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2:41:16

반(도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5deg, transparent 15%, #fff 15%, #fff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to bottom, #E30A17 50%, #E30A17 5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역(Bölge) 주(İl)
중앙아나톨리아
<colbgcolor=#fff,#1c1d1f>파일:앙카라.png앙카라 · 파일:에스키셰히르.png에스키셰히르 · 파일:카이세리.png카이세리 · 파일:크르셰히르.png크르셰히르 · 파일:콘야.png코니아 · 파일:네브셰히르.png네브셰히르 · 파일:시바스.png시와스 · 파일:요즈가트.png요즈가트 · 파일:악사라이.png악사라이 · 파일:카라만.png카라만 · 파일:니으데.png니데 · 파일:찬크르.png찬크르 · 파일:크륵칼레.png크르칼레
마르마라
파일:이스탄불 휘장.svg 파일:이스탄불 휘장 흰색.svg이스탄불 · 파일:발르케시르.png발르케시르 · 파일:부르사.png부르사 · 파일:차낙칼레.png차나칼레 · 파일:에디르네.png에디르네 · 파일:테키르다.png테키르다 · 파일:얄로바.png얄로바 · 파일:크륵랄렐리.png크르클라렐리 · 파일:사카리아.png아다파자르 · 파일:빌레직.png빌레지크 · 파일:코자엘리.png코자엘리
에게해
파일:이즈미르.png이즈미르 · 파일:아피온카라히사르.png아피온카라히사르 · 파일:아이든.png아이든 · 파일:데니즐리.png데니즐리 · 파일:퀴타히아.png퀴타히아 · 파일:마니사.png마니사 · 파일:우샤크.png우샤크 · 파일:무을라.png물라
지중해
파일:안탈리아.png안탈리아 · 파일:아다나.png아다나 · 파일:부르두르.png부르두르 · 파일:하타이.png하타이 · 파일:으스파르타.png으스파르타 · 파일:메르신.png메르신 · 파일:카흐라만마라쉬.png카라만마라슈 · 파일:킬리스.png킬리스 · 파일:오스마니예.png오스마니예
동남아나톨리아
파일:가지안테프.png가지안테프 · 파일:바트만.png바트만 · 파일:디야르바크르.png디야르바크르 · 파일:마르딘.png마르딘 · 파일:시이르트.png시이르트 · 파일:샨르우르파.png샨르우르파 · 파일:아드야만.png아드야만 · 파일:시으르낙.png시르나크
흑해 파일:삼순.png삼순 · 파일:아마시아.png아마시아 · 파일:아르트빈.png아르트빈 · 파일:바이부르트.png바이부르트 · 파일:볼루.png볼루 · 파일:초룸.png초룸 · 파일:뒤즈제.png뒤즈제 · 파일:기레순.png기레순 · 파일:귀뮈쉬하네.png귀뮈쉬하네 · 파일:카스타모누.png카스타모누 · 파일:오르두(튀르키예).png오르두 · 파일:리제(튀르키예).png리제 · 파일:시노프.png시노프 · 파일:토카트.png토카트 · 파일:트라브존.png트라브존 · 파일:종굴다크.png존굴다크 · 파일:바르튼.png바르튼 · 파일:카라뷕.png카라뷔크
동아나톨리아
파일:아르다한.png아르다한 · 파일:빈괼.png빈괼 · 파일:비틀리스.png비틀리스 · 파일:엘라즈으.png엘라즈 · 파일:에르진잔.png에르진잔 · 파일:에르주룸(튀르키예).png에르주룸 · 파일:학캬리.png햐카리 · 파일:카르스.png카르스 · 파일:말라티아.png말라티아 · 파일:무쉬.png무쉬 · 파일:반(튀르키예).png · 파일:으드르.png으드르 · 파일:아으르.png아으르 · 파일:툰젤리.png툰젤리 }}}}}}}}}


