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상징 | 역사 | 학부 | 대학원 | 캠퍼스 | |
학생 정보 | |||||
입학 | 학사제도 | 동아리 | 학내언론 | 학식 | |
기타 정보 | |||||
출신인물 | 학교법인 | 사건사고 | 평생교육 | 웹사이트 |
1. 개요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5><tablebordercolor=#b93234><tablebgcolor=#b93234> | 세종대학교 | }}} | |
교표 | ||||
<colbgcolor=#f5f5f5>[[앙부일구| 앙부일구 ]] | 세종대왕의 애민정신(愛民精神)을 상징 | |||
[[월계수| 월계수 ]] | 월계관의 형태로 승리를 상징 | |||
[[아가페| 아가페 ]] | 기독교정신에 기반한 이타적 사랑을 상징 | |||
상징색 | ||||
세종 크림슨 레드 세종 그레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32%; min-height:2em" {{{#!folding ⠀[ 보조색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엠블럼 색상규정 | |||
베이지 라이트 골드 | ||||
색상규정 2 | ||||
쿨 그레이 아이보리 웜 그레이1 웜 그레이2 | ||||
골드 옐로우 실버 라이트 그레이 | ||||
슬로건 | |
창조하라 세종처럼 | |
교화 | |
에델바이스 Edelweiss | |
FM | |
해방세종 解放世宗 |
2. 교표 및 엠블럼
교표 및 엠블럼 | |
교표 | |
엠블럼 | |
세종대학교의 교표 및 엠블럼은 앙부일구의 영침(影針)과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를 단순화하여 만들어졌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앙부일구는 세종 16년(1434년) 10월 2일 백성들이 많이 지나다니던 혜정교(惠政橋)와 종묘 앞(현 종로1가)에 설치되었던 공중 해시계이다. 백성들이 시간을 읽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했던 세종대왕은 장영실, 이천, 김조 등 조선의 과학자들에게 명령을 내려 앙부일구를 발명시켰다.[1]
앙부일구는 뾰족한 부분인 영침(影針)과 반구형의 오목한 부분인 수영면(受影面)[2]으로 구성되어 있다. 햇빛이 영침에 닿으면 수영면에 영침의 그림자가 드리워졌고, 이때 수영면에 새겨진 눈금을 통해 시각과 계절을 알 수 있었다. 백성들이 숫자와 글자를 읽지 못할 것을 염려해 시각은 쥐·소·호랑이·토끼 등 12지신의 동물 그림으로 표시했다.[3] 이처럼 앙부일구는 한글과 더불어 세종대왕의 애민정신(愛民精神)[4]이 담긴 조선시대의 발명품이며, 세종대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기리기 위해 앙부일구의 영침을 세종대의 교표와 엠블럼에 사용하고 있다.
세종대 교표와 엠블럼에는 앙부일구의 영침과 월계수 외에도 여러 단어들이 있다. 교표와 엠블럼의 중심에는 아가페(AGAPE)가 있으며, 이는 세종대 교육이념인 기독교정신에 기반한 이타적인 사랑을 나타낸다. 교표의 테두리에는 세종대의 교명과 교훈(창의, 봉사)이 라틴어로 적혀 있다.
과거 교표 | ||
1948~1954 | 1954~1978 | 1978~1987 |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 수도여자사범대학 | 세종대학 |
현재의 세종대 교표 및 엠블럼은 세종대의 전신인 수도여자사범대학 및 세종대학의 교표에서 기원하였다. 서울가정보육사범학교 시기에는 교명을 한글 및 한자 스승 사(師)로 표기한 교표를 사용하였으나, 수도여자사범대학으로 승격된 이후 승리를 상징하는 월계수, 자유와 진리 탐구를 상징하는 횃불, 교명 약칭(수도사대), 전신인 서울여자전문학관이 미군정으로부터 정식인가 받은 연도(1947)[5]로 구성된 교표를 사용하였다. 세종대학으로 전환된 이후에는 앙부일구의 영침, 진리를 상징하는 책, 교명으로 구성된 교표를 사용하였다. 현재의 교표 및 엠블럼은 수도사대 교표의 월계수와 세종대학 교표의 앙부일구 영침, 진리를 상징하는 책을 계승하였다. 단, 현재의 교표 및 엠블럼에 있는 개교 연도는 기존의 서울여자전문학관 정식인가 연도(1947)에서 세종대의 시초인 경성인문중등학원 설립 연도(1940)로 정정되었다.
3. 로고타입
로고타입[6] |
국문 로고타입 |
영문 로고타입 |
세종대학교의 국문, 영문 로고타입은 교표와 함께 세종대를 상징한다. 로고타입은 교표를 구성하는 유연한 곡선이 활용된 세종대만의 독창적인 글꼴로 만들어졌다.[7]
4. 교색
교색[8] | ||||
색상규정 1 | ||||
세종 크림슨 레드 SEJONG CRIMSON RED 헥스 코드: #b93234 세종 그레이 SEJONG GRAY 헥스 코드: #46515b | ||||
기타 색상규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색상규정 2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색상규정 2 | |||
세종 쿨 그레이 (#f1eee2) | 세종 아이보리 (#fffde0) | |||
세종 웜 그레이1 (#c8bda7) | 세종 웜 그레이2 (#715f52) | |||
세종 라이트 그레이 (#879196) | 세종 옐로우 (#fdd270) | |||
세종 골드 (#8e694c) | 세종 실버 (#c9c9c9) | |||
- ⠀[ 엠블럼 색상규정 ]⠀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f5f5f5><width=1000><:>엠블럼 색상규정||
세종 베이지
(#d1b27f)세종 라이트 골드
(#84704a)
세종대학교의 대표 교색(校色)은 색상규정1의 세종 크림슨 레드와 세종 그레이이다. 세종 크림슨 레드는 활기와 정열을 상징하며, 세종대 교표와 엠블럼에 사용되고 있다. 세종 그레이는 세종대 로고타입의 글자색으로 사용되고 있다. 색상규정2의 여러 색상은 다양성, 즐거움, 대학다움 등을 전달하는 활용도 높은 보조 교색이다.[9] 색상규정 1, 2의 색상 외에도 세종 베이지, 세종 라이트 골드 색상이 세종 크림슨 레드와 함께 엠블럼 색상으로 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10]
5. 교화
교화 |
에델바이스 Edelweiss |
세종대학교의 교화(校花)는 에델바이스이다. 에델바이스는 유럽, 아시아, 남아메리카의 산악지대에서 자라는 국화과 다년초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산솜다리 또는 솜다리로 불린다. 꽃말은 소중한 추억, 고귀한 사람, 인내, 기품, 용기이다. 세종대에는 교화의 이름에서 유래한 에델바이스 장학금이 있다.
