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13:37:51

한국투자증권

뱅키스에서 넘어옴

파일:한국투자금융지주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12121><colcolor=#ffffff> 계열사
증권 한국투자증권
여신·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 한국투자캐피탈
VC·PE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 | 한국투자 액셀러레이터 | 한국투자파트너스
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 한국투자부동산신탁 |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 한국투자 리얼에셋운용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증권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금융공동망 참여
파일:유안타증권 로고.svg 파일:KB증권 로고.svg 파일:상상인증권 로고.png 파일:한양증권 로고.svg 파일:리딩투자증권 로고.svg
파일:BNK투자증권 로고.svg 파일:IBK투자증권 로고.svg 파일:다올투자증권CI.png 파일:미래에셋증권 로고.svg 파일:삼성증권 로고.svg
파일:한국투자증권 로고.svg 파일:NH투자증권 로고.svg 파일:교보증권 로고.svg 파일:iM증권 로고.png 파일:현대차증권 로고.svg
파일:키움증권 로고.svg 파일:LS증권 로고.jpg 파일:SK증권 로고.svg 파일:대신증권 로고.svg 파일:메리츠증권 로고.svg
파일:한화투자증권 로고.svg 파일:하나증권 CI.svg 파일:토스증권 로고.svg 파일:코리아에셋투자증권 로고.svg 파일:DS투자증권 로고.svg
파일:흥국증권 로고.svg 파일:유화증권 로고.svg 파일:넥스트증권 로고.png 파일:신한투자증권 베이직 CI (2022).svg 파일:20250413_192245.jpg
파일:유진투자증권 로고.svg 파일:카카오페이증권_CI.svg 파일:부국증권 로고.svg 파일:신영증권 로고(2022~).png 파일:케이프투자증권 로고.svg
파일:우리투자증권 로고.svg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bgcolor=#f2f2f2,#1c1d1f><color=#000,#fff> 금융공동망 미참여 ||
파일:스탠다드차타드 로고.svg 파일:KR투자증권 로고.png
지로코드순 정렬 | 증권사 코드 보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자기자본 순위 2025년 기준
별도 자기자본
회사명 대표자 가능 업무 비고
1 9.8조 파일:미래에셋증권 로고.svg 박현주(1)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 자기자본 8조 원 이상 ]
^^
종합투자계좌업무(4)^^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2 8.9조 파일:한국투자증권 로고.svg 김남구(1)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금융전업집단
3 7.3조 파일:NH투자증권 로고.svg 윤병운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금융그룹
4 6.8조 파일:삼성증권 로고.svg 이재용(1)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5 6.6조 파일:KB증권 로고.svg 김성현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금융그룹
6 6.1조 파일:메리츠증권 로고.svg 조정호(1)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금융전업집단
7 6.0조 파일:하나증권 CI.svg 강성묵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금융그룹
8 5.5조 파일:신한투자증권 베이직 CI (2022).svg 이선훈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
^^
~~단기금융업무(발행어음)(3)^^~~
금융그룹
9 4.8조 파일:키움증권 로고.svg 김익래(1)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공시대상 기업집단
10 3.1조 파일:대신증권 로고.svg 오익근(1)
[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
^^
전담중개업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업무(2)^^
금융전업집단
(1) 기업집단 동일인 (2) 자기자본 3조 원 이상 (3)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4) 자기자본 8조 원 이상
관련 법령: 자본시장법 제77조의 2 ~ 3자본시장법 시행령 제77조의 3 ~ 6
}}}}}}}}} ||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Korea Investment & Securities Co.,Ltd
파일:한국투자증권 로고.svg
<colbgcolor=#4d1b00><colcolor=#fff>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74년 7월 16일 ([age(1974-07-16)]주년)
기업 규모 대기업
업종명 금융 투자업
대표이사 김성환
자산액 97조 3,608억원 (2025년 6월)
자기자본 10조 3,238억원 (2025년 6월)
순자본비율 295.217% (2025년 6월)
매출액 19조 5,796억 원 (2024년 12월)
영업이익 1조 2,836억 원 (2024년 12월)
당기순이익 1조 1,189억 원 (2024년 12월)
임직원수 2,789명 (2025년 6월)
모회사 한국투자금융지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본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파일:D4L5JP4RSQTTVYR7OUNNMDOSUQ.jpg
여의도 본사 사옥
1. 개요2. 연혁3. 역사
3.1. 역대 로고3.2. 역대 임원
4. 지배구조5. 사업분야
5.1. 위탁매매5.2. 자산관리5.3. 투자은행5.4. 자산운용
6. 출신인물7.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증권사로, 대한민국 최초의 초대형 투자은행.

2. 연혁

3. 역사

한국투자증권의 뿌리는 1960년대 후반 정부가 직접금융시장의 확충을 위해 「자본시장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한 데에서 시작된다. 1970년 한국투자공사가 국내 최초로 증권투자신탁을 설정하면서 펀드 제도가 출범했고, 1974년 9월에는 한국 최초의 투자신탁 전업회사인 한국투자신탁이 설립되어 본격적으로 업무를 개시했다. 이 시기 출시된 공사채형 펀드는 연 19%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대중적 인기를 끌었고, 1975년에는 ‘안정성장 주식투자신탁’을 내놓으며 본격적인 주식형 펀드 시대를 열었다.

