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570514> | 키움 히어로즈 2026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0 박주성 · 8 김성민 · 11 이강준 · 13 정현우 · 19 김윤하 · 20 조영건 · 21 이준우 · 30 주승우 · 31 오석주 · 35 박윤성 · 37 손힘찬 · 40 이태준 · 41 안우진 · 42 메르세데스 · 43 조성훈 · 46 원종현 · 49 김선기 · 50 하영민 · 54 알칸타라 · 55 양지율 · 59 김서준 · 62 전준표 · 63 손현기 · 66 이승호 · 67 김인범 · 68 김연주 · 69 김주훈 · 77 정세영 · 80 박승호 · 82 임진묵 · 83 오혜성 · 84 백진수 · 85 정동준 · 94 박정훈 · 95 윤석원 · 96 윤현 · 99 김동규 · 00 오상원 · 100 김성진 · 102 이우석 · 104 한민우 · # 박준현 · # 박지성 · # 정다훈 · # 이태양 · # 최현우 · # 김태언 · # 박준건 · # 김유빈 | ||
최종 편집: 2025년 10월 4일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응원단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 |
<colbgcolor=#002b5c><colcolor=#fff>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No.21 | |
박지성 Park Ji-Seong | |
출생 | 2007년 3월 16일 ([age(2007-03-16)]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
학력 | 도곡초 - 대치중 - 서울고 |
신체 | 190cm, 93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26년 3라운드 (전체 21번, 키움) |
소속팀 | 키움 히어로즈 (2026~) |
연봉 | 2026 / 3,000만 원 |
1. 개요
서울고등학교 야구부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025년 신세계 이마트배, 마산 용마고와의 결승전에서 4⅔이닝 2피안타 무사사구 10K를 기록하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대회에서 MVP와 우수 투수상을 석권했다.2.2. 키움 히어로즈
2026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3라운드 전체 21순위로 키움 히어로즈에 지명 받았다.2.3. 국가대표 경력
2.3.1. 2025 WBSC U-18 야구 월드컵
| |||||||||||||
<rowcolor=#fff> 경기 | 선발 | 이닝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탈삼진 | 볼넷 | ERA |
4 | 0 | 5.0 | 0 | 0 | 0 | 0 | 2 | 0 | 0 | 0 | 5 | 2 | 0.00 |
3. 플레이 스타일
|
<colcolor=#002b5c> 포심 |
|
슬라이더 |
파일:박지성커브.gif |
커브 |
|
체인지업 |
구속은 빠르지 않지만 구속 대비 포심 구위가 좋으며 변화구의 완성도도 높은 편이다. 특히, 체인지업은 아마추어 수준에서 최상급으로 평가받는다. 팀 선배 박윤성의 사이즈가 좋아진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4. 여담
5. 둘러보기
[1] 축구 레전드 박지성도 축구를 시작하기전에 야구를 하였고, 야구 선수가 되려고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