6. 교수
교수 | |
개교-1981 | 1981-현재 |
봉황 | - |
세종대학교의 공식적인 교수(校獸)[11]는 없다. 그러나 개교할 때부터 교수가 없던 것은 아니다. 1981년 4월 30일자 경향신문 신문 기사[12]에 따르면, 세종대는 1981년 이전까지 봉황을 교수로 여겼다. 그러나 1981년 4월, 세종대는 새로운 교수를 찾아 나섰다. 기존의 교수인 봉황은 당시 기준으로 '여성적인 면'이 많아 1978년 여자대학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한 세종대를 상징할 수 없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학교 당국자들은 교수(敎授) 및 학생들에게 새로운 상징동물을 추천해달라고 요청하였으나, 당국자들이 '남녀공학으로서의 대학'을 상징할 수 있다고 여겼던 동물들은 이미 타 대학들에 의해 선점되어 새로운 교수를 찾는데 난항을 겪었다. 1981년 4월 이후 세종대 교수 선정에 관한 후속 신문기사 등의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이러한 공식적인 교수의 부재로 인해, 세종대에는 비공식적인 교수들이 존재한다. 세종대 박물관 앞의 아사달 연못에 있었던 오리들이 '세종오리'라고 불리며 세종대 교수로 여겨지거나, 세종대 애지헌 옆 대양타워 안에 기린이 사육되고 있다는 도시전설로 인해 기린이 세종대 교수로 여겨졌던 게 그 예이다.
7. 교가 및 창립기념가
교가 및 창립기념가[13]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9%; min-height:2em" {{{#!folding ⠀[ 교가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교가 |
1절 자유의 종 이 땅에 울리니 우리 젊은 가슴 희망에 차 슬기로운 이 집에 몸 맘 닦네 남산에 저 송백 우리 기상 2절 눈바람에 더 푸른 저 모습 높이자 이상 저 하늘까지 몸 맘 뭉치세 우리 젊은이 모교의 영광 길이 빛내세 | |
- ⠀[ 창립기념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d3d3d3><width=1000><:>창립기념가||
1절
하늘에 영광 땅에 빛 우리 학교 서는 날
별같이 모인 우리 영원한 영광 비네
이 집에 자라는 우리 겨레의 횃불되리
이 집에 배우는 우리 사랑의 꽃밭 되오리
8. 슬로건
슬로건 |
세종대학교의 슬로건은 창조하라 세종처럼이다. '창조'를 강조하기 위해 도치법이 사용되었으며, '세종'이 세종대왕과 세종대를 의미하는 중의적 표현으로서 사용되었다. 이 슬로건에는 한글을 창제하여 백성을 가르친 세종대왕처럼, 세종대가 여러 전공을 융합하여 융합전공을 개설하고 융합전공 교육을 선도하여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세종대는 이러한 슬로건에 걸맞게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2개 이상의 전공이 융합된 AI연계융합전공을 운영하고 있으며[14], 세종대 인공지능융합대학에는 소프트웨어 융합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9. FM
단과대학·학과별 FM에 대한 내용은 세종대학교/학부 문서 참고하십시오.
FM |
해방세종 解放世宗 |
세종대학교의 FM은 해방세종이다. 이 FM은 세종대 학원자주화투쟁 당시 학원(學園) 민주화를 염원하였던 세종대 구성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해방세종은 학원자주화투쟁 구호뿐만 아니라 1990학년도 세종대 제6대 총학생회의 이름으로서도 사용되었다.
[1] 서울경제 - '愛民의 시간' 품은 앙부일구, 태평양 건너 고향의 품으로, 국립중앙박물관 - 앙부일구 - 하늘을 우러러 백성의 시간을 담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 앙부일구(仰釜日晷)[2] 시반면(時盤面)이라고도 한다.[3] 서울경제 - '愛民의 시간' 품은 앙부일구, 태평양 건너 고향의 품으로, 국립중앙박물관 - 앙부일구 - 하늘을 우러러 백성의 시간을 담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 앙부일구(仰釜日晷)[4] 애민정신(愛民精神)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가짐을 의미한다.[5] 조선일보 - 女子專問學(여자전문학) 館正式認可(관정식인가)[6] 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로고타입)[7] 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로고타입)[8] 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색상규정)[9] 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색상규정2)[10] 세종대학교 홍보실 - 창립 75주년 기념 엠블럼 선보여, 세종대학교 홍보실 - 세종상징(엠블럼 색상규정)[11] 학교 상징동물[12] 경향신문 - 世宗大學(세종대학)상징 새動物(동물)찾기 한창[13] 세종대 설립자 주영하가 작사하였다.[14]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학사안내(연계융합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