 회전하여야 한다.
- 스핀 도중에 발을 바꾸지 않고 어려운 동작으로 자세를 바꿈.[13]
- 기본 자세에서 다른 기본 자세로 넌 베이직 자세를 만들지 않고 바꾸면서 힘과 기술, 컨트롤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ex.싯 → 카멜 또는 카멜 → 싯 자세, 싯 → 어려운 업라이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 싯 자세 등의 변화가 있을 때.)
- 변화 전후로 각 자세가 2회전 이상 유지되어야한다.
- 어려운 동작으로 도입 또는 어려운 동작으로 마무리(예: 스타즈, 트위즐, 스파이럴, 런지, 클러스터 등).
- 싯, 카멜, 레이벡, 비엘만 자세로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도중에 엣지를 바꿈.
- 싯 자세에서는 왼발 백 인사이드 엣지에서 오른발 프런트 아웃사이드 엣지로 바꿀 때만 인정됨.
- 어렵지 않은 업라이트 자세와 넌 베이직 자세에서는 인정되지 않음.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바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 방향 전환 전후로 각각 3바퀴씩을 돌아야 인정됨
- 싯, 카멜, 레이백, 비엘만 자세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
- 크로스 풋 스핀[14]에서의 속도 증가는 인정되지 않는다.
- 카멜, 싯 자세로 스핀 또는 어려운 변형 자세(컴비네이션 스핀에서의 넌 베이직 자세 포함)로 스핀 중에 발, 에지, 자세를 바꾸지 않고 6바퀴 이상 회전.
- 싯, 카멜, 레이백, 또는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로 스핀 중에 어려운 블레이드 사용 자세를 취함.
- 스핀의 도중 발꿈치를 들어 발 끝으로 돌거나, 반대로 발 끝을 들어 발꿈치로 돌거나 하는 변화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 어려운 마무리 또는 고난이도의 자세 변화 요건과는 합산하지 않으며, 함께 사용되었다면 어려운 블레이드 사용 요건은 다음 스핀에 이용되었을 때 계산한다.
레벨 합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2~10번 요건은 프로그램 당 한 번씩만 인정된다.
- 9번(6회전)은 프로그램 당 가장 처음으로 시도한 것이 인정되지만, 양발에서 모두 9번 요건을 시도했다면 둘 중 선수에게 유리한 수행을 인정한다.
- 체인지 풋 스핀에서는 각 발로 수행하는 스핀에서 최대 2개의 레벨 업 요건만을 인정한다.[15]
싱글 스케이팅의 스핀 규정과 비교했을 때 플라잉 스핀을 할 수는 있지만 그에 관한 레벨 업 요건 규정이 빠져있으며, 레이백 스핀에 할당된 추가 규정도 없다.
발, 에지, 자세 변화 없이 한 자세로 지정 회전수를 달성하면 주는 레벨 업 요건도 회전 수 기준을 완화한다거나 스핀별로 필수로 해야하는 요건이 없고, 어려운 변형 자세와 동시에 수행해서는 안되는 요건들도 없는 등 많은 요건들을 완화하였다.
4.2. 페어 스핀
프리 스케이팅에서 1회 수행한다. 두 사람 모두 1번 이상 발을 바꿔서 수행해야하며, 발을 두 사람이 동시에 바꿀 필요는 없다. 두 사람이 스핀을 하는 동안 어떻게든 세 개의 기본 자세가 모두 있어야하는 콤비네이션 스핀의 형태를 띄어야 한다.아래의 요건 하나를 만족할 때마다 레벨을 하나 올릴 수 있으며, 1~6의 요건들은 프로그램별로 한 번씩만 인정된다.
- 3개의 다른 어려운 변형 자세. 3개 중 2개는 넌 베이직으로 할 수 있다. 각 선수는 어려운 자세 최소 하나를 해야한다[16] 어려운 변형 자세는 남자 선수가 한 것과 여자 선수가 한 것을 따로 계산한다.
- 싯 자세는 허벅지가 빙판과 평행해야하지만 남자 선수가 SF 자세를 수행할 때 여자 선수가 취하는 SB 자세는 무릎의 각도가 90° 이하이기만 하면 싯 자세를 만든 것으로 간주한다.
- 자세를 바꾸었을 때 두 선수 모두 2회전을 채워야 바꾼 자세가 인정이 된다.(윈드밀은 3회전)
-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이 어려운 도입 또는 플라잉 도입을 수행.
