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1:26:52

박승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f236a>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부산 KCC 이지스
2024-25 시즌 응원단
}}} ||
{{{#!wiki style="color:#000000;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장내 아나운서 김진완
응원단장 박승건
치어리더 (이지스걸스) 김연정★, 김수현★, 홍재연, 김유나, 강지유, 박세아, 이지원, 허수미, 김가은, 신채원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570514>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키움 히어로즈
2024 시즌 응원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응원단장 응원부단장 장내 아나운서
김정석 박승건 유재환
치어리더
김하나[[팀장|
]] · 강수경 · 김소윤 · 김주선· 나혜인 · 박혜인 · 백선영 · 이예빈
}}}}}}}}}
박승건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응원단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박승건
부산 KCC
김정석
수원 kt
양찬규
원주 DB
박민수
창원 LG
강훈
서울 SK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
오종학
울산 현대모비스
이범형
대구 한국가스공사
서한국
고양 소노
홍창화
안양 정관장
김주일
서울 삼성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colbgcolor=#ca001a><colcolor=#ffffff> 응원단장 박승건
장내 아나운서 이인철
치어리더 정영서, 박은혜, 김수진, 이진, 김채린, 정나연, 이현아, 김민정, 최수현, 이수빈
}}}}}}}}}}}} ||

박승건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tablebordercolor=#0f236a>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부산 KCC 이지스
역대 응원단장

(전주 시절 포함)
}}} ||
{{{#!wiki style="color:#000000;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000000,#e5e5e5
초대
<rowcolor=#fff> 2대 3대 4대
오명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9)
김정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0)
오명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2)
박승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 ||
}}} ||
<colbgcolor=#0f236a><colcolor=#ffffff>
파일:박승건 전주 KCC 이지스 응원단장 2022-23 시즌 프로필 사진.jpg
부산 KCC 이지스 응원단장 No.00
키움 히어로즈 응원부단장 No.必勝
박승건
Park Seung-gun
출생 1996년 12월 3일 ([age(1996-12-03)]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7cm
학력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청소년지도학과 / 학사)
현 소속
(2023년 기준)
전주-부산 KCC 이지스 (2022~ / 한국프로농구)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022~ / WK리그)
키움 히어로즈 부응원단장 (2022~ / KBO 리그)
경력 충남 아산 FC (2020~2023 / K리그2)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경력
2.1. 키움 히어로즈 부응원단장
2.1.1. 2022 시즌2.1.2. 2023 시즌2.1.3. 2024 시즌
2.2. 전주-부산 KCC 이지스 응원단장
2.2.1. 2022-23 시즌2.2.2. 2023-24 시즌
3. 특징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부산 KCC 이지스,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충남 아산 FC의 응원단장이자 키움 히어로즈의 부(副)응원단장.

2. 경력

2.1. 키움 히어로즈 부응원단장

2.1.1. 2022 시즌

키움 히어로즈의 홈구장 고척 스카이돔의 전광판 응원단 오프닝 영상에서 김정석과 함께 등장한다.

주말 홈경기 때 외야에서 응원 유도를 잘해서 키움 팬들 사이에서는 평이 좋다.

2.1.2. 2023 시즌

2023 시즌은 키움 히어로즈의 부단장에 이어 퓨처스 리그인 고양 히어로즈의 응원단장도 겸하게 된다.

4월30일 고양 히어로즈 홈경기에 처음 등장했으며, KBO퓨처스리그 유튜브 중계에서만 봐도 혼자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5월5일 어린이날에 키움 히어로즈 홈경기를 맞아, 포켓몬스터 한지우복장을 하고 응원을했다.[1]

2.1.3. 2024 시즌

2024 시즌에도 부 응원단장으로 응원전을 함께하게 된다.

특히 외야에서도 열광적인 응원을 하면서 히어로즈 팬들의 든든한 지지를 받고 있다.

2.2. 전주-부산 KCC 이지스 응원단장

<colbgcolor=#0f236a><colcolor=#ffffff>
파일:박승건 전주 KCC 이지스 응원단장 2022-23 시즌 프로필 사진.jpg
2022-23 시즌을 시작으로 부임했다. 10여 년간 재임했던 전임 응원단장 오명섭이 떠나면서 그 자리를 채운다.

2.2.1. 2022-23 시즌

첫 시즌을 맡게 되었다.

당시 선배들인 김지선 치어리더와 김태경 치어리더와 함께 응원을 시작했다.

