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bgcolor=#3c3b6e,#141425><tablebordercolor=#3c3b6e,#141425><width=45%> ||피겨 스케이팅
구성 요소 ||
구성 요소 ||
- [ 필수 요소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width=1000><bgcolor=#d4c0fa,#1c1d1f> 점프 ||<width=25%><bgcolor=#fff,#1c1d1f> 스핀 ||<width=25%><bgcolor=#d4c0fa,#1c1d1f> 코레오 시퀀스[1] ||<width=25%><bgcolor=#faeb93,#1c1d1f> 코레오 요소[2] ||
데스 스파이럴 트위스트 리프트 리프트 스텝 시퀀스 턴 시퀀스 패턴 댄스 {{{#!wiki style="font-size: .7em" - 평가 종목: 라이트 모드에서는 배경색, 다크 모드에서는 글자색으로 강조하여 종목별 필수 요소를 나타냄.
분홍색: 싱글 스케이팅 단독 평가 요소하늘색: 페어 스케이팅 단독 평가 요소노란색: 아이스 댄스 단독 평가 요소연두색: 페어 스케이팅/아이스 댄스 평가 요소||<bgcolor=#fff,#1c1d1f>그 외: 전 종목 평가 요소||
}}} ||
데스 스파이럴 Death Spirals | |
|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 조의 백워드 아웃 데스 스파이럴 레벨 4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종목 | 페어 스케이팅 |
유형 | 필수 요소 |
약자 | Ds |
1. 개요
페어 스케이팅에서 필수 요소인 데스 스파이럴에 대한 문서.2. 역사
독일의 프로 선수인 샬롯 오웰슈라겔과 남편 커트 뉴먼이 1920년대에 개발한 기술이다. 남자 선수가 한 발로 아치 모양을 그리며 후진하면 두 사람이 서로 근접하여 손을 잡는다. 이때 여자 선수는 남자 선수 보다 낮은 자세로 남자 선수를 따라 움직이는 기술이었다. 이후 캐나다의 수잔 모로와 왈라스 디에스텔메이어가 1948 생모리츠 동계올림픽에서 최초로 원-핸드 데스 스파이럴을 수행했으며, 1960년대에 들어서 소련의 류드밀라 벨로우소바 / 올레크 프로토포포프가 현대의 백워드 인사이드, 포워드 인사이드, 포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1]을 개발하였다.현대의 데스 스파이럴에서는 남자 선수가 한 발의 토를 빙판에 찍어 중심을 잡고 다른 발로 후진하며 원을 그린다. 이 기술을 피봇이라 한다. 남자 선수가 피봇을 수행하면 여자 선수는 남자 선수의 한쪽 손을 잡고서 낮은 자세로 남자 선수를 따라 회전을 진행한다. 프로급 경기에서는 남자 선수는 거의 앉듯이 낮은 자세로 피봇을 수행하며, 여자 선수는 빙판에 누울 듯한 낮은 자세로 남자 선수를 따라 도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3. 보편 규정
여자 선수가 본격적으로 데스 스파이럴을 수행할 자세가 만들어지면 그 자세에서 남녀 모두 최소 1바퀴 이상을 돌아야 한다. 이때 남자 선수는 무릎을 명확히 구부린 자세를 유지하며 피봇을 돈다.레벨을 높이려면 남자 선수의 피봇 자세가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여자 선수는 명확한 엣지로 회전해야 하며 머리가 빙판에 가깝게 위치해야 하지만[2024-25시즌변경][3] 머리가 빙판에 닿거나 프리렉 및 신체 일부로 빙판을 디디면 안 된다. 남자 선수의 홀드와 데스 스파이럴을 수행하는 엣지가 일으키는 원심력이 여자 선수의 체중을 지탱한다. 남자 선수은 회전 중심을 고정한 상태에서 팔을 완전히 뻗고 있어야 한다. 특정한 자세를 레벨 업 요건으로 인정받으려면 두 사람이 손을 잡고 최소한 1바퀴 이상 돌아야 한다.
