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bgcolor=#3c3b6e,#141425><tablebordercolor=#3c3b6e,#141425><width=45%> ||피겨 스케이팅
구성 요소 ||
구성 요소 ||
- [ 필수 요소 ]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width=1000><bgcolor=#d4c0fa,#1c1d1f> 점프 ||<width=25%><bgcolor=#fff,#1c1d1f> 스핀 ||<width=25%><bgcolor=#d4c0fa,#1c1d1f> 코레오 시퀀스[1] ||<width=25%><bgcolor=#faeb93,#1c1d1f> 코레오 요소[2] ||
데스 스파이럴 트위스트 리프트 리프트 스텝 시퀀스 턴 시퀀스 패턴 댄스 {{{#!wiki style="font-size: .7em" - 평가 종목: 라이트 모드에서는 배경색, 다크 모드에서는 글자색으로 강조하여 종목별 필수 요소를 나타냄.
- 문서 개설 여부: 라이트 모드에서는 회색 글자로, 다크 모드에서는 회색 배경으로 나타냄.
분홍색: 싱글 스케이팅 단독 평가 요소하늘색: 페어 스케이팅 단독 평가 요소노란색: 아이스 댄스 단독 평가 요소연두색: 페어 스케이팅/아이스 댄스 평가 요소||<bgcolor=#fff,#1c1d1f>그 외: 전 종목 평가 요소||ex. 문서가 개설 되지 않은 아이스 댄스 평가 요소
}}} ||
하이드로블레이딩 Hydroblading | |
| |
하뉴 유즈루의 하이드로블레이딩 | |
| |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의 하이드로블레이딩 |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유형 | 연결 요소 |
1. 개요
하이드로블레이딩은 피겨 스케이팅의 연결 요소이며, 아이스 댄스에서는 아예 코레오그래픽 요소 중 하나로 개설되었다.발명자는 알려져있지 않지만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가 1990년대 초에 동작을 대중화시켰으며 당시 코치였던 Uschi Keszler가 하이드로블레이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2. 방법
빙판과 아주 가까이 몸을 낮추어 활주한다.아이스 댄스 룰 북에서는 '빙판과 상체가 거의 평행할 정도로 몸을 기울여 신체가 빙판에 똑바로 서있을 때의 축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라고 최소 요구 조건을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ISU는 캔틸레버나 아주 깊은 에지의 스프레드 이글, 이나 바우어 까지도 유연하게 하이드로블레이딩으로 해석하고 있다.
- 스케이팅 렉[skating-leg]을 구부린 채 깊은 인에지로 후진 활주한다. 회전반경 안쪽에 위치한 프리 렉[free-leg]를 굽힌 다리 뒤로 교차하여 뻗는 게 가장 일반적이나 얼마든지 프리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하뉴 유즈루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남자 선수 참고) - 스케이팅 렉을 구부린 채 깊은 아웃 에지로 후진 활주하며 회전반경 바깥에 위치한 프리 렉을 옆으로 뻗는다.
스즈키 아키코 - 슛-더-덕(shoot the duck) 또는 크라우칭 자세에서 상체를 뒤로 젖히는 자세.
매디슨 허벨 / 케이퍼 허벨
(슛-더-덕)율리아 투르킬라 / 마티야스 베슬루이스
(크라우칭)
이 자세는 싱글 스케이팅보다는 아이스 댄스에서 찾아보기가 더 쉽지만 싱글 종목에서도 구사하는 선수가 간혹 있다.케빈 에이모즈 - 상체를 깊게 숙인 인 에지 이나 바우어.
카테리나 므라즈코바 / 다니엘 므라제크
(남자 선수 참고[3]) - 몸을 뒤로 누인 아웃 에지 스프레드 이글이나 베스티 스쿼트.
임해나 / 권예
(여자 선수 참고[4]) - 상체를 천장으로 열어젖히는 경우 '오픈 숄더' 하이드로 블레이딩이라고 한다.
케빈 에이모즈 마리 두파야지 / 토마스 나베
(여자 선수 참고[5]) - 캐치 풋
3. 종목별 하이드로블레이딩
3.1. 싱글 및 페어
싱글과 페어의 실제 경기에서는 코레오그래픽 시퀀스를 구성할 때 주로 쓰인다. 하이드로블레이딩을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하는 싱글 선수로는 김채연, 김하늘, 키건 메싱, 하뉴 유즈루 등이 있다.3.2. 아이스 댄스
아이스 댄스에서도 연결 요소로 쓸 수 있지만 프리 댄스에서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한다면 코레오그래픽 하이드로블레이딩 무브먼트로 인정되어 점수를 받을 수도 있다. 누가 먼저 시작하든 끝내든 상관 없이 두 사람이 함께 하이드로블레이딩을 하여 3초를 채우기만 하면 된다.<rowcolor=white,white> 코레오그래픽 하이드로블레이딩 무브먼트 | 코레오그래픽 슬라이딩 무브먼트 |
| |
임해나 / 권예 |
임해나 / 권예 조는 2023-24 시즌과 2024-25 시즌의 프리 댄스에서 거의 같은 동작을 코레오그래픽 요소로서 활용했지만 2023-24 시즌에는 손이나 무릎으로 빙판을 쓸지 않고 버텨서 코레오그래픽 하이드로블레이딩 무브먼트를 의도하였고, 의도한대로 하이드로블레이딩 무브먼트로서 인정받았다. 반면 2024-25 시즌에는 동작 내내 손으로 빙판을 쓸고 마무리에서는 무릎을 활용하여 코레오그래픽 슬라이딩 무브먼트를 의도하였고 의도한대로 인정받고 기록되었다.
[skating-leg] 빙판에 직접 닿아 체중을 실은 다리로, 실질적으로 스케이팅을 하는 쪽의 다리를 말한다.[free-leg] 빙판과 닿지 않거나 닿아있다 하더라도 체중이 실려있지 않아 실질적으로 스케이팅을 한다고 볼 수 없는 다리.[3] 이나 바우어가 변형된 형태의 하이드로블레이딩을 남자 선수가 구사하고 있을 뿐 여자 선수도 하이드로블레이딩을 구사하고 있다.[4] 베스티 스쿼트처럼 수행하는 하이드로블레이딩을 여자 선수가 구사하고 있을 뿐 남자 선수도 하이드로블레이딩을 구사하고 있다.[5] 오픈 숄더 하이드로블레이딩을 여자 선수가 구사하고 있을 뿐 남자 선수도 하이드로블레이딩을 구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