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9 00:00:34

메소닉스

메소닉스
Mesonyx
학명 Mesonyx
Cope, 1872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메소닉스목 Mesonychia
†메소닉스과 Mesonychidae
†메소닉스속 Mesonyx
  • †메소닉스 누헤틴겐시스(M. nuhetingensis) 모식종
  • †메소닉스 오브투시덴스(M. obtusidens)
  • †메소닉스 우인텐시스(M.uintensis)
  • †메소닉스 우크불라켄시스(M.uqbulakensis)

1. 개요2. 연구사
2.1. 메소닉스와 고래의 관계2.2. 메소닉스와 안드레우사르쿠스
3. 진화사

[clearfix]

1. 개요

에오세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포유류. 속명의 뜻은 '가운데 발톱'.

2. 연구사

화석미국콜로라도, 유타, 와이오밍에오세 초기-후기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중국 쪽 지층에서는 5180~5170만년 전인 에오세 초기 지층에서 발견되어졌다.

1872년 에드워드 D.코페에 의해 명명된 메소니키드의 가장 초기 속이었고 메소니키드 그룹은 그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메소닉스는 가장 많이 파생된 속 중 하나였으며 활동적인 달리기를 위한 기능을 진화시켰다. 메소닉스는 후각이 감소했으며 먹이를 찾기 위해 시각과 청각에 의존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아마도 적극적인 사냥꾼이었을 것이다. 메소닉스는 꼬리를 포함하지 않고 약 1.25~1.5m 길이로 측정된다. 그리고 무게는 20~55kg까지 다양하다. 대충 오늘날 늑대와 유사한 크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메소닉스는 중소형 동물을 사냥하는 생태적 지위를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신선한 고기와 썩은 고기를 먹었지만 초식을 하는 발굽동물과 연관이 있었고, 대부분의 종의 먹이에는 아마도 고기, 물고기가 포함되었을 것이다. 다양한 종은 사냥꾼과 잡식성 동물 또는 청소부로 일부 지역에서 공존했다. 물론 메소닉스는 종종 표면적으로는 늑대를 닮은 것으로 재구성되었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르게 보였을 것이다.[1]

에오세 중기 때 북아메리카-아시아에서 우제류를 잡아먹는 사냥하는 포식자로 보이며, 발가락으로 가볍게 움직였다. 메소닉스의 이름 뜻과는 상반되게도 발톱 대신에 다른 유제류와 마찬가지로 발가락 끝이 작은 발굽이라는 점이다.

긴 두개골은 뇌머리뼈 위에 큰 턱 근육을 고정시키고 강력하게 물기 위해 뇌 위에 상대적으로 큰 시상능을 가졌다. 이 점은 다른 메소니키드과도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뇌 캐스트는 M. obtusidens가 에오세 포유류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잘 발달된 신피질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대의 육식동물은 더 복잡한 뇌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의 조상은 그렇지 않았다. 메소닉스 종은 그 당시에는 지능이 높은 동물이었을 것이다. 와이오밍에 있는 상부 에오세 지층에서 발견된 두개골은 총 길이가 429mm, 안면은 206mm이다.