4. 분류
여자 선수의 에지(인/아웃)와 주행 방향(전진/후진) 두 개의 기준으로 네 가지로 분류되며, 데스 스파이럴의 원형에 가까운 피봇 피겨까지 총 다섯 가지의 데스 스파이럴이 있다.4.1. 피봇 피겨
피봇 피겨 Pivot Figure | |
| |
노엘 안 / 대니얼 후빌러의 피봇 피겨 | |
| |
줄리앤 다톨리 / 니콜라스 바르가스의 피봇 피겨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유형 | 필수 요소 (노비스) |
약자 | PiF |
4.2. 백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백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Backward Outside Death Sprial | |
| |
| |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의 백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레벨 4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유형 | 쇼트 프로그램 필수 요소 (백워드 아웃/포워드 인/백워드 인사이드 3종 중 지정) |
약자 | BoDs |
남자 선수는 피봇을 수행하며, 스케이팅하는 발과 같은 쪽 팔을 완전히 뻗어 여자 선수의 손을 잡고 있어야 한다 남자 선수가 자세를 변형할 수는 있지만 규정된 피봇 자세를 유지해야한다.
여자 선수는 빙판 쪽으로 몸을 젖힌 상태에서 팔을 완전히 뻗고, 남자 선수 주위를 아웃 에지를 유지하며 회전해야 한다.
4.3. 포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포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Forward Inside Death Sprial | |
| |
| |
타티야나 볼로소자르 / 막심 트란코프의 포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레벨 4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유형 | 쇼트 프로그램 필수 요소 (백워드 아웃/포워드 인/백워드 인사이드 3종 중 지정) |
약자 | FiDs |
남자 선수는 스케이팅하는 발과 같은 쪽 팔을 완전히 뻗어 여자 선수의 손을 잡고 피봇을 수행한다. 남자 선수가 자세를 변형시킬 수는 있지만 규정된 피봇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조건이 따른다.
여자 선수는 빙판 쪽으로 몸을 옆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팔을 완전히 뻗고, 남자 선수 주위를 인 에지로 회전해야 한다.
4.4. 백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백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Backward Inside Death Sprial | |
| |
| |
알렉산드라 보이코바 / 드미트리 코즐로브스키의 백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레벨 4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유형 | 쇼트 프로그램 필수 요소 (백워드 아웃/포워드 인/백워드 인사이드 3종 중 지정) |
약자 | BiDs |
4.5. 포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포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Forward Outside Death Sprial | |
| |
| |
알리사 예피모바 / 미샤 미트로파노프의 포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레벨 4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유형 | 프리 스케이팅 필수 요소로서 선택 가능 |
약자 | FoDs |
5. 지정된 데스 스파이럴 종류와 횟수
5.1. 쇼트 프로그램
백워드 인사이드/포워드 인사이드/백워드 아웃사이드[2024-25시즌] 세 가지 데스 스파이럴 중 하나를 매 시즌 돌아가며 쇼트 프로그램 요소로 지정하고 있다. 따라서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모든 조가 같은 종류의 데스 스파이럴을 1회 수행한다.5.2. 프리 스케이팅
주니어는 어떤 종류의 데스 스파이럴이건 하나만 수행하면 되며, 시니어는 쇼트 프로그램 요소로 지정된 데스 스파이럴을 제외한 3종의 데스 스파이럴에서 하나를 골라야 한다. 홀드는 규제하지 않는다.6. 채점
6.1. 기본 조건
남자 선수의 스케이트 토가 회전축으로서 얼음에 고정될 때부터 데스 스파이럴의 회전이 시작되었다고 본다. 남자 선수의 회전이 끝나거나 여자 선수가 데스 스파이럴을 끝내려 일어나는 순간 회전이 끝났다고 본다. 둘 중 누구가 먼저 일어나든 상관 없이 결론짓는다.데스 스파이럴을 구사하는 동안 여자 선수의 머리 최저점이 한 번도 스케이팅 렉의 무릎 높이까지 내려오지 못했다면, 해당 데스 스파이럴은 점수를 아예 받을 수 없다. 대신 데스 스파이럴을 1번 수행한 것으로 간주한다.
여자 선수가 엣지를 사용하지 못하고 부츠나 무릎을 쓰면 데스 스파이럴이 종료된 것으로 간주하고 그 이후의 다른 요건은 인정되지 않는다. 테크니컬 패널은 이 경우에 여자 선수가 넘어졌는지(fall) 아닌지를 결정해야 한다.
