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4 09:21:30

마이센

마이센(독일)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마이센(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이센(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마이센(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음이의어: }}}[[마이센(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이센(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마이센(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166C23><tablealign=center><tablewidth=200>
파일:작센 주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Landkreise
파일:바우첸 군 문장.svg
바우첸
Bautzen
파일:바우첸 문장.svg
(바우첸)
파일:에르츠게비르크스 군 문장.svg
에르츠게비르크스
Erzgebirgs
파일:괴를리츠 군 문장.svg
괴를리츠
Görlitz
파일:괴를리츠 문장.svg
(괴를리츠)
파일:라이프치히 군 문장.svg
라이프치히
Leipzig
파일:마이센 군 문장.svg
마이센
Meißen
(마이센)
파일:미텔작센 군 문장.svg
미텔작센
Mittelsachsen
파일:프라이베르크 문장.svg
(프라이베르크)
파일:노르트작센 군 문장.svg
노르트작센
Nordsachsen
파일:젝시셰슈바이츠오스터츠게비르게 군 문장.svg
젝시셰슈바이츠오스터츠게비르게
Sächsische Schweiz-Osterzgebirge
파일:포크트 군 문장.svg
포크트
Vogt
파일:플라우엔 문장.svg
(플라우엔)
파일:츠비카우 군 문장.svg
츠비카우
Zwickau
파일:츠비카우 문장.svg
(츠비카우)
군급시
Kreisfreie Städte
파일:켐니츠 문장.svg
켐니츠
Chemnitz
파일:드레스덴 문장.svg
드레스덴
Dresden
파일:라이프치히 문장.svg
라이프치히
Leipzig
독일의 행정구역
}}}}}}}}} ||


1. 개요2. 역사
2.1. 마이센 도자기

1. 개요

엘베 강 연안에 위치한 독일 작센주의 도시. 인구는 2023년 기준 약 29,000여 명.

그 유명한 마이센 도자기의 원산지로, 현재 작센주의 뿌리가 되는 곳이다. 드레스덴에서 북서쪽으로 20km 떨어져 있으며, S반으로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가깝다.

2. 역사

슬라브족의 취락이 있었으나, 작센 왕조독일왕 하인리히 1세게르만족을 이주시키면서 독일인의 도시가 되었다. 이후 마이센 교구가 설립되었으며 마이센 변경백국(Markgrafschaft Meißen)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1089년부터 베틴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1423년 작센-비텐베르크의 아스카니아 가문이 절손되자 독일왕 지기스문트가 베틴 가문의 마이센 변경백 프리드리히 4세에게 작센 선제후 작위를 하사하고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1세로 임명하면서 작센 선제후국의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485년 베틴 가문의 분할 조약에 따라 드레스덴, 라이프치히 등과 함께 알브레히트계의 영지가 되었다.

종교 개혁으로 가톨릭 교구는 해체되었으며 1710년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을 겸했던 선제후 아우구스트 2세에 의해 마이센 도자기가 생산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1. 마이센 도자기

아우구스트 2세는 중국, 일본산 청화백자에 심취해 거액을 들여 백자를 수집하다가, 작센에서도 백자를 만들어볼 생각을 했다. 그는 화학자 에렌프리트 폰 치른하우스(Ehrenfried Walther von Tschirnhauß)에게 거액의 자금을 주며 백자 연구소를 만들어 연구하였으나 처음에는 성과가 나지 않았다.

백자 제조에 돌파구가 열린 것은 요한 뵈트거(Johann Friedrich Böttger)의 합류 덕분이었다. 만 18세 청년으로 자칭 연금술사였던 뵈트거는 프로이센 왕국에서 연금술사 행각을 하다가 프리드리히 1세에게 감금당해 강제로 금을 만들라는 처지가 되자, 이대로 있다간 죽음을 면치 못한다고 판단하여 탈옥, 드레스덴으로 도피했다. 뵈트거의 화학 능력을 알게 된 아우구스트 2세는 1707년 뵈트거를 치른하우스의 조수로 삼아 백자에 대해 함께 연구하기 시작했고, 1708년 치른하우스가 사망한 후 뵈트거가 수석 연구자가 되었다. 그러던 중 뵈트거는 작센 영토 내에서 고령토 산지를 찾았고, 자기 생산에 필수적인 고열 가마의 구조도 터득했다.[1] 1710년 드디어 유럽 최초의 경질 백자인 마이센 도자기의 생산에 성공했다. 하지만 과로와 정신적인 압박에 시달리던 뵈트거도 백자 생산에 성공하자 긴장이 풀렸는지 1719년 36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이후 마이센 도자기는 1722년부터 정식으로 상품화되어 출시되며 작센 선제후국문장에 있는 X자로 '교차된 황실보검'을 상표로 사용할 권리를 받았다.


[1] 전임자 치른하우스는 고열 가마의 구조를 생각해 내지 못해 볼록렌즈로 태양빛을 집광하여 그릇 하나하나에 직접 쫴서 온도를 올리는 실험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