KCC의 시그니처 응원곡인 체리필터오리날다[2]를 공연할 때가 가장 하이라이트 부분이고 춤을 되게 잘 추고 팬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응원 유도력은 1년 차 치고는 좋은 편에 속한다. 이 시즌에 부활한 KCC 시그니처 자유투구호를 부활시키려는 노력은 좋은 평을 받고있다.

4월 3일 SK 나이츠와 6강 플레이오프에서 원정이라는 환경이었지만 목이 터져라 응원했다. 펜스에 걸쳐 응원하기까지 하는 등 팬들 사이에서는 최고라 평가 받았다. 경기를 지고 있어 분위기가 처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원정석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면서 분위기를 띄우려고 부단히 노력했다.

4월5일 SK 나이츠와의 2차전에서는 1차전보다 더 열정적인 모습이나왔으며 팬들사이에서는 정규시즌에도 원정 경기에 동행해달라 할정도로 최고의 극찬이 쏟아지고있다.

전주 팬들에게는 전임 오명섭 응원단장과 김정석 응원단장 못지 않은 좋은 평을 받았다.

2.2.2. 2023-24 시즌

구단에서 신축체육관 건립지연으로 인해 전주를 떠나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처음으로 부산 연고 구단 응원단장을 맡게 됐다.

연고이전으로 부산으로 간 이후 예전 전주 팬들만 아니라 새로 만나게 된 부산 농구 팬들 사이에서 열심히 함을 넘어 진정성 있는 응원을 하는 소리가 나올정도로 열정을 다해 응원을 한다.[3] 또한, 새 연고 응원가인 부산갈매기 후레쉬응원 연출 유도를 잘한다.

또한 허웅 응원가를 두개[4] 사용하는데, 둘다 선곡을 허웅선수의 특징에 맞게 잘 골랐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공교롭게도 신임 팀장들인 김연정 치어리더와 김수현 치어리더의 도움도 있었는데 평가가 매우 긍정적이다.[5]

선수 테마송도 선수 분위기에 맞는 곡을 잘 선정했다.

12월 30일 농구팀의 경우 원정경기에 응원단 파견을 하지 않음에도 수원 kt 소닉붐과의 수원 원정경기에도 동행해 팀에 대한 애정을 보여줬다.

1월 27일에도 서울 SK 나이츠와 서울 잠실학생 원정경기에도 동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2024 플레이오프와 2023-2024 챔피언결정전에서 절정의 응원전을 보였다.

원정 경기에서 수 많은 팬들의 함성을 이끌어냈으며 새 홈인 부산 사직에서 무인도 포함 공연도 절정이었다.

2024년 5월 1일과 5월 3일 부산 사직에서 1만 이상의 관중과 함께 응원을 했으며 5월 5일 수원에서 응원단장 부임 2년만에 플레이오프 우승을 달성했다.

오명섭 시절도 응원유도가 좋았다는 얘기가 많았지만 이미 2년차에 그 좋던 오명섭을 뛰어넘었다는 평가가 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부산 농구 팬들은 진정한 농구 응원단장을 만났는지 감격한 팬들이 있다.

3. 특징

키움 히어로즈에서 응원을 진행할 때 주말 고척 홈경기 등 관객이 많은 날에는 선배 응원단장인 김정석 응원단장과 함께하는 경우가 많다. 한 명이 내야, 한 명이 외야에서 응원을 리드하기도 한다. 둘이 응원 위치를 중간에 바꾸기도 한다. 팬들의 호응도는 좋은 편이다. 퓨처스리그인 고양 히어로즈에서는 주말 고양 홈경기에서 응원을 진행하고 있다.

전주/부산 KCC 이지스에서 응원을 진행할 때 응원석 중간에 홀로 응원을 진행한다. 경기시작 30분전 응원교육과 함께 본격적인 응원을 시작한다.

이외 경기 종료 이후 키움 히어로즈와 전주/부산 KCC 이지스 팬들에게 팬 서비스가 굉장히 좋은 편이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복장을 하고 응원을 함으로서 동시에 팬서비스도 좋다는 이야기가 팬들사이에서 나왔다.[2] 전임인 오명섭 응원단장 때부터 시작한 응원가이며 다른 구단이 질풍가도를 트는 타이밍과 비슷한 타이밍에 틀어준다.[3] 디시인사이드에서 경기 끝날때 언급이 자주 되는 모습이 보인다.[4] FT아일랜드-멋쟁이 VS 예쁜이, DJK-The Imperial March (from "Star Wars")[5] 두 치어리더의 경우 연상에 누나벌이며 실제로 야구 팬들이라면 명 치어리더로 부산과 창원에서 응원하는 팬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