남자 선수가 피봇 자세를 만들지 못했거나, 만들어졌다 하더라도 자세를 한 바퀴 이상 유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데스 스파이럴에 레벨을 부여하지 않으며 점수가 없다. 빙판을 토픽으로 짚어 고정시킨 다리의 무릎이 한 바퀴 동안 명확하게 굽혀져 있지 않거나, 여자 선수를 잡고 있는 팔이 한 바퀴 동안 완전히 펴져 있지 못했다면 역시 레벨과 점수를 받을 수 없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남자 선수가 피봇을 수행할 때 전통적인 피봇 자세만 허용한다. 즉, 남자 선수는 아웃 에지로 후진 스케이팅하며, 팔을 완전히 뻗은 상태로 여자 선수의 손을 잡고 있어야 하고, 두 무릎을 명확하게 굽힌 완전한 피봇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피봇 형태에서 변형이 발생하면 해당 데스 스파이럴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남자 선수가 꼭 후진하는 피봇(백워드 피봇)을 구사하지 않아도 되며 백워드 피봇과 포워드 피봇을 모두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데스 스파이럴 도중 남자 선수가 피봇 자세를 변경하면 변경 즉시 데스 스파이럴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자세 변경에 앞서 올바른 피봇 자세를 유지한 구간만을 토대로 레벨을 계산한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데스 스파이럴을 시작할 때 남자 선수가 스케이팅하는 발의 반대 쪽 손으로 여자 선수를 잡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으며 반드시 스케이팅하는 발과 같은 쪽 손으로 여자 선수를 잡아야한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데스 스파이럴의 도입부에서 반대 쪽 손으로 여자 선수의 손을 잡는 것을 허용한다. 쇼트와 프리 모두 데스 스파이럴을 구사하는 도중에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잡은 손을 바꿀 수는 있지만 이 동작으로 레벨을 올릴 수는 없다. 여자 선수의 팔은 규제 사항이 아니다.
6.2. 난이도 평가(레벨)
- 어렵게 도입 (즉시 데스 스파이럴로 이어지는) 또는 어렵게 마무리
- 어렵게 도입(Difficult Entry)
- 데스 스파이럴을 본격적으로 구사하기 전 에지가 그리는 곡선 구간이 시작될 때를 '도입'(Entry)이라고 부른다. 이때 한 사람은 한 발로만 에지를 타며 스케이팅하고, 다른 사람 또한 한 발로 스케이팅하거나 스프레드 이글, 슛 더 덕(Shoot the Duck) 등의 자세를 취하고 있어야 한다.
- 어렵게 도입할 때 선수들은 몸의 중심과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 반드시 한 사람이 도입 곡선(Entry Curve)에서 한 발로 이동하고, 여자 선수든 남자 선수든 어려운 도입 자세에서 데스 스파이럴 자세로 지체 없이 이동해야 한다.
- 어렵게 마무리(Difficult Exit)
- 남자 선수의 스케이트 토가 얼음에 고정된 후 처음 한 바퀴를 도는 동안 두 사람 모두가 낮은 자세에 도달해야만 어렵게 도입을 인정받고 레벨을 올릴 수 있다.
- 데스 스파이럴에서의 '마무리'(Exit)는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잡고 있는 팔의 팔꿈치를 구부리기 시작할 때부터 시작되며, 여자 선수의 몸이 수직이 되면 마무리 과정이 끝난다.
- 어려운 마무리의 예시로는 데스 스파이럴에서 곧이어 리프트(댄스 리프트 또는 다른 리프트)나 점프를 구사하는 경우가 있다. 마무리는 데스 스파이럴의 균형과 통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 '어렵게 도입과/또는 어렵게 마무리'는 하나의 요건이므로 둘 중 하나만 레벨 업 요건으로서 레벨 계산에 활용한다.
- 두 사람 모두가 '낮은 자세'일 때 여자 선수가 1바퀴를 완전히 회전 (1바퀴를 채울 마다 레벨을 올릴 수 있다.)
- 여자 선수의 '낮은 자세'
-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머리와 엉덩이/궁둥이가 스케이팅 렉의 무릎보다 낮은 자세.
-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머리가 스케이팅 렉의 무릎보다 낮은 자세.
- 남자 선수의 '낮은 피봇 자세': 고정시킨 발의 무릎보다 궁둥이가 낮은 자세.
- 두 선수가 동시에 위의 자세를 유지한 채 한 바퀴를 완전히 돌지 못하면 데스 스파이럴의 레벨 1을 넘을 수 없다.
- 데스 스파이럴에서 여자 선수나 남자 선수의 자세가 앞서 설명한 낮은 자세보다 높다면 여자 선수가 아무리 회전을 해내더라도 레벨을 올릴 수 없다. 여자 선수와 남자 선수가 낮은 자세를 취한 순간부터 회전수를 센다.
