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6:15:59

범대진

<colbgcolor=#a40e17><colcolor=#fff> {{{#fff 예) 대한민국 육군 중령}}}
범대진
Beom Dae-jin
#
출생 1956년 8월 18일
전라남도 광주시[1]
학력 애틀랜타 대학교 (학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2] / 석사[3])
국민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 박사[4])
현재 보직 한국강사문인협회 회장
국제인성교육개발진흥원 이사장
경력 제00보병사단 제00보병연대 0대대장
군사 경력
임관 육군3사관학교 (15기)[5]
복무 대한민국 육군
1978년 ~ 1993년
병과 보병
최종 계급 중령
최종 보직 제00보병사단 제00보병연대 0대대장

1. 개요2. 학력3. 생애4. 경력5. 저서6. 수상 이력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의 전직 장교이자 기업인이다.

장교 시절의 병과는 보병으로 최종 계급은 중령이다.

2. 학력

3. 생애

1956년 8월 18일 전라남도 광주시[7]에서 태어났다. 1976년 9월 육군3사관학교(15기)에 입교하였다. 1978년 졸업과 함께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으며[8], 육군보병학교에서 초군반 교육을 받았다.

전방 보병사단 대대장 보직 수행 중 불의의 사고를 당하였다. 이후 1993년 중령으로 전역하였다.

전역 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근무하다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는 (사)국제인성교육개발진흥원 이사장을 지내고 있다.

4. 경력

5. 저서

6. 수상 이력

7. 여담



[1]광주광역시[2] 생활체육 전공[3] 석사 학위 논문: 태권도 수련이 어린이의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2006. 08.)[4] 박사 학위 논문: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수련만족과 지속이용의도 및 구전의도의 관계 (2011. 02.)[5] 범대진 회장이 3사를 다녔을 적에는 3사에서는 학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았다. 2년간의 생도 교육을 받고 바로 소위로 임관하였기 때문에 육사나 학군 출신보다 2~3년 어린 나이에 임관하였다. 3사는 1983년부터 1995년까지 생도 과정이 폐지되고 1년짜리 후보생 과정으로 바뀌었으나 1996년부터 3학년 편입만 받는다. 현재는 3사를 졸업해도 4년제 대학 학사 학위가 나온다.[6] 3사 1기수 선배가 바로 이순진 예) 대장, 한동주 예) 중장이다.[7]광주광역시[8] 당시 3사는 학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아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군 생활을 하면서 대학교에 2학년으로 편입하면서 다녀야 했다. 대표적으로 이순진, 한동주 장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현재는 편입도 2학년 편입은 없고 3학년 편입만 존재한다. 3사 또한 1996년부터 3학년 편입만 존재하며, 졸업하면 4년제 대학과 동일하게 학사 학위가 주어진다.[9] 3사 15기 생도과정을 수석으로 졸업했다.[10] 유경조 장군은 3사 15기 동기들 중에서 유일하게 병사 생활을 경험해 본 사람이다.[11] 본인과 마찬가지로 군 생활 도중 불의의 사고로 군 생활을 마무리지어야 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12] 당시 3사 출신은 장기 복무를 하려면 4년제 학사 학위를 취득해야만 했다. 그렇지 않으면 장기 복무 선발도 되지 않고 대위 계급으로 전역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장 3사 출신 선배인 이순진합동참모의장 또한 중위 때 경북대학교에서 교육학사 학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