-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의 점프 또는 플라잉 도입. 한 사람이 플라잉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사람이 스핀을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어려운 스핀 자세를 요구하지는 않음.
- 도입 동작 직후 스핀까지 한 번에 이어졌을 때 때 높은 운동 신경이 요구되는 경우(두 사람이 함께 수행해야함)
- 프리렉의 도움이나 별도의 턴 없이 두 사람이 모두 백 인사이드로 스핀을 시작하거나 백 아웃사이드로 시작하는 경우
- 어려운 마무리
- 즉시 양방향 회전
- 각 회전 방향 별로 최소 3회전이 이루어져야한다.
- 카멜, 싯, 어려운 업라이트 자세로 스핀 중 발이나 자세를 바꾸지 않은 채로 6회전
-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들어올린 채 한 발로 최소 2회전
- 여자 선수의 공중 자세가 고정되고 2회전이 이루어지면 스핀의 자세로 취급되어 기본 자세 수를 채울 수 있다.
- 어려운 자세를 취한다면 1번 요건의 자세 수 및 종류 계산에서 합산할 수 있다.
- 6회전을 한다면 5번 요건도 채워진다.
- 어려운 마무리 요건과 리프트 요건을 모두 수행하려면 리프트 이후 여자 선수의 온전한 착지가 이루어져야한다.
아래의 경우 심판이 V를 선언하고 기초점이 깎인다.
- 둘 중 누구든 3개의 기본 자세(싯, 업라이트, 카멜)를 인정받지 못하고 2개의 기본 자세만을 인정받았을 때[17]
- 두 사람 중 누구든 발을 바꾸기 전, 또는 후 둘 중 한 경우에서 3회전을 채우지 못했을 때
아래의 경우 그 페어 스핀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
- 둘 중 누구든 한 가지 자세만을 인정받았을 때
- 둘 중 누구든 발을 바꾸지 않았을 때
- 둘 중 누구든 발을 바꾸기 전, 후 모두에서 각 3회전을 채우지 못했을 때
5. 아이스 댄스
[1] 레벨 업 요소는 어려운 도입(일루전)-레이백 사이드웨이 포지션에서 백워드 포지션으로의 전환-헤어컷 포지션-비엘만 포지션이며, 어려운 변형 자세(비엘만)로 8회전 유지라는 레벨업 요소를 더 추가하여 가산점을 확보하였다.[2] 2017-18시즌까지는 쇼트에서는 솔로 스핀과 페어 스핀을 시즌마다 번갈아가며 1회 수행했고, 프리에서는 솔로 스핀과 페어 스핀을 모두 1회씩 선보여야했다.[3] 어려운 '변형 자세'로 스핀하는 것과는 다르게, 자세 '변화의 어려움'을 논하는 요건이다.[4] 레이백 스핀에 한정되는 13번 요건이 여기에서 파생되었다.[어려운변화사례] {{{#!wik[6] 타 종목에 비해 어려운 스핀을 많이 구사할 필요가 있는 싱글 스케이터들은 오히려 양방향 스핀을 잘 선보이지 않는다.비교적 최근의 상위 스케이터 중에서는 미야하라 사토코 선수가 양방향 스핀에 능했는데, 미야하라 사토코는 본디 왼발잡이 선수였다가 오른발 스케이터로 전향한 독특한 이력이 있어 양방향 스핀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양방향 스핀은 페어 스케이터의 스핀이나 아이스 댄서의 댄스 스핀에서 자주 보인다.[7] 양발을 교차한 채로 모두 사용해서 도는 업라이트 스핀으로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US 카테고리)로 인정된다.[8] 시니어와 주니어[9] 어드밴스드 노비스[10] {{{#!wik[11] 왼발로 레벨 업 요건 3개를 해내도 2개까지만 인정한다는 뜻이다.[12] {{{#!wik[13] 어려운 '변형 자세'로 스핀하는 것과는 다르게, 자세 '변화의 어려움'을 논하는 요건이다.[14] 양발을 교차한 채로 모두 사용해서 도는 업라이트 스핀으로 어려운 업라이트 변형 자세(US 카테고리)로 인정된다.[15] 왼발로 레벨 업 요건 3개를 해내도 2개까지만 인정한다는 뜻이다.[16] 여자 선수 또는 남자 선수 한 쪽만 어려운 자세를 3개 이상 소화하는 것은 인정하지 않음.[17] 과거에는 전자에 심판이 3p를 선언하고 후자에 2p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