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08:57:29

리얼스토리 프로게이머

1. 소개2. 방영순서3. 떡밥 / 짤방
3.1. POS편3.2. Plus편3.3. KOR편3.4. SKT편3.5. CJ편3.6. KTF편3.7. 삼성전자 칸편3.8. 위메이드편

[clearfix]

1. 소개

플레이리스트

온게임넷(현 OGN)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방영했던 다큐테인먼트(다큐멘터리 + 예능) 프로그램. 주 1회 30분간 방영되었고, 한 시즌당 약 10회 분량으로 제작되었다.

일정한 기간 동안 특정 프로게임단을 밀착취재하며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들의 일상과 스테이지 뒷편의 모습들을 조명하는 프로그램이었다. 특히 방영 초기에는 기업구단이 아닌 비 스폰서 팀들을 우선적으로 다루었는데, 이 방송을 탄 팀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줄줄이 기업구단으로 재창단, e스포츠의 파이를 키우며 당시 스타판의 활황세에 불을 붙였던 큰 일을 해냈던 프로그램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프로게임단의 팬덤을 강화하면서 2005년 새로이 출범한 통합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의 부흥에도 기여하였다.

워낙에 진솔한 모습들이 방영되다 보니 떡밥이나 짤방들도 많이 나와서, 당시 전성기를 맞이했던 스갤스동갤 등 스타크래프트 커뮤니티에서도 많이 회자되었던 프로그램이다.

2016년 5월 LoL편이 리얼라이프 프로게이머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내레이션은 1~2화는 김동수가 맡았다가, 3~8화까지는 성우 이호산[1]이 맡았다.[2]

타이틀곡은 나카무라 유리코Comme Ce Jour.

2. 방영순서


전체 게임단 중 STX SouL, 한빛 스타즈, eSTRO와 군에 속한 공군 ACE는 이 프로에 출연하지 않았다.[6]

3. 떡밥 / 짤방

3.1. POS편


2016년 5월 30일 OGN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3.2. Plus편


2016년 5월 30일 OGN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3.3. KOR편


2016년 5월 30일 OGN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3.4. SKT편


2016년 5월 30일 OGN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다.

3.5. CJ편


OGN 유튜브에는 3편만 남아 있는 상태인데, 이조차 현재는 볼 수 없게 비공개된 것으로 보인다.

3.6. KTF편


2016년 3월 KTF편 전 에피소드가 OGN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3.7. 삼성전자 칸편


2016년 5월 30일 OGN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그런데 엉뚱한(?) 이유로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18]

3.8. 위메이드편



[1] 이후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협동전 임무에서 스톤을 맡는다.[2] 일부 에피소드는 이소은 성우도 참여했다.[3] 방영 이후 MBC GAME HERO로 창단[4] 방영 도중 르까프 오즈로 창단[5] 방영 도중 온게임넷 스파키즈로 창단[6] 다만 개별 팀원들이 간접적으로 나오기는 했다.[7] 왜냐하면 박성준은 스타리그 첫 본선 진출부터 우승-8강-준우승을 연달아 달성하고 나서 바로 또 우승-8강을 했기 때문이었다. 저 시즌에서 준우승을 하면 사이클이 한 번 더 반복되는 셈.[8] 팬들이 보내오는 선물박스가 대부분 오영종 것.[9] 방송이 끝난 후 같이 나온 손찬웅과 함께 2006년 상반기 드래프트를 통해서 정식으로 데뷔한다.[10] 김창희도 이 무렵에 데뷔했으나 방송에는 나오지 않았다.[11] 이종미, 강현(저그 선수), 조혜림(프로토스 선수).[12] 마지막 회에서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 16강 조지명식 장면을 보여줬다.[13] 파일:external/pgr21.com/z123.jpg
이 짤방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14] 참고로 이 둘은 훗날 공군 ACE에 입대했는데, 아이러니 한 것은 이때는 김성기 쪽이 고참이고 박영민이 후임이다.[15] 다만, 박영민 역시 공군 복무 당시 인간성과 평판에 대해 안 좋은 쪽으로 폭로가 이어지면서 역시 안 좋은 의미로 재평가를 받게 됐다.[16] BRION의 감독도 삼성칸 출신인 최우범이다.[17] 테란 유저였던 이승후는 당시 2007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삼성전자 칸의 지명을 받고 입단한 신인 선수였지만 공식전 데뷔는 못하고 선수에서 은퇴했다.[18] 영상의 댓글을 볼 것.[19] 위메이드 폭스 외에도 KTF의 홍진호, 온게임넷의 이명근 감독, 김창선 해설의 모습도 나온다.[20] 이 둘은 방영 도중이던 2008년 상반기 드래프트 때 정식으로 데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