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22:57:29

테키르다

테키르다으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30A17 50%, #E30A17 5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방(Bölge) 도(İl)
중앙아나톨리아
<colbgcolor=#fff,#1c1d1f>파일:앙카라.png앙카라 · 파일:에스키셰히르.png에스키셰히르 · 파일:카이세리.png카이세리 · 파일:크르셰히르.png크르셰히르 · 파일:콘야.png콘야 · 파일:네브셰히르.png네브셰히르 · 파일:시바스.png시바스 · 파일:요즈가트.png요즈가트 · 파일:악사라이.png악사라이 · 파일:카라만.png카라만 · 파일:니으데.png니으데 · 파일:찬크르.png찬크르 · 파일:크륵칼레.png크르칼레
마르마라
파일:이스탄불 휘장.svg 파일:이스탄불 휘장 흰색.svg이스탄불 · 파일:발르케시르.png발르케시르 · 파일:부르사.png부르사 · 파일:차낙칼레.png차낙칼레 · 파일:에디르네.png에디르네 · 파일:테키르다.png테키르다 · 파일:얄로바.png얄로바 · 파일:크륵랄렐리.png크르클라렐리 · 파일:사카리아.png아다파자르 · 파일:빌레직.png빌레지크 · 파일:코자엘리.png코자엘리
에게해
파일:이즈미르.png이즈미르 · 파일:아피온카라히사르.png아피온카라히사르 · 파일:아이든.png아이든 · 파일:데니즐리.png데니즐리 · 파일:퀴타히아.png퀴타히아 · 파일:마니사.png마니사 · 파일:우샤크.png우샤크 · 파일:무을라.png무을라
지중해
파일:안탈리아.png안탈리아 · 파일:아다나.png아다나 · 파일:부르두르.png부르두르 · 파일:하타이.png하타이 · 파일:으스파르타.png으스파르타 · 파일:메르신.png메르신 · 파일:카흐라만마라쉬.png카흐라만마라쉬 · 파일:킬리스.png킬리스 · 파일:오스마니예.png오스마니예
동남아나톨리아
파일:가지안테프.png가지안테프 · 파일:바트만.png바트만 · 파일:디야르바크르.png디야르바크르 · 파일:마르딘.png마르딘 · 파일:시이르트.png시이르트 · 파일:샨르우르파.png샨르우르파 · 파일:아드야만.png아드야만 · 파일:시으르낙.png시으르낙
흑해 파일:삼순.png삼순 · 파일:아마시아.png아마시아 · 파일:아르트빈.png아르트빈 · 파일:바이부르트.png바이부르트 · 파일:볼루.png볼루 · 파일:초룸.png초룸 · 파일:뒤즈제.png뒤즈제 · 파일:기레순.png기레순 · 파일:귀뮈쉬하네.png귀뮈쉬하네 · 파일:카스타모누.png카스타모누 · 파일:오르두(튀르키예).png오르두 · 파일:리제(튀르키예).png리제 · 파일:시노프.png시노프 · 파일:토카트.png토카트 · 파일:트라브존.png트라브존 · 파일:종굴다크.png종굴다크 · 파일:바르튼.png바르튼 · 파일:카라뷕.png카라뷔크
동아나톨리아
파일:아르다한.png아르다한 · 파일:빈괼.png빈괼 · 파일:비틀리스.png비틀리스 · 파일:엘라즈으.png엘라즈으 · 파일:에르진잔.png에르진잔 · 파일:에르주룸(튀르키예).png에르주룸 · 파일:학캬리.png학캬리 · 파일:카르스.png카르스 · 파일:말라티아.png말라티아 · 파일:무쉬.png무쉬 · 파일:반(튀르키예).png · 파일:으드르.png으드르 · 파일:아으르.png아으르 · 파일:툰젤리.png툰젤리 }}}}}}}}}