2.1. 메소닉스와 고래의 관계

메소닉스목은 멸종된 작은 크기의 육식 또는 잡식성 포유류의 무리다. 그들은 초기 팔레오세에서 초기 에오세 동안 북아메리카, 유라시아의 고유종이었고 아시아에서 가장 초기의 대형 육식 포유류 그룹이었다. 그들은 살아있는 포유류와 밀접한 관련이 없다. 메소닉스의 분류학은 오랫동안 논쟁의 여지가 있었으며 메소닉스는 한때 식육목 등 원시 육식동물로 간주되었으나, 놀랍게도 유제류의 일종으로 분류되어 유제류와 육식동물의 특징을 결합한 동물인 "발굽 가진 늑대"로 대중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두개골과 이빨은 초기 고래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계통은 오랫동안 고래류의 조상으로 생각되었다. 메소닉스의 두개골과 특히 고래류의 이빨과 유사한 특이한 어금니 이빨(특히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인 삼각형의 크고 날카로운 이빨)은 초기 고래(고래, 돌고래)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계통은 오랫동안 고래류의 조상으로 생각되었다. 최근의 화석 발견은 이러한 생각을 뒤집었다. 고대 고래류의 잘 보존된 뒷다리의 발견과 최근의 계통 발생 분석은 이제 고래류가 하마 및 기타 관절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고래는 고도로 파생된 우제목(경우제목)이라는데 의견이 일치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제 계통을 고래 또는 직계 조상이 아닌 가까운 친척인 우제목의 자매 그룹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 초기 고래와의 유사성은 사냥이나 육식과 관련된 적응을 발달시킨 독립적으로 진화한 관련 그룹의 원시적인 유제류와 같은 초식동물 사이의 수렴 진화 때문일 것이다.

대부분의 고생물학자들은 이제 고래가 메소니키드의 후손이라는 것을 의심하고, 대신 메소니키드는 기저 유제류의 후손이며, 고래류는 하마의 반수생 조상에서 파생되거나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우제목의 후손이라고 제안한다.

2.2. 메소닉스와 안드레우사르쿠스

메소닉스의 크기 추정치는 안드레우사르쿠스가 지금까지 살았던 가장 큰 육식 포유류라는 자주 인용되는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앤드류사르쿠스는 단 하나의 두개골만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크기의 추정은 메소닉스의 확대된 측정치에 기초했다. 그러나 두 속은 밀접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개골은 서로 다른 생활 방식을 나타내며 생활에서 매우 다른 차이를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3. 진화사

메소닉스과는 팔레오세초기의 아시아북아메리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북아메리카에서는 팔레오세 초기에 이미 안칼라곤(Ankalagon)과 같은 대형 메소닉스과 동물들이 최상위포식자로 군림하고 있었다. 아마도 베링 육교을 통해 확산했을 것이지만, 이들이 북아메리카에서 아시아로 확산되었는지, 아니면 그 반대였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팔레오세와 에오세를 거치며 메소닉스를 포함한 디사쿠스(Dissacus), 파키아이나(Pachyaena)등이 진화하였다. 이 "발굽 달린 늑대"들은 아마도 유럽(당시 군도), 아시아(섬 대륙) 및 북아메리카의 후기 팔레오세, 에오세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포식자 그룹 중 하나였지만, 에오세에 새로 진화한 프리스티캄프수스 등 육지 악어와 대형 옥시아이나목 동물들과 경쟁 관계에도 있었다.

메소닉스과는 에오세 후기 때 대간극의 기후 변화로 인해서 몰락한 것으로 보인다. 에오세 말에 매우 급격한 쇠퇴에 들어가 멸종하였으며, 메소니키드의 마지막 속인 몽골레스테스(Mongolestes) 단 하나의 속만이 에오세 극후기까지 살아남았으나 결국 멸종됨으로써 메소닉스의 계통은 완전히 멸종되었다. 옥시아이나목 동물들과 프리스티참프수스 역시 이때 멸종되었으며, 이후 북반구에서 상위포식자의 지위는 식육목과 히아이노돈목으로 대체되어 식육목이 현재 생존하고 있다.[2]
[1] 짧은 하부 척추가 회전성 관절에 의해 뻣뻣하게 굳어졌기 때문에, 현대의 육식동물처럼 유연한 척추로 뛰거나 달리기보다는 현대의 유제류처럼 뻣뻣한 등으로 달렸을 것이다. 후대의 메소니키드는 늑대사슴 모두와 비슷하게 달리기 위한 일련의 사지 적응을 진화시켰지만, 그들의 다리는 비교적 두껍게 남아 있었다.[2] 다만 현존하는 식육목 대형 포식자들은 이때 둥장한 식육목 대형 포식자들이 아니다. 그 계통들은 히아이노돈목 동물들과 함께 멸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