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d2f9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 | |||||
청사 루모이시 | ||||||
정 | ||||||
토마마에군 | 테시오군 | |||||
| | | | | | |
촌 | ||||||
토마마에군 | ||||||
쇼산베츠무라 | ||||||
도내 다른 행정구역 둘러보기 | }}}}}}}}} |
[ruby(留, ruby=る)][ruby(萌, ruby=もい)][ruby(市, ruby=し)] 루모이시 / Rumoi City | |||||
시기(旭川) | 문장(紋章) | ||||
기본 정보 | |||||
국가 | 일본 | ||||
지방 | 홋카이도 | ||||
도도부현 | 홋카이도 루모이 진흥국 | ||||
면적 | 297.84km² | ||||
인구 | 18,702명[1] | ||||
시장(市長) | 나카니시 슌지(中西俊司;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시의회 (14석) | |||||
의장(議長) | 오노 도시오(小野敏雄;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회파 | 맹정회(萌政会) (3석 / 21%) | ||||
맹아클럽(萌芽クラブ) (3석 / 21%) | |||||
루모이 공명당 (2석 / 14%) | |||||
민주 (2석 / 14%) | |||||
무소속 (4석 / 29%) | |||||
상징 | |||||
시화 | 철쭉(ツツジ) | ||||
시목 | 아카시아(アカシア) | ||||
홈페이지 |
천망대(千望台)에서 바라본 루모이시의 야경
컨트리 사인
1. 개요
일본 홋카이도 북서부에 위치한 도시. 루모이 진흥국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과거 1970년에는 38,691명이 거주했지만 2020년대 초에는 인구 2만 명 선도 무너졌다. 그래도 루모이 진흥국에서는 가장 큰 도시이다.시명은 '바닷물이 깊숙히 들이치는 강'을 뜻하는 아이누어 ‘루르모옷펫(로마자: Rur Mo-ot Pet, 가나: ルㇽ・モ゠おㇳ・ペㇳ)’에서 따 왔다.
주요 산업은 토목업과 루모이 항(留萌港)을 이용한 수산가공업 등이 있다. 예전에는 광산들도 많았지만 폐광이 많은 홋카이도답게 지금은 없다.
2. 역사
- 1869년 - '루르모옷펫' 지역을 확인하고 루모에(留萌)라고 제멋대로 줄였다. 이 곳을 최초로 기록함이다. 이후 개척사가, 1871년~1872년 야마구치 번이 지배했다.
- 1902년 - 루모이군(留萌郡) 레우케무라(礼受村)를 편입하였다. 이후 이급정촌제를 시행했다.
- 1907년 - 루모이군 산도마리무라(三泊村)와 합병하여 새로운 루모이무라(留萌村)가 발족하였다. 이후 일급정촌제를 시행했다.
- 1908년 - 정으로 승격하여 루모이초(留萌町)가 되었다.
- 1914년 - 마시케 지청을 이 지역으로 옮기면서 마시케 지청이 루모이 지청(留萌支庁)으로 개칭되었다.
- 1947년 10월 1일 - 시로 승격하여 루모이시(留萌市)가 되었다.
- 2004년 - 인접한 마시케초・오비라초와 합병협의회를 설치하였다.
- 2005년 1월 12일 - 합병협의회가 결렬되어 해산하였다.
3. 교통
철도도로4. 출신 인물
5. 기타
- 홋카이도의 대표적인 난독 지명으로 꼽힌다. 일본에서조차 처음 보는 사람들은 留萌라는 한자를 보고 대부분 '류메이(りゅうめい)'나 '토메모에(とめもえ)'로 잘못 읽는다.[2] 은근 잘못 검색하는 사람이 많았는지 구글에서도 'とめもえ'로 검색하면 루모이시 정보를 가장 위에 띄워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