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3:44:54

북한-리비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 아프리카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만주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아메리카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기타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남북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서아시아·북아프리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동서관계
파일:베르베르기.svg
베르베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북한 리비아
1. 개요2. 역사적 관계, 상호 교류
2.1. 20세기2.2. 21세기
2.2.1. 2000년대2.2.2. 2010년대
3. 대사관, 교통 교류4. 관련 문서

1. 개요

북한리비아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2. 역사적 관계, 상호 교류

2.1. 20세기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무아마르 카다피는 북한의 정치인들과 만났으며, 외교를 수립했다. 북한은 노동자들을 리비아에 파견시켰다.[1]

2.2. 21세기

2.2.1. 2000년대

2000년 평양에서 두 나라간의 외무장관회담이 있었다. #

2000년 7월, 리비아는 북한제 노동미사일을 입수했다고 2000년 9월에 전해졌다. #, #

2004년 리비아는 북한과 군사거래 단절하기로 했다. #

2.2.2. 2010년대

1차 리비아 내전 때에는 북한은 카다피 정부만 인정하고 간접적으로 지원했으며 반군들을 비판적으로 봤다. 리비아에 있던 북한 의사 부부가 폭격을 당하기도 했다. #

카다피 정권 몰락 이후에도 리비아에는 북한 노동자들이 남아있으며, 두 나라 간의 외교 관계, 무역 등도 여전히 존재한다.

2014년 3월 북한 선박은 리비아 폭격 경고에도 불구하고 석유 선정을 강행했다. #

2018년 UN은 북한이 리비아와 예멘에 불법 무기 수출 시도한 것이 알려졌다고 했으며, 안보리 제재를 위반했다고 경고했다. #

2019년 2차 리비아 내전 때에는 북한이 리비아에 몰래 불법 무기거래를 하기도 했다. #

3. 대사관, 교통 교류

트리폴리에 북한 대사관이 있었으나, 2024년 폐쇄되었다.# 북한은 대사관 철수가 외교전략의 변화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지만, 상당수 전문가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따른 대북제재 장기화로 북한이 공관 운영에 어려움을 느껴 철수를 결정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교통 교류의 경우 현재 두 나라들을 잇는 항공 노선은 없는 편이다.

4. 관련 문서



[1] 김길선 기자 말로는 1990년대 초로 추정되는 시기에도 제대군인과 군대에 있는 인력들에게 사복을 입혀서 노동 인력으로 파견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많은 인력을 요구한 리비아의 한 기업가가 명단에서 몇 명의 타이틀이 없는 것을 보고 그들이 당 책임자, 행정 책임자, 비밀 경찰 책임자라는 것을 듣고는 "일 안하고 감시만 하려고 온 이런 노새들에게는 돈을 줄 이유가 없다."라고 해서 그 세 감시자들은 노동자로 뛰다가 갔다는 일화도 전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