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9:06:46

삼랑진읍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59c134>
파일:밀양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하남읍 단장면 무안면 부북면
산내면 산외면 상남면
상동면 청도면 초동면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2785cd>
행정동
||<-2> 법정동 ||
<colbgcolor=#59c134> 가곡동 가곡동 남포동
교동
시청
교동
내일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내일동 용평동 활성동 }}}
내이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삼문동
삼문동
}}}}}}}}} ||
밀양시
삼랑진읍
三浪津邑 | Samnangjin-eup
<colbgcolor=#59c13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 밀양시
행정표준코드 5360030
관할 법정리 13리
하위 행정구역 31행정리 86반
면적 78.31㎢
인구 6,232명[1]
인구밀도 81.06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상웅 (초선)
경상남도의원 | 제2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예상원 (3선)
밀양시의원 | 라 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이현우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영도 (초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허홍 (5선) }}}}}}}}}
행정복지센터 외송중앙길 6 (송지리 409-1)
삼랑진읍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역사3. 명칭유래4. 지리5. 교통6. 관할 리7. 출신 인물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밀양시 동남부에 위치한 .

2. 역사

이 읍의 명명 과정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좀 특이하다. 원래는 철도가 지나갈 시 그 /면의 이름을 따서 역의 이름을 짓는데, 삼랑진읍은 반대로 이 곳을 지나는 삼랑진역의 역명을 따 1928년 하동면(下東面)에서 삼랑진면으로 개칭되었다.[2] 이 후 1963년 삼랑진읍으로 승격되었다.

3. 명칭유래

밀양강이 낙동강 본류에 흘러드는 지점으로 세 줄기 큰 강물이 부딪쳐서 물결이 일렁이는 곳이라 하여 삼랑진이라 칭하였다.

4. 지리

동으로 금오산에서 맥을 이은 천태산(天台山) 자락이 양산시(梁山市) 원동면(院洞面)과 경계를 이루었고, 서쪽으로 밀양강 하류를 사이에 두고 상남면(上南面)과 마주하였으며, 북쪽으로 만어산(萬魚山) 줄기를 경계로 단장면(丹場面)과 접하고 있다. 밀양강과 낙동강의 분기점 덕분에 삼랑진을 통하여 내륙항구도시로 발달되었으나 철도와 육상교통으로 쇠퇴를 거듭하다가 낙동강하구둑이 설치된 이후로는 단순 소철도중심지로 그치게 되었다.

5. 교통

경부선, 경전선 삼랑진역이 이 곳에 위치하며, 경부선경전선이 분기하는 역이다.

대구부산고속도로 삼랑진IC도 이 곳에 있다.

6. 관할 리

7. 출신 인물

8. 관련 문서


[1] 2024년 4월 주민등록인구[2] 비슷한 경우로 곤지암IC의 이름을 따라 개칭된 광주시 곤지암읍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