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13:36:42

북한-탄자니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아메리카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서아시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아프리카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다자관계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북한 탄자니아

1. 개요2. 역사
2.1. 20세기2.2. 21세기
3. 대사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탄자니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

2.1. 20세기

양국의 공식적인 수교는 1965년 1월에 맺었다.

탄자니아 병합 이전인 잔지바르의 경우 1964년에는 사회주의 체제 국가로써, 북한의 우방이었다. 섬 북쪽에 있는 곰바니 경기장은 '김일성 경기장'이라고도 불리우는데, 북한에서 지어주었기 때문이다. 기술자부터 건설자재까지 북한에서 지원한 건물이다.[1]

잔지바르의 아베이드 카루메(Abeid Karume) 대통령이 경기장을 하나 지어달라고 요구하면서 그 대가로 매년 김일성의 생일마다 축전행사를 그 경기장에서 열겠다고 하자 김일성은 흔쾌히 승낙했다. 그러자 잔지바르의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김일성 주석 만세를 삼창했다고 한다.

2.2. 21세기

북한과 다방면에서 협력했기에 탄자니아 내 북한 병원이 13곳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엉터리 진료와 가짜 약 판매를 불법적으로 행하고 있어 이용 환자들도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탄자니아 내 북한병원의 불법적으로 운영 실태를 보도한 탄자니아의 일간지 '시티즌(The Citizen)' 사무실에 북한의사 4명이 들이닥쳐, 하루 전에 보도된 기사 내용 가운데 자신들의 병원을 ‘깡패병원’이라고 묘사한 것을 문제 삼으며 거칠게 항의하여 소란을 피웠다.

3. 대사관

다르에스살람에 북한 대사관을 두고 있다.

4. 관련 문서



[1] 북한 대사(대사관의 총 책임자)출신의 고영환씨가 과거에 쓴 '평양25시'라는 책에 북한의 아프리카 외교에 대한 부분이 자세히 나와 있다. 이 부분을 참조하면 좋다. 책 자체는 절판되었으나 인터넷에 텍스트 형태로 많이 퍼져 있으므로 찾기는 어렵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