1980년대에 들어 한국투자신탁은 급성장했다. 1982년 업계 최초로 수탁고 1조 원을 돌파했고, 재형저축의 확산과 함께 가입자가 급증하면서 1988년 말 기준 펀드 가입자는 300만 명을 넘었다. 1982년에는 기업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기 위해 로고를 붉은색 계란형으로 바꾸었는데, 이는 증식·번영·결실을 상징하는 석류를 모티프로 한 것이었다. 해외 진출도 본격화되어 1986년 런던 사무소를 개설하고, 1992년에는 이를 현지법인으로 승격시켰다. 같은 시기 ‘석류보장’과 같은 보장형 펀드가 등장하며 대규모 자금을 모았으나, 원리금 보장 구조로 인해 훗날 투신업계의 부실 원인이 되었다.

1990년대는 질풍노도의 시기였다. 1990년 업계 최초로 200만 구좌를 돌파했고, 1992년에는 수탁고 10조 원을 달성했다. 1994년 여의도 신사옥으로 이전한 뒤, 1996년에는 업계 최초로 폰뱅킹 서비스를 도입하고 투자자문업 인가를 획득하며 금융서비스 혁신을 이어갔다. 그러나 1997년 외환 위기(IMF 사태)는 업계 전반의 경영난을 불러왔고, 한국투자신탁도 공적자금을 수혈받으며 구조조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투자운용 부문을 분리해 한국투자신탁운용을 출범시켰고, 본사는 1998년 기준 자산 3조 838억 원, 자본금 2,000억 원, 매출 4,664억 원, 임직원 약 1,450명을 보유한 대형 금융회사로 자리매김했다.

2000년대는 전환의 시기였다. 2000년 사명을 한국투자신탁증권으로 바꾸고, 2003년 다시 한국투자증권으로 변경했다. 2005년에는 동원증권을 합병하면서 현재의 한국투자증권 체제가 확립되었으며, 운용 부문은 한국투자신탁운용으로 독립해 한국투자금융지주 체제를 구성하게 되었다. 이후 해외 거점 확대도 이어져 2006년 베트남 호치민 사무소를 열고, 2008년 네비게이터 펀드 수탁고 1조 원, 2009년 삼성그룹주 펀드 수탁고 5조 원을 기록하는 성과를 냈다.

2010년대에는 글로벌 사업 확장과 초대형 투자은행으로의 도약이 본격화되었다. 2010년 베트남 EPS 증권을 인수하여 KIS 베트남을 출범시켰고, 2011년에는 중국 상해 사무소를 개설했다. 이어 2012년 기획재정부, 2015년 민간연기금투자풀 주간운용사로 잇따라 선정되며 공적 운용역량을 인정받았다. 2016년 현대증권 인수전에서는 고배를 마셨지만, 같은 해 우리은행 지분 4%를 인수하며 과점주주에 참여했다. 2017년에는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초대형 IB로 지정되는 동시에 국내 최초로 발행어음 업무 인가를 획득했고, 2018년 인도네시아 Danpac 증권을 인수해 KIS 인도네시아를 출범시켰다. 2019년에는 총 수탁고 50조 원을 달성했으며, 베이징 사무소를 개소하고 PT KISI Asset Management를 손자회사로 편입했다.

2020년대에도 성장은 이어졌다. 2020년 베트남 호치민 사무소를 법인으로 승격했고, 2021년에는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펀드 수탁고 1조 원을 달성했다. 2022년에는 실물 자산운용 부문을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으로 분리했으며, 같은 해 12월 카카오뱅크 지분 27.18%를 인수해 2대 주주에 오르며 자기자본을 9조 원대로 끌어올렸다. 2024년에는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을 추가로 설립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했다.

3.1. 역대 로고

파일:한국투자신탁(1974-1982).png 파일:한국투자신탁 로고(1982~2000).png 파일:한국투자신탁증권 로고(2000~2005).png 파일:한국투자증권 로고.svg
<rowcolor=#ffffff> 1974-1982 1982-2000 2000-2005 2005-현재

3.2. 역대 임원

4. 지배구조

<rowcolor=#ffffff> 주주명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투자금융지주 100%
* 2025년 기준

5. 사업분야

5.1. 위탁매매

개인과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주식(해외주식), 선물, 옵션 등의 위탁서비스를 제공한다.

한국투자증권 순영업수익의 12.1%를 차지하고 있다.

5.2. 자산관리

수익증권, Wrap, 신탁 등의 금융상품 판매하는 부문으로, 순영업수익 내 비중 약 4.3%를 차지하고 있다.

5.3. 투자은행

IPO, 공모증자, 회사채 인수 및 구조화금융, 부동산PF, 인수금융 등 기업을 위한 종합금융서비스 부문이다.

ECM부문은 2025년 상반기 7건의 IPO딜을 대표주관하고 4건의 공모증자에 참여하였으며, DCM 부문에서는 꾸준한 여전채 발행 주간 등에 힘입어 시장 내 우수한 회사채 발행 실적을 기록하였다. 부동산 PF부문에서도 우량 사업 확보로 업계 상위 시장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순영업수익 내 비중으로 16.5%을 차지하고 있다.

5.4. 자산운용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운용을 통한 매매/평가/이자/배당금수익을 취득하는 사업부문이다.

순영업수익 내 비중으로 46.3%를 차지하고 있다.

6. 출신인물

7. 여담


[1] 병역을 마친 후 첫 직장이 한국투자신탁이다.[2]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것도 있고 인공지능이 작성한 것도 있다.[3] 해외주식 수수료가 이 정도면 비싼 편은 아니고 평균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