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7 07:54:20

북한-아프리카 관계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북한 아프리카
1. 개요2. 역사적 관계3. 문화 교류4. 경제 교류5. 군사 교류6. 지역별 관계
6.1. 나이지리아6.2. 리비아6.3. 소말리아6.4. 앙골라6.5. 이집트6.6. 적도 기니
7. 대사관8. 기타9. 여담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북한아프리카 국가들의 관계.

2. 역사적 관계

1950년대에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기 시작했고, 서방 제국주의의 지배를 받았던 국가가 대부분인 만큼 반서방 기조를 띄었다. 북한은 소련의 공산주의 국제혁명역량 강화운동에 참여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북한에 우호적인 정권을 만들고자 했다.[1]

1980년대부터 아프리카 국가들이 이념 중심의 외교에서 실용주의적으로 돌아서고, 사회주의 체제가 붕괴함에 따라 북한 역시 실리외교를 펼치기 시작했다. 특히 북한 주민들의 공산주의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난 극복이 필수적이었고, 따라서 1980년대 아프리카와의 주요 외교 목표는 외화를 벌어들이는 것이었다.

1990년대부터는 북한의 무역 경제에서 아프리카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1퍼센트 대에 머물면서 공식적인 무역을 통한 외화유입은 많지 않았다. 공식적인 무역 경로 대신 북한이 이용한 주요 외화수입원은 인력의 해외 송출이었다. 아울러 기존의 역사적 관계를 바탕으로 지도자나 고위 관료들과 개인적 친분을 쌓는데 주력했다. 체제선전활동 역시 2000년대 이후 활발히 재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3. 문화 교류

4. 경제 교류

현재 경제 측면에서의 극심한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무기와 건설 기술이 필요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여전히 북한과의 경제적 교류를 이어나가고 있다.

5. 군사 교류

6. 지역별 관계

6.1. 나이지리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한-나이지리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리비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한-리비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소말리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한-소말리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앙골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한-앙골라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이집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한-이집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6. 적도 기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한-적도 기니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대사관

8. 기타

9. 여담

10. 관련 문서



[1] 반면 남한은 친소련적 행보를 보이는 아프리카의 신생 국가들과 수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기에, 외교 경쟁에서 자연스레 남한이 밀릴 수밖에 없었다. 자세한 내용은 남북한 아프리카 외교전 문서 참고.[코로나]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2020년 이후 잠정 폐쇄되었다.[코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