파일:테키르다 터키.jpg

파일:터키 테키르다.jpg

1. 개요2. 역사3. 볼거리

1. 개요

Tekirdağ

튀르키예 서북부의 도시. 테키르다으가 정확한 표기지만 테키르다로 더 통용된다. 이스탄불에서 서쪽으로 90km, 에디르네에서 동남쪽으로 85km, 겔리볼루에서 동북쪽으로 80km 떨어진 마르마라해 안에 위치한다. 인구는 21만 명으로, 테키르다으도의 주도이다. 옛 지명은 라이데스토스로, 인근 초를루와 함께 이스탄불의 관문으로서 역사적으로 이스탄불 정권이 약해질 때마다 전장이 되었다. 9, 13세기 동로마 제국 쇠퇴기에는 불가리아 제국, 19-20세기 오스만 제국 쇠퇴기에는 러시아 제국불가리아 왕국, 튀르키예 독립 전쟁기에는 그리스 왕국이 각각 점령한 바 있다. 여름에 34도를 잘 넘지 않고, 겨울에도 영하권으로 잘 떨어지지 않는 적절한 기후 덕에 이스탄불의 부유층이 별장을 두기도 한다.

출신 인물로 19세기 후반 입헌 군주제와 튀르키예 민족주의를 주장하며 청년 튀르크당의 전신인 '청년 오스만당'을 조직한 정치 운동가 나므크 케말이 있다. 18세기 초에는 합스부르크 제국에 맞서다 오스만 제국에 망명한 헝가리의 민족 영웅 라코치 페렌츠 2세가 이곳에서 말년을 보냈고, 박물관으로 개조된 그의 저택은 현재 헝가리 정부의 소유이다. 그 외에 시내에는 테키르다으 고고학 박물관, 나믁 케말 생가 박물관, 와인 박물관, 뤼스템 파샤 모스크 등의 볼거리가 있다. 시가지 동쪽에는 테키르다으 나므크 케말 대학교가 있다. 특산물로 일대의 비옥한 토양에서 생산되는 곡물로 담근 라크가 있다.

2. 역사

파일:테키르다 1.jpg]]
1550-52년에 미마르 시난의 설계로 세워진 루스템 파샤 모스크
파일:라즈코이.jpg
라코치 페렌츠 2세 저택이 있는 '헝가리 골목'에서 바라본 마르마라 해

고대에 사모스 인들이 근처에 식민 도시 비산테 (Βισάνθη)를 세웠다. 크세노폰에 따르면 기원전 400년 경 일대는 트라키아 왕자 세우테스의 지배를 받았고, 기원전후 무렵 지명은 비산테에서 라이데스토스 (Ῥαιδεστός) 혹은 라이데스톤 (Ῥαίδεστον)으로 바뀌었다. 쇠퇴했던 도시는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 대제에 의해 재건되었으나 813년 1차 불가리아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다. 그후 다시 재건되었다가 1206년의 로도스토 전투 후 제2차 불가리아 제국에게 함락되어 파괴되었다. 1204년 ~ 1235년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던 도시는 니케아 제국을 거쳐 동로마 제국령으로 환원되었다.

14세기 중반부터는 오스만 제국령이 되었고, 루멜리아 에얄레트를 거쳐 실리스트라 에얄레트에 속했다. 지명은 로도스추크, 로도스토를 거쳐 18세기 이후 '비잔틴 영주의 산'이란 의미인 테크푸르다으를 거쳐 현재의 테키르다으로 정착되었다. 19세기에 도시는 에디르네 빌라예트 산하 테크푸르다으 산작의 치소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약해지며 1829년 8월과 1878년 2월에 러시아 제국군이 도시를 점령했고, 각각 전후에 반환되었다. 1905년 인구는 약 3만 5천이었고, 그중 절반이 그리스 정교도였다. 1차 발칸 전쟁기인 1912년 11월에 불가리아 군이 점령했으나 2차 발칸 전쟁기인 1913년 7월에 오스만 군이 수복했다.

터키 독립 전쟁 중인 1920년 7월에 그리스 왕국군이 일대를 점령했으나, 1922년 11월 터키 공화국에 반환되었다.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당시 기독교도 주민들은 테살로니키 근처에 네아 라이데스토스를 세워 정착했다. 1934년 12월에는 도브루자와 아다 칼레[1]의 튀르크 무슬림들이 테키르다에 정착했다. 전통적으로 테키르다는 동부 트라키아 평원의 곡물을 수출하는 항구였으나, 20세기 중반 들어 알렉산드루폴리에게 역할을 빼앗겼다.

3. 볼거리

파일:페렌츠 라즈코이.jpg
파일:나믁 케말.jpg
파일:베데스탄.jpg

[1] 세르비아-루마니아 국경의 다뉴브 강 하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