- 본 요건을 인정받으려면 두 선수 모두 '낮은 자세'를 계속해서 유지해야 한다. 만약 낮은 자세를 끝까지 유지하지 못한 경우, 그래도 낮은 자세가 풀리기 전까지 수행한 부분에 대해서는 레벨을 인정받을 수 있다.
- 모든 종류의 데스 스파이럴에서 여자 선수의 머리가 여자 선수의 스케이팅 렉의 무릎보다 높다면, 또는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에서 엉덩이의 최저점이 스케이팅 렉의 무릎보다 높다면, 레벨 1을 넘길 수 없다.
- 남자 선수가 낮은 피봇 자세로 한 바퀴를 채우지 못했다면 레벨 1을 넘길 수 없다.
- 본 요건에서 여자 선수의 회전만을 레벨을 올리는 기준으로 삼는다. 데스 스파이럴 도중 여자 선수가 남자 선수의 후방을 지나는 경우 남자 선수가 낮은 자세에서 완전히 회전한 바퀴 수가 여자 선수보다 적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동작은 홀드를 변경해야 만들어진다.
6.3. 레벨 1 또는 무효 처리 사항
쇼트와 프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다. 테크니컬 패널 핸드북에서는 기본 조건과 레벨 상승 요건을 설명할 때 레벨 1 또는 무효 사항을 함께 서술해두었음에도 최종장에서 레벨 1 또는 무효 사항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다시 제시하고 있으므로 본 문서에서도 첨부한다.- 무효 (No Value)
- 지정해준 데스 스파이럴이 아닌 다른 데스 스파이럴을 구사했을 때.
- 남자 선수가 피벗 자세(무릎을 명확히 굽히고 팔을 완전히 뻗은 상태)를 1회전 동안 유지하지 않은 경우.
- 여자 선수의 머리가 한 번도 자신의 스케이팅 렉의 무릎 높이까지 내려오지 못한 경우.
- 레벨 1
- 남녀 선수가 모두 낮은 자세를 1회전 동안 유지하지 않은 경우.
6.4. 수행 등급 평가(GOE)
가산 항목을 먼저 고려하여 초기 GOE를 설정한 후, 감산 항목에 있는 실수들을 찾아내어 각 실수별로 정해진 GOE 양만큼을 초기 GOE에서 깎아 최종 GOE를 컴퓨터에 입력한다.가산 항목 |
- 두 사람 모두 아주 좋은 자세를 보여줌.
- 처음부터 끝까지 좋은 흐름과 속도를 유지함. (도입과 마무리를 포함)
- 처음부터 끝까지 힘들이지 않는 듯한 느낌을 줌.
- 요구되는 자세에서나 마무리 과정에서 신체 통제 능력을 잘 활용하여 연결 요소를 집어 넣음.
- 남녀 모두 엣지 사용이 좋고 끊어지지 않음.
- 음악과 어우러짐.
감산 항목 |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rowbgcolor=#3c3b6e,#141425><rowcolor=white,white><width=55%> GOE 하락 요인 ||<width=150px> 감산해야할 GOE 양 ||<width=75px> 초기 GOE 제한 ||
넘어짐 | -5 | +2 |
남자 선수의 피봇이 좋지 않음 | -2~-4 | 없음 |
여자 선수의 자세가 너무 높거나 낮은 자세로 1바퀴를 채우지 못함/또는 남자 선수의 자세가 좋지 못함 | -1~-3 | |
남자 또는 여자 선수의 에지 사용이 불안정함 | -1~-3 | |
머리카락을 제외한 여자 선수의 신체 일부분이 빙판에 닿음 | -1~-2 | |
회전 속력이 느림, 회전 속력의 감속 | -1~-3 | |
도입 또는 마무리가 좋지 않음 | -1~-3 |
7. 점수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4> ||<-11><bgcolor=#3c3b6e,#141425> GOE(Grade of Execution, 수행 등급) ||
-5 | -4 | -3 | -2 | -1 | ±0 | +1 | +2 | +3 | +4 | +5 | |
등급별 감점 | 기초점 (BV) | 등급별 가점 | |||||||||
<rowcolor=#fff,#fff> -0.5BV | -0.4BV | -0.3BV | -0.2BV | -0.1BV | +0.1BV | +0.2BV | +0.3BV | +0.4BV | +0.5BV | ||
피봇 피겨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PiF1 | -1.10 | -0.88 | -0.66 | -0.44 | -0.22 | 2.20 | +0.22 | +0.44 | +0.66 | +0.88 | +1.10 |
데스 스파이럴 | |||||||||||
백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 |||||||||||
