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최근에 진행된 대회에 대한 내용은 제47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주요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종합 기전 | GS칼텍스배 · 명인전 · 최고 기사 결정전 · 한국기원 선수권전 · 백암배 | |
제한 기전 | 맥심커피배 · 지지옥션배 · 대주배 · 국수산맥배 · 하나은행배 | ||
신인 기전 | 미래의 별 · 하찬석국수배 · 크라운해태배 · 이붕배 | ||
여자 기전 | 여자기성전 · 여자국수전 · IBK기업은행배 · 여자 최고 기사 결정전 · 난설헌배 | ||
리그전 | 바둑리그 · 챌린지리그 · 여자바둑리그 · 레전드리그 · 시니어 vs 여자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한국일보 명인전 韓國日報 名人戰 | |
<colbgcolor=#dcdcdc,#26282c> 주관 | 한국기원 |
주최 | 한국일보 |
후원 | SG그룹(44기 ~ ) |
대회 방식 | 16강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결승 3번기(44기 ~ ) |
대국 규정 | 제한시간 각자 100분(1시간 40분), 1분 초읽기 3회(45기 ~ )[1][2] |
상금 | 우승 7,000만원, 준우승 2,500만원 |
최근 우승자 | 박정환 九단 (제47기 SG배 한국일보 명인전) |
최다 우승자 | 이창호 九단 (13회)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한국기원 주관 바둑 프로기전. 주최는 한국일보. 1969년 창설되었으며, 1996년부터 SK가 후원해 '유공배 명인전', 'SK엔크린배 명인전', 'SK가스배 명인전'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가 2003년 중단되었고,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하이원 리조트(강원랜드)가 후원해 '강원랜드배 명인전',[3] '하이원리조트배 명인전' 등으로 불렀다. 현재는 SG그룹에서 후원하여 SG배 한국일보 명인전이 대회 공식 명칭이 됐다.2. 상세
역대 우승자를 살펴보면 조남철, 김인, 서봉수, 조훈현, 이창호, 이세돌, 박영훈, 최철한, 신진서, 신민준, 박정환 11명으로, 그야말로 본좌급 기사들이 거쳐간 대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서봉수의 경우 프로 입단 후 불과 1년 8개월만에 조남철 九단(당시 八단)을 꺾고 우승을 차지한 이후 5연패, 현재까지도 '서 명인'으로 자주 불린다. 또한, 타이틀 보유 상태에서 조훈현의 도전을 물리치기도 하는 등 [4] 여러모로 서봉수에게는 인생 기전인 셈이다.참고로, 우승 횟수로만 따지면 서봉수는 우승 7회로 이창호(13회), 조훈현(12회)보다 적은데, 이 두 사람은 중국과 한국에서 오래전부터 바둑 고수에 대한 존칭으로 쓰였던 국수로 불리는 사람들인지라 큰 논란은 없다.
2000년대 이후 왕위전, 패왕전 등 역사가 오래된 기전들이 문을 닫는 가운데 국수전과 함께 명맥을 계속 이어갔으나... 2016년 국수전과 함께 명인전도 폐지되었다.[5] 우승 상금 8000만원의 렛츠런파크배도 폐지 예정이라 이렇게 되면 본격기전은 GS칼텍스배와 KBS 바둑왕전밖에 남지 않게 된다. 2016년 초에 끝난 2015시즌 명인전 시상식 날 하이원 리조트 측에서 "우리는 더 이상 명인전을 열지 않겠다."고 대놓고 선포해 시상식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기도 했다.
이후 한국기원이 한국일보와 협약을 맺고, SG그룹의 후원으로 5년 만에 부활했다.#
역사가 오래되면서 대회 방식도 많이 바뀌었다. 34기까지는 도전기로 진행되었다가 35기부터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는데, 하이원리조트배(35~43기) 시절에는 35기~36기 10인 풀리그(1~2위 선수가 결승), 37~38기는 12강 양대리그 후 결선 4강 토너먼트, 39기부터 16강 토너먼트(준결승 3번기, 결승 5번기)로 진행했다. 5년 만에 부활한 44기 명인전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결승 3번기)를 채택했다.
3. 대회 진행
4. 역대 우승자
회차 | 년도 | 명인 | 준우승자 |
1 | 1969 | 조남철 | 김인 |
2 | 1970 | 김인 | 조남철 |
3 | 1971 | 조남철 | 김인 |
4 | 1972 | 서봉수 | 조남철 |
5 | 1973 | 서봉수 | 정창현 |
6 | 1974 | 서봉수 | 조훈현 |
7 | 1975 | 서봉수 | 조남철 |
8 | 1976 | 서봉수 | 윤기현 |
9 | 1978 | 조훈현 | 서봉수 |
10 | 1979 | 서봉수 | 조훈현 |
11 | 1980 | 조훈현 | 서봉수 |
12 | 1981 | 조훈현 | 서봉수 |
13 | 1982 | 조훈현 | 서봉수 |
14 | 1983 | 서봉수 | 조훈현 |
15 | 1984 | 조훈현 | 서봉수 |
16 | 1985 | 조훈현 | 김수장 |
17 | 1986 | 조훈현 | 서봉수 |
18 | 1987 | 조훈현 | 장두진 |
19 | 1988 | 조훈현 | 서봉수 |
20 | 1989 | 조훈현 | 서봉수 |
21 | 1990 | 조훈현 | 이창호 |
22 | 1991 | 이창호 | 조훈현 |
23 | 1992 | 이창호 | 양재호 |
24 | 1993 | 이창호 | 유창혁 |
25 | 1994 | 이창호 | 임선근 |
26 | 1995 | 이창호 | 양재호 |
27 | 1996 | 이창호 | 최명훈 |
28 | 1997 | 조훈현 | 이창호 |
29 | 1998 | 이창호 | 조훈현 |
30 | 1999 | 이창호 | 최명훈 |
31 | 2000 | 이창호 | 조훈현 |
32 | 2001 | 이창호 | 유창혁 |
33 | 2002 | 이창호 | 안조영 |
34 | 2004 | 이창호 | 조훈현 |
35 | 2007 | 이세돌 | 조한승 |
36 | 2008 | 이세돌 | 강동윤 |
37 | 2009 | 이창호 | 원성진 |
38 | 2010 | 박영훈 | 원성진 |
39 | 2011 | 박영훈 | 백홍석 |
40 | 2012 | 이세돌 | 백홍석 |
41 | 2013 | 최철한 | 이세돌 |
42 | 2014 | 박영훈 | 이동훈 |
43 | 2015 | 이세돌 | 박정환 |
44 | 2021 | 신진서 | 변상일 |
45 | 2022 | 신민준 | 신진서 |
46 | 2023 | 신진서 | 변상일 |
47 | 2024 | 박정환 | 이지현 |
[1] 종전에는 제한시간 각자 2시간, 1분 초읽기 3회로 진행됐었다. 바둑TV에서 중계하던 시절에는 대국을 미리 시작한 후 수순이 진행되는 도중 생중계에 들어가 중계되기 전의 수순을 정리하며 중계했었다. K바둑으로 중계가 넘어간 44기 대회는 쳣 수 부터 중계했다.[2] 예선은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3] 2007년 당시 명인전이 부활했을 때는 우승 상금이 무려 1억원으로 당시 국내 기전 우승 상금으로는 최대 규모였다.[4] 조훈현이 서봉수에 도전했다가 패배한 최초의 기전이 이 명인전이다.[5] 당시 상금은 우승 5000만원, 준우승 15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