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2:56:51

르 몽드

르몽드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fff>
Le Monde
르 몽드
파일:Le_Monde.svg
국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창간 1944년 12월 19일
본사 프랑스 파리 13구
편집자 제롬 페노글리오
임직원 165명
성향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자유사회주의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자매지
2.1.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1.1. 한국판2.1.2. 국제 기사2.1.3. 문화 기사2.1.4. 논조2.1.5. 구독2.1.6. 기타
2.2. 마니에르 드 부아르
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e Monde (The World, 세상)
진실을, 모든 진실을, 오직 진실만을 말하라. 바보같은 진실은 바보같이 말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진실은 마음에 들지 않게 말하고, 슬픈 진실은 슬프게 말하라.
ㅡ 위베르 뵈브메리
1944년 프랑스 파리에서 언론인 위베르 뵈브메리[1]가 창간한 일간지. 좌파 및 진보적인 논조로 유명하며[출처], 프랑스 내에서는 우파 및 보수를 대변하는 르 피가로지와 함께 신문사의 양대산맥이다.

1944년에 나치 독일의 점령에서 프랑스가 해방된 직후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는 나치와 비시 프랑스 정권 밑에서 활동한 모든 신문, 방송, 잡지사를 해체하고 나치 독일에 부역한 언론인을 모조리 사형 또는 추방하였다. 이후 샤를 드골은 좌우를 막론하고 양심적인 언론인들에게 새로운 언론사 설립을 권유했고, 이런 배경 속에서 르몽드와 르 피가로가 탄생했다. 그 외 대부분의 프랑스의 언론사도 이 때 생겼다.[3][4]

만화와 그림은 싣지 않으며, 타블로이드 판이다. 일간지로 발행 부수는 51만 부이다. 모든 권력으로부터의 독립을 표방하며, 창간 초기부터 국내외 뉴스를 깊이 있게 분석, 보도해 독립성과 정확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교정교열을 엄격하게 하여 오탈자가 없다는 평가를 받는 편집으로도 유명하다.[출처]

2. 자매지

2.1.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colbgcolor=#000><colcolor=#fff>
Le Monde Diplomatique
르 몽드 디플로마티크
파일:external/www.monde-diplomatique.fr/logofficiel-simple.png
국가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창간 1954년
본사 프랑스 파리 13구
편집자 세르즈 할리미
성향 좌파, 진보주의,사회민주주의, 반자본주의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Le Monde Diplomatique

르 몽드의 대표적인 자매지로 약칭은 "르 디플로"이다. 디플로마티크는 외교라는 뜻이다. 1954년에 르몽드의 자회사로 설립된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국제뉴스를 다루는 월간지로 30개 언어로 51개 국제판이 발행되고 있다.[6] 1973년 클로드 줄리앙이 편집장으로 취임하면서 다루는 분야를 경제, 사회, 문화, 사상으로 크게 넓히는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여 크게 성장했다.

1991년 편집장이 된 이그나시오 라모넷이 1996년 귄터 홀츠만 협회와 디플로마티크의 친구들(« Les amis du monde diplomatique »)이라는 후원협회의 도움을 받아 49%의 지분을 확보한 이후로 르몽드와 완전히 독립적인 지위를 확보하였다. 르 몽드는 51%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으나, 운영 및 논조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있다.#, #2

중립을 표방하며 중도좌파적 논조를 보이는 르몽드보다는 훨씬 좌파적, 진보적, 반자본주의적 논조를 보인다. 세계적으로도 권위를 인정받는 국제지이며, 비판적 지성을 표방한다. 놈 촘스키는 "세계를 보는 창"이라고 불렀다.

2.1.1. 한국판

<colbgcolor=#000><colcolor=#fff>
Le Monde Diplomatique Corée du Sud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파일:external/www.monde-diplomatique.fr/logofficiel-simple.pn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발행사 르몽드코리아
창간 2008년 10월
발행인 성일권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공식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2006년 한국판이 처음으로 발행되었으나 실패하였고, 기자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유학한 성일권 발행인[7]이 르몽드 코리아 설립을 추진하여 2008년부터 한겨레 신문사와의 제휴로 발행되기 시작하였다. 초대 편집장으로는 홍세화가 취임하였다. 이후 한겨레와 분쟁을 겪고는# 결별하고 2013년 9월부로 르몽드 코리아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독점 판권계약을 맺어 원판 기사 80%와 한국판 기사 20%를 게재하고 있다.

결별의 원인은 양자 모두 확답을 피하고 있으나, 르 디플로 한국판이 2013년 7월호에 삼성그룹을 대차게 비판한 '삼성, 공포의 제국'이란 제하의 특집기사를 그대로 번역해 1면에 게재한 것이 한겨레에게 부담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김용철 변호사의 삼성그룹 내부고발 당시 삼성그룹을 강도 높게 비판했던 한겨레는 이후 삼성그룹이 일체의 광고 게재를 중단해 큰 재정적인 곤경을 겪은 바 있다. 사실 반 삼성 성향으로 알려진 경향신문이나 한겨레신문이라고 해도, 수익 문제로 인해 삼성그룹의 눈치를 어느 정도 본다. 프레시안 정도가 좀 더 강하게 삼성그룹과 싸우는 편.

