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21:34:25

바이온트댐 붕괴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Il disastro del Vajont

1. 개요2. 사고 전개 과정3. 둘러보기

1. 개요

파일:220px-Disastro_Vajont.jpg





1963년 10월 9일, 이탈리아 북부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포르데노네(Pordenone)에 위치한 바이온트 댐(Vajont dam)이 붕괴하여 롱가로네 마을 주민 등 약 2천여 명이 사망했다. #1 #2 #3

댐의 위경도 좌표는 아래와 같으므로, 구글어스에서 검색하면 바로 찾을 수 있다.
46.267542°N, 12.329191°E

2. 사고 전개 과정

1920년대, 아드리아의 전력회사 '아드리아 전력(Società Adriatica di Elettricità, 이하 'SADE')[1]'은 이탈리아 북부에 전력을 공급하고자 댐을 세우기로 했다. 이후 일어난 세계 2차 대전 때문에 미뤄지다 1956년, 베네치아로부터 북쪽으로 약 100 km 떨어진 알프스 산맥의 바이온트(Vajont) 협곡을 막아 댐 건설을 시작, 59년에 완공하였다. 댐은 높이 262 m, 두께 27 m, 담수량 1억 5천만 톤으로 당시 유럽에서 가장 높은 대규모 댐이었다.

바이온트 협곡은 동서로 뻗어 산을 남북으로 나누는데, 물은 협곡의 동쪽에서 서쪽으로 흘렀다. 댐은 협곡 가운데를 남북으로 가로질렀고, 사람들 사는 지역은 물길의 하류 쪽(서쪽)에 있었다.

문제는 댐을 건설하는 바이온트 지역 지반이 물에 약하다는 것이었다. 트라이아스기 기반암 위에 쥐라기의 돌로마이트 암석이 계곡의 양쪽에서 계곡을 향해 경사를 이룬 향사구조였는데, 지층에 점토층을 포함한 약한 석회암층이 있었다. 여기에 물이 많이 닿으면 지층이 물러져 산사태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았다. 인근 지역 주민들도 이를 알고 있어 "움직이는 산" 이라 부를 정도였다. 댐 주변 과학자와 언론인들은 SADE에 경고했으나, SADE는 무시하면서 댐 건설을 강행하고, 언론, 정부와 결탁하여 방해를 막으려 했다.

결국 반대의견은 무시된 채로 1959년 댐이 완공되고 1960년 2월 부터 담수가 시작되었다. 같은 해 3월엔 수위가 130 m, 이후 170 m까지 올랐는데 아니나 다를까 문제가 발생했다. 댐 주변 지층에 물이 너무 차자 석회암 지층으로 이루어진 산이 기운 것이다. 결국 1960년 11월 4일, 산사태가 발생해 흙더미 70만 ㎡가 쏟아지는 사고가 벌어졌다. 그후 바이온트 댐 측은 더 큰 일이 벌어질까 우려하여 댐의 수위를 135 m까지 낮추었다.

댐 측에선 산사태가 저수지 쪽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막기가 불가능함을 알아차리고, 대신 수위를 맞추어 산이 무너지는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재해를 피하기로 결정했다. 댐의 수위를 185 m에서 235 m로, 다시 185 m로 낮추면서 산의 흙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확인하였는데, 그 정도는 하루에 몇 mm 정도로 미미해 보였다. 이러는 와중에도 소규모 산사태가 간헐적으로 일어났지만 그들이 보기엔 심각한 문제가 아니었다. 산사태를 무섭게 보기는커녕 인부들을 끌고와 산사태를 구경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댐의 수위가 240 m를 넘자, 흙의 이동속도가 확 뛰더니 점점 속도를 높여 나중에는 1 m에 이르렀다. 댐을 관리하는 기술자들은 댐의 수위를 240 m까지 낮추기로 하였다.

그러나 1962년 이탈리아 정부가 전력산업을 모두 국영화하며 SADE는 전력공기업 'ENEL'에 편입되었고, 댐을 관리하게 된 이탈리아 정부는 댐이 위험하다고 경고하는 언론인과 마을 주민, 반대 운동을 벌인 사람들에게 소송을 벌이며 사고가 나기 전까지 언론을 통제하면서 대다수의 지역 주민들은 이 댐의 현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1963년 10월 9일 오후 10시 39분, 댐의 상부 남쪽에 있는 토크(Toc)산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댐으로 인해 생성된) 인공호수로 2억 3800 ㎡짜리 흙더미가 덮쳤다.[2] 그 충격으로 호수의 물은 협곡의 북쪽 사면으로 쏠리더니, 높이가 250 m나 되는 파도가 일어났다.[3] 파도는 댐을 넘어 협곡을 타고 서쪽으로 6분간 흘러내려 그 아래에 있던 롱가로네(Longarone) 마을을 비롯하여 리발타(Rivalta), 피라고(Pirago), 빌라노바(Villanova) 등 인근 마을들을 쓸어버렸다. 특히 댐에서 가까웠던 롱가로네 마을의 피해가 극심하여 마을이 지워졌다.