BiDsB | -1.40 | -1.12 | -0.84 | -0.56 | -0.28 | 2.80 | +0.28 | +0.56 | +0.84 | +1.12 | +1.40 |
BiDs1 | -1.55 | -1.24 | -0.93 | -0.62 | -0.31 | 3.10 | +0.31 | +0.62 | +0.93 | +1.24 | +1.55 |
BiDs2 | -1.70 | -1.36 | -1.02 | -0.68 | -0.34 | 3.40 | +0.34 | +0.68 | +1.02 | +1.36 | +1.70 |
BiDs3 | -1.85 | -1.48 | -1.11 | -0.74 | -0.37 | 3.70 | +0.37 | +0.74 | +1.11 | +1.48 | +1.85 |
BiDs4 | -2.00 | -1.60 | -1.20 | -0.80 | -0.40 | 4.00 | +0.40 | +0.80 | +1.20 | +1.60 | +2.00 |
포워드 인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 |||||||||||
FiDsB | -1.30 | -1.04 | -0.78 | -0.52 | -0.26 | 2.60 | +0.26 | +0.52 | +0.78 | +1.04 | +1.30 |
FiDs1 | -1.45 | -1.16 | -0.87 | -0.58 | -0.29 | 2.90 | +0.29 | +0.58 | +0.87 | +1.16 | +1.45 |
FiDs2 | -1.60 | -1.28 | -0.96 | -0.64 | -0.32 | 3.20 | +0.32 | +0.64 | +0.96 | +1.28 | +1.60 |
FiDs3 | -1.75 | -1.40 | -1.05 | -0.70 | -0.35 | 3.50 | +0.35 | +0.70 | +1.05 | +1.40 | +1.75 |
FiDs4 | -1.90 | -1.52 | -1.14 | -0.76 | -0.38 | 3.90 | +0.38 | +0.76 | +1.14 | +1.52 | +1.90 |
백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 |||||||||||
BoDsB | -1.60 | -1.28 | -0.96 | -0.64 | -0.32 | 3.20 | +0.32 | +0.64 | +0.96 | +1.28 | +1.60 |
BoDs1 | -1.80 | -1.44 | -1.08 | -0.72 | -0.36 | 3.60 | +0.36 | +0.72 | +1.08 | +1.44 | +1.80 |
BoDs2 | -2.00 | -1.60 | -1.20 | -0.80 | -0.40 | 4.00 | +0.40 | +0.80 | +1.20 | +1.60 | +2.00 |
BoDs3 | -2.20 | -1.76 | -1.32 | -0.88 | -0.44 | 4.40 | +0.44 | +0.88 | +1.32 | +1.76 | +2.20 |
BoDs4 | -2.40 | -1.92 | -1.44 | -0.96 | -0.48 | 4.80 | +0.48 | +0.96 | +1.44 | +1.92 | +2.40 |
포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 | |||||||||||
FoDsB | -1.75 | -1.40 | -1.05 | -0.70 | -0.35 | 3.50 | +0.35 | +0.70 | +1.05 | +1.40 | +1.75 |
FoDs1 | -1.95 | -1.56 | -1.17 | -0.78 | -0.39 | 3.90 | +0.39 | +0.78 | +1.17 | +1.56 | +1.95 |
FoDs2 | -2.15 | -1.72 | -1.29 | -0.86 | -0.43 | 4.30 | +0.43 | +0.86 | +1.29 | +1.72 | +2.15 |
FoDs3 | -2.35 | -1.88 | -1.41 | -0.94 | -0.47 | 4.70 | +0.47 | +0.94 | +1.41 | +1.88 | +2.35 |
FoDs4 | -2.55 | -2.04 | -1.53 | -1.02 | -0.51 | 5.10 | +0.51 | +1.02 | +1.53 | +2.04 | +2.55 |
[1] 처음엔 각각 코스믹/라이프/러브 스파이럴로 불렸다.[2024-25시즌변경] [3] 2023-24 시즌까지는 몸과 머리 모두 빙판에 가까워야했지만 2024-25 시즌부터는 빙판에 가까워야하는 신체 부위에 머리만을 명시하고 있다.[4] 백워드 아웃사이드 데스 스파이럴에서는 몸을 빙판으로 아예 젖히므로 차이가 있다.[2024-25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