이후 르 디플로 트위터 계정으로 당시 한겨레 경영진의 외압이 존재했음을 밝혔다.
[Clearfix]

2.1.2. 국제 기사

한국에 나온 국제 시사지 중에서는 가장 폭넓고 상세한 국제 기사를 쓴다. 국제 이슈뿐만 아니라 IR, 경제, 철학 이론들을 비교하는 기사도 실어 이 중 한 분야에라도 관심있는 이들에게는 한 줄기 빛 같은 잡지. 다루는 국가 범위는 영미/유럽, 아시아 뿐만 아니라 동유럽, 아프리카, 남미, 오세아니아 등 말 그대로 전 세계를 다룬다. 기사들이 대체로 길지만 다행히 설명도 그만큼 상세해 처음 듣는 주제의 기사도 읽을 만 하다.

종종 슬라보예 지젝 같은 유명 학자들이 한국 기자들과 인터뷰 하는 경우가 있다. 프랑스 대선 시즌에도 슬라보예 지젝의 '찍을 사람 없다고 마크롱을 찍는 짓은 그만 하자'는 내용의 기사가 한국판에 실렸다. 장 보드리야르, 장폴 사르트르 같은 사상가들이 썼던 기사도 종종 실리고, 자크 라캉을 비롯한 구조주의자 이야기만 다룬 특집도 있어 국제이슈 뿐만 아니라 철학에 관심이 많은 이들도 볼 만 하다. 하지만 샹탈무페처럼 대학교 수업에서 교수님들도 그냥 이름만 알아두라며 설명을 회피하는 사상가들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뤄 독자들을 멘붕에 빠트리는 일이 가끔 있다. 그래도 대부분 독자들은 이러려고 르 디플로 산 거 아니냐며 꿋꿋이 읽는 편. 한적한 시간대에 대학 도서관에 가면 르디플로 한 권 때문에 서양철학사와 세계사 책을 뒤지는 이들도 가끔씩 볼 수 있다. 실제로 읽다보면 어려운 기사가 나왔을 때 혼자 공부하면서 천천히 시야를 넓혀가는 맛이 꽤 좋다.

2.1.3. 문화 기사

뭐든지 한 번 파면 더럽게 깊게 파는 경향이 있다. 대중 음악을 다뤄도 처음에는 훈훈하게 밴드 이야기로 시작했다가 후반부에 '락 음악과 해체', '우리는 어떻게 락 음악으로 연대하고 자유를 갈구하는가' 등으로 이어진다. 힙합 얘기를 해서 웬일인가 하고 보면 카슈미르의 분쟁지역에서 인도에 저항하는 래퍼들 이야기.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의 세계적인 추세나 보도듣도 못한 심도깊은 분석을 보고 싶다면 보고 추천. 국내 영화평도 실리는데 사회현상이나 철학과 엮는 경우도 있어 다각적인 영화평을 보고싶을 때도 좋다.

2.1.4. 논조

2.1.5. 구독

여느 신문 잡지처럼 온라인 기사나 잡지 구매. 르디플로 홈페이지에 가면 르디플로를 정기구독하는 도서관 목록도 있다. 공식 블로그/페이스북에는 유료 기사의 앞부분만 잘라서 올리는데,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lemonde_diplomatique_korea/ 에서는 과월호 기사를 10~20 줄 이내로 요약해 올린다. 얕게나마 르 디플로를 보고싶은 이들에게는 추천. 사실 말이 요약이지 다른 신문의 짧은 스트레이트 기사 쯤 되는 분량이다. 다만 A4용지로 6장씩 나오는 원문의 깊이를 담지 못해 비교적 아쉬운 편.

전자책으로 볼 수도 있다.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하거나 전자책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다만 종이책보다는 나오는 속도가 느리다. 2024년 12월 16일 기준, 2024년 11월호까지 나왔고 전자책 구독 서비스 중에서는 구독 기간 동안 정해진 열람권에서 차감하는 형태인 교보문고 'sam 프리미엄'과 구독 기간 동안 무제한 대여 서비스인 '밀리의 서재'에서 볼 수 있다.

2.1.6. 기타

2.2. 마니에르 드 부아르

3. 여담


베르나르 아르노의 사위인 자비에 니엘[9]이 소유주인데 LVMH랑 아르노의 비리를 폭로하거나 저격하는 기사가 나와서 논란이 있었다.

4. 관련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마니에르 드 부아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진실을, 모든 진실을, 오직 진실만을"이란 일성을 남겨 언론인의 사표로 인정받는 인물이다.[출처] 살림지식총서《르몽드》/최연구 지음/살림[3] 놀랍게도 사실 뵈브메리는 초창기에 비시 프랑스 정권을 도왔으나 42년에 레지스탕스쪽으로 옮겨서 독립운동을 했다. 해방될 때까지 비시 프랑스 진영에 있었다면 르몽드지 창간은 고사하고 숙청당했을 것이다.[4] 드골은 잡지, 신문사가 본인에게 부정적인 보도를 해도 문제삼지 않았으나 공영방송에 한해서(사실상 지상파 방송사들)는 방송은 정부의 정책을 따라야 한다며 직접적인 통제를 가했었다.[출처] 살림지식총서《르몽드》/최연구 지음/살림.[6] 2015년 3월 기준[7] 유학시절 지도교수가 르몽드에 영향력을 가진 정치학자였다고 한다,[8] 프랑스 지식인들의 고질적인 병이라고도 한다. 화려체와 장광설로 불문학도 중에서도 텍스트 강독 시에 어려워 한다. 대표적으로 부르디외는 정말 간단하게 끝날 말을 몇번이고 돌려서 하며, 마르셀 프루스트는 전설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있다.[9] 베르나르 아르노의 장녀인 델핀과 사실혼 관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