추정 사망자 수는 대략 1900~2500명 남짓인데[4], 그중 절반은 댐 바로 앞에 있던 롱가로네 마을 사람이었다. 피해자들 중 350여 가구는 가족이 전원 사망했고 4천여 명이 생존했다.

안타깝게도 관련 책임자들은 이탈리아 정부의 극심한 부정부패 탓에 제대로 처벌받지 않았다. 이탈리아 정부는 사고가 인재(人災)가 아니라 신이 하신 일, 즉 천재(天災)라고 주장하며 책임을 회피하고자 하였다.평소에는 신 찾다가 일 터지면 신 탓하는 인간들 그러나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했고, 결국 전 SADE와 관련 회사들의 기술자 몇 명이 처벌을 받았다. 법정에 회부된 기술자들 중 마리오 판치니(Mario Pancini)는 1968년 법정 진술 전날 자살하였고 몇몇은 재판이 끝나기 전에 사망하였다. 정말로 책임져야 할 고위관계자들은 모두 빠지고 실무진 선에서 독박을 쓴 것이다.

이후 해당 지역은 2002년까지 접근 금지구역으로 지정되었다가 풀렸다. 의외로 댐 자체는 피해가 거의 없었으므로[5] 2021년 현재까지도 그 자리에 서 있다. 하지만 댐만 있을 뿐 물을 모두 빼내 저수(貯水)하지 않으므로, 지금은 물이 모였던 댐 상부에 풀과 나무가 자란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그 자리에서 경적을 울리지 않거나, 잠깐 차에서 내려 추모한다고 한다.

댐의 북쪽에 붙은 도로에서 동쪽으로 150 m쯤 되는 곳에 사고를 추모하는 작은 성당이 있다. 이름은 산타 마리아 임마콜라타 성당(Chiesa di Santa Maria Immacolata)[6]. 본디 1966년에 건설하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논쟁 때문에 건축도 못하고 질질 끌다가 1973년에야 겨우 착공, 82년에 완공하여 이듬해에 축성하였다. 이탈리아의 유명한 건축가 조반니 미켈루치(Giovanni Michelucci, 1891-1990)가 설계하였다.

3. 둘러보기

역대 이탈리아의 대형 사고 및 참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발생일<colcolor=#000>사망사건명
2024년 9월 5일
21 2024년 9월 람페두사 난민선 침몰 사고
2023년 10월 3일
22 베네치아 버스 추락사고
2023년 7월 12일
46 2023 람페두사 난민선 침몰 사고
2023년 2월 26일
94 칼라브리아 난민선 침몰 사고
}}}}}}}}}
[ 201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2019년 10월 6일
250 2019 람페두사 섬 난민선 침몰 사고
2018년 8월 14일
43 제노바 모란디 교량 붕괴 사고
2016년 7월 12일
23 안드리아-코라토 열차 충돌사고
2015년 4월 18일
525 2015 시실리 난민선 침몰사고
2014년 6월 30일
45 2014 시실리 난민선 침몰 사고
2013년 10월 11일
34 2013년 10월 람페두사 섬 난민선 침몰 사고
2013년 10월 3일
359+ 2013년 10월 람페두사 섬 난민선 침몰 사고
2013년 7월 28일
40 몬테포르테 이피노 버스 추락 사고
2012년 1월 13일
33 코스타 콩코르디아 호 좌초사고
2011년 4월 6일
150 2011년 지중해 난민선 침몰 사고
[ 200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2009년 6월 29일
32 비아레조 열차 탈선 사고
2001년 10월 8일
118 밀라노 리나테 공항 지상 충돌 사고