파일:반 터키 2.jpg

반 성채에서 내려다본 옛 도시의 폐허와 현재 시가지

튀르키예어, 영어 : Van
쿠르드어 : Wan
아르메니아어 : Վան

1. 개요2. 관광
2.1. 반 성채
3. 행정 구역4. 여담

1. 개요

튀르키예의 최동단에 위치한 도 및 중심 도시로 튀르키예 최대의 호수인 반호를 근처에 두고 있으며, 오드아이 및 헤엄치는 고양이로 유명한 반 고양이(터키시 반)로 유명한 지역이다. 중심지인 반(Van) 이외에 찰드란(Çaldıran)군[1], 무라디예(Muradiye)군, 에르지스(Ercis)군, 외잘프(Özalp)군, 사라이(Saray)군, 바스칼레(Baskale)군, 에드레미트(Edremit)군, 게바시(Gevaş)군, 바흐체사라이(Bahçesaray)군, 차타크(Çatak)군 총 11개의 시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의 서쪽으로는 비틀리스(Bitlis)도, 남서쪽으로는 시이르트(Siirt)도, 남쪽으로는 시으르나크(Şırnak)도와 하캬리(Hakkâri)도, 북쪽으로는 아르(Ağrı)도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이란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과거엔 아르메니아쿠르드족들의 왕국이 있던 곳이라 이들 흔적이 유적 곳곳으로 남아있다. 고대에는 우라르투 왕국의 마지막 수도인 투슈파였다. 절벽 언덕 위의 반 시타델이 당시의 중심지였다. 그 후 셀주크 왕조에 의해 점령되기 이전에는 아르메니아식 명칭인 바스푸라칸(Vaspurakan)으로 불렸다. 지금도 거주 인구 상당수가 쿠르드족이다. 동부에선 제법 크긴 하지만 튀르키예에선 꽤나 시골 동네로 취급받는다. 2014년 통계에 따르면 도 전체에 거주하는 인구는 108만 5,542명이며, 튀르키예에서 9번째로 인구수가 많은 도이다. 도시 자체에는 40만이 거주한다.

파일:반 터키 1.jpg
1905년의 삽화. 당시 시가지는 폐허로 남아 있다.

현재 반 시가지는 1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 독립 전쟁을 거치면서 폐허가 된 구 시가지에서 위치를 옮겨 지어졌다. 구 시가지 유적은 반 성채 주변에 방치되어 있는데, 1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군이 불태워 버린 흔적이 남아있다. 붕괴 위험이 있어 출입이 통제되고 있으며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 10월 23일에는 갑자기 들이닥친 지진으로 1천여 명이 죽거나 다치고 실종되는 일이 벌어졌다.

2. 관광

파일:반 터키 유적.jpg
성채에서 내려다 본 옛 도시의 폐허

기원전 16세기 우라르투 시절의 성채가 잘 보존되어 있는 반 성채(Van Kalesi)와 게바시군에 위치한 아크다마르섬(Akdamar Adası), 그리고 반 고양이를 사육하고 보호하는 반 100주년 대학교(Yüzüncü Yıl Üniversitesi) 내에 위치한 반 고양이의 집이 관광지로 유명하다. 중세 시대 아르메니아 성당 유적이 있으며, 2009년에 튀르키예 정부가 이를 복원시켜 예배도 열리고 있다. 특히 해발 1,700m 고지대에 위치해 여름철에도 아침 기온이 15도 정도밖에 안 되는 서늘한 기후 덕분에 피서 인구도 많은 편이다. 지역 특산품으로는 품질 좋은 유제품과 이 유명한데, 특히 향초를 넣어 독특한 맛이 나는 치즈인 오틀루 페이니르(Otlu Peynir)가 유명하다. 또한 반 지방의 향토 아침 식사(kahvaltı)는 특유의 푸짐함 때문에 튀르키예 전국에서도 이 아침 식사만 파는 식당을 찾아볼 수 있을 만큼 유명하다.

도 내의 주민들 다수가 쿠르드인이기는 하지만, 이곳 주민들은 디야르바크르, 학카리 등의 다른 쿠르드 지역과는 지역감정으로 별로 사이가 좋지 않기 때문에 PKK의 분리 독립 운동을 지지하지 않으며 치안도 좋은 편이다. 다만 반 도내를 지나는 송유관이나 천연가스관, 지역 군경 부대를 PKK가 습격하기 때문에 여행 경보로 묶여있다.

2.1. 반 성채

파일:터키 반.jpg
파일:반 터키.jpg
반 시타델

3. 행정 구역

파일:external/www.turkiyerehberi.gen.tr/van_haritasi.png

4. 여담

엘러리 퀸이 쓴 이집트 십자가 미스터리에서는 여기가 아르메니아 도시라고 나오는데 1930년대에 쓰여진 소설임에도, 시대상으로 그 이전인지 좀 국가 및 도시에 대하여 오류가 여럿 있다. 과거에 아르메니아인들이 살았던 곳은 맞지만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이후 거의 대부분 사라졌으며, 소설이 쓰인 시점에서는 엄연히 튀르키예 영토였다. 이집트 십자가 미스터리 항목 참고할 것.



[1] 오스만 제국과 페르시아 사이에 찰디란 전투가 벌어졌던 바로 그곳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