[ 199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99년 11월 11일
67 포자 아파트 붕괴 사고
1999년 3월 24일
39 몽블랑 터널 화재
1998년 12월 16일
27 비아 디 비그나 빌딩 붕괴 사고
1998년 2월 3일
20 카발레세 케이블카 추락 사고
1997년 3월 28일
83 오트란토 알바니아 난민선 침몰 사고
1996년 12월 16일
283 F174 침몰 사고
1995년 12월 13일
49 바나트 에어 166편 추락 사고
1994년 7월 14일
27 로마 요양원 붕괴 사고
1991년 4월 10일
140 모비 프린스 참사
1990년 11월 14일
46 알리탈리아 404편 추락 사고
1990년 4월 10일
30 제노바 알레산드리아 버스 추락 사고
[ 198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89년 9월 3일
150 113 쿠바나 항공 9046편 추락 사고
1989년 2월 8일
144 137 인디팬던트 에어 1851편 추락 사고
1988년 10월 17일
33 우간다 항공 775편 추락 사고
1987년 10월 15일
37 아에로 트랜스포티 이탈리아니 항공 460편 추락 사고
1985년 7월 19일
268 스타바 댐 붕괴사고
1985년 5월 29일
39 32 헤이젤 참사
1985년 2월 7일
21 1985년 아파트 붕괴 사고
1983년 12월 15일
35 네르비 고속도로 버스 추락 사고
1983년 2월 13일
64 스타튜토 극장 화재
1982년 4월 25일
35 팔라조 델 비그놀라 화재
1980년 8월 2일
85 볼로냐 폭탄 테러
1980년 11월 21일
28 쿠링가 열차 충돌 사고
1980년 6월 27일
81 이타비아 항공 870편 추락 사건
[ 197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79년 9월 14일
31 아에로 트랜스포티 이탈리아니 12편 추락 사고
1978년 12월 23일
108 알리타리아 4128편 추락 사고
1978년 4월 15일
48 무라제 디 바도 열차 탈선 사고
1977년 3월 3일
44 세라산 이탈리아 공군기 추락 사고
1976년 5월 2일
44 카발레세 케이블카 추락사고
1974년 1월 1일
38 이타비아 항공 897편 추락사고
1973년 12월 17일
34 1973년 로마 공항 습격·납치 사건
1972년 10월 30일
27 아에로 트랜스포티 이탈리아니 항공 327편 추락 사고
1972년 5월 5일
115 알리탈리아 항공 112편 추락 사고
1971년 11월 9일
52 영국 공군 허큘리스 추락사고
1971년 8월 28일
25 헬레아나호 화재
1970년 4월 9일
20 발러호 침몰 사고

[ 196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64년 11월 23일
50 트랜스 월드 항공 800편 이륙 사고
1964년 3월 28일
45 알리탈리아 항공 045편 추락 사고
1963년 10월 9일
1900 + 바이온트댐 붕괴 사고
1962년 5월 31일
61 보게라 열차 충돌 사고
1961년 12월 23일
71 피우마렐라 열차 탈선 사고
[ 195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 사건명
1959년 9월 16일
58 비아 카노사7 빌딩 붕괴사고
1959년 6월 26일
68 트랜스 월드 항공 891편 추락 사고
1958년 10월 22일
31 브리티시 유러피언 에어웨이즈 항공 142편 지상충돌 사고
1956년 12월 22일
21 기너 산 C-47-DL 추락 사고
1956년 11월 24일
34 LAI 항공 451편 추락 사고
1956년 8월 8일
262 136 마르시넬 광산 사고
1956년 7월 25일
51 안드레아 도리아호 침몰사고
1955년 3월 22일
24 모르가노 광산 참사
1955년 2월 13일
29 사베나 항공 503편 추락 사고
1954년 4월 8일
21 남아프리카 항공 201편 공중분해 사고
1954년 1월 10일
35 영국해외항공 781편 공중분해 사고
1952년 2월 17일
31 헌팅 에어 트랜스포트 빅커스 614 추락 사고
[ 1940년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사망사건명
1949년 6월 23일
33 KLM 록히드 L-749 추락 사고
1949년 5월 4일
31 수페르가의 비극
1947년 11월 28일
20 알프스 미 공군 C-47B 추락 사고
1947년 11월 18일
21 산타마리아 딜 몬테 브리스톨 170 추락 사고
1947년 7월 16일
48 알벵가 참사
}}} ||





[1] 현 이탈리아 전기업체 ENEL의 전신.[2] 이때의 충격을 TNT로 환산하면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원자폭탄의 약 2배였다. 즉 호수 밑바닥에 원폭 2개를 놓고 터트린 위력이라고 보면 된다.[3] 이는 인간이 만든 메가 쓰나미(megatsunami)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4] 주민들은 5천여 명이라 주장한다고 한다.[5] 대형 산사태 때문에 댐 밖으로 물이 넘쳤을 뿐, 댐 자체가 입은 피해는 미미했다.[6] 한국어로 풀이하면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 마리아 성당'이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