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 몰트 스카치 위스키 | |
스페이사이드(Speyside) | 글렌그란트 · 글렌듈란 · 더 글렌리벳 · 글렌모레이 · 글렌버기 · 글렌 엘긴 · 글렌토커스 · 글렌파클라스 · 글렌피딕 더프타운 · 링크우드 · 맥캘란 · 모틀락 · 밀튼더프 · 발베니 · 벤리악· 벤로막 · 카듀 · 크래건모어 · 녹칸두 벤 리네스 · 스트라스아일라 · 크라이겔라키 · 탐듀· 올트모어 · 롱몬 · 달유인 · 아벨라워 · 글렌로시스 글렌알라키 · 탐나불린 · 토모어 · 토민타울 · 키닌비 · 스페이번 · 인치고어 · 스트라스밀 |
하이랜드(Highland) | 글렌고인 · 글렌그라사 · 글렌기어리 · 글렌드로낙 · 글렌모렌지 · 글렌카담 · 글렌터렛 · 글렌오드 · 달모어 · 로열 로크나가 로열 브라클라 · 애버펠디 · 오반 · 올드 풀트니 울프번 · 딘스톤 · 로크로몬드 · 에드라두어 · 녹두(아녹) · 발블레어 · 클라이넬리쉬 · 아드모어 · 아드나머칸 · 토마틴 툴리바딘 · 벤 네비스 · 블레어 아솔 · 페터캐런 |
로우랜드(Lowland) | 글렌킨치 · 오켄토션 · 블라드녹 · 글래스고 · 린도어스 아비 · 다프트밀 · 에덴 밀 · 클라이드사이드 애난데일 · 로클리 · 보더스 · 킹스반즈 · 아일사 베이 · |
캠벨타운(Campbeltown) | 롱로우 · 스프링뱅크 · 헤즐번 · 킬커런(글렌길) · 글렌스코시아 |
아일라(Islay) | 라가불린 · 라프로익 · 보모어 · 부나하벤 · 브룩라디 · 아드벡 · 쿨일라 · 킬호만 · 아드나호 · |
기타 섬지역(Islands) | 아란 · 탈리스커 · 하이랜드 파크 · 스카파 · 주라 · 토버모리 · 라세이 · 토라벡 |
1. 글렌킨치 (Glenkinchie)
1825년 설립된 증류소.[1] 현재는 디아지오 소속, "클래식 몰트" 제품군에 속해있다. 블렌디드 위스키 딤플의 키 몰트(key malt)다.로우랜드 스타일이 가볍다고 알려져 있긴 하지만, 이 술은 여타 다른 지방 위스키처럼 2회 증류하며 제조에 사용하는 몰트조차도 살짝 피트향을 입힌 것을 쓰기 때문에 훈제향이 살짝 난다.
그럼에도 가벼운 성격을 지닌 것은, 증류과정에서 초류와 후류를 제외한 중간부분만 채집(도수 65% 가량)해서 쓰기 때문이다.[2] 그리고 이 원액을 오래된 구리 웜 튜브 (Worm Tube - 나선형 응축관)[3]로 응축하여 개성을 더한다.
참고로 글렌킨치에서 사용하는 구리로 된 증류기 두 대는 스코틀랜드에서 제일 큰 것이라고 한다. 연간 생산량은 현재 약 200만리터로 로우랜드에서 가장 많다.
숙성에는 대부분 버번 캐스크가 사용되나, 아주 조금 쉐리 캐스크를 쓰기도 한다.
전체적인 느낌은 가벼우면서도 균형이 잡혀있고 복잡미묘하며, 크림같은 질감에 달콤한 맛을 지녔다. 다소 시골스러운 이미지가 섞여있기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술이지만, 풀바디나 피트향 강한 위스키를 좋아하는 사람에겐 왠지 미묘하게 아쉬울 수도 있을 것 같다.(말그대로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미묘함" 그 자체로써.)
현재 우리나라엔 12년(43%) 제품이 수입, 유통되고 있다. 이밖에 Distillers Edition(amontillado 쉐리캐스크로 2차 숙성한 제품, 43%)도 출시중.
2. 오켄토션 (Auchentoshan)[4]
현재 로우랜드에서 글렌킨치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증류소로 몇 안되는 로우랜드의 증류소들 중 하나다. 글래스고 시내에 증류소가 자리 잡고 있어서 이 점을 마케팅 포인트로 종종 내세운다. 글래스고 중앙역에서 차로 약 20분 정도면 도착하는 거리인데다 클라이드 강 옆에 위치하고 있어서 투어와 기념품 구입 장소로 인기가 있는 편이다. 슬로건이 'Born and raised in the city(이 도시 속에서 나고 자라다)'다.피트를 입히지 않은 몰트(대신 석탄으로 건조시킴)를 쓰며, 단식 증류기(Pot Still)로 3회 증류하여 가벼운 성격의 원액(도수 81% 가량)을 얻는다. [5] 그런 이유로 오켄토션 제품들은 스모키한 맛이 약하다.
물론 이러한 부분이 오히려 로우랜드 위스키의 전통적인 특징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오켄토션 증류소 자체가 역사가 불분명하고, 자체 맥아를 생산하고 있지 않으며, 소유주도 자주 바뀌었다. 그래서 오켄토션의 맛이 오랜 시간동안 지켜낸 로우랜드의 전통적인 맛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소수이다. 오켄토션 사 역시 역사와 전통을 강조하는 다른 증류소들과는 지향성에 차이를 두고 로우랜드 지역과 삼중증류의 희소성을 강조하는 마케팅을 하고 있다.
주력제품인 12년[6]을 비롯, 18년 / 21년 / Three wood / Classic / Select Reserve, Sauvignon Blanc 등의 제품군이 있다. 캐스크가 버번 위주에서, 셰리, 포트와인, 와인 등 갈수록 다양해지면서 테이스팅 노트의 스펙트럼이 넓어지고 있다. 빈티지 제품들은 구하기 쉬운 편이다.
오켄토션, 특히 주력인 12년은 한국에서 유난히 평이 나쁜 위스키이다. 특유의 잡내[7]가 있어 한국 위스키 애호가들에게 향 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블라인드로 내줘도 지린내가 난다는 평을 들을 정도이다. 대만 현지 리쿼샵 측에서도 악성재고로 프로모션을 자주 한다고 한다.
유독 한국에서 불호가 심한데도 해외 본사에서 일률적으로 한국으로 밀어내는 물량이 있는 것인지, 수입사인 빔산토리 코리아가 끼워팔기로 오켄토션을 국내 유통망에 밀어넣으면서 # 결국 소비자 판매에서도 이른바 인질용 위스키[8]의 단골이 되었다. 이로 인해 가뜩이나 '지린토션', '오줌토션'이라 불릴 만큼 안 좋은 오켄토션의 이미지는 나락으로 떨어졌다. 그나마 고숙성 라인업의 경우 시음평이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한국에서는 정식 수입이 되지 않는 것인지 찾아보기 힘들다. 평가가 박한 다른 위스키들과 달리 향이 부족하다거나 이상한 단맛이 나는 것은 아니며 기본기도 나름 갖춘 편이지만, 인식 자체가 인기좋은 맥캘란이나 발베니 같은 위스키에 끼워파는 인질용 위스키로 굳어진 지 오래이다.
최근 세간의 평판을 의식해서인지 리뉴얼을 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모 위스키 관련 유튜버 일행이 증류소에 방문하여 냄새 관련 이슈를 증류소 측에 전달했다.
3. 로즈뱅크 (Rosebank)
1993년 폐쇄된 증류소인데, 증류해서 숙성중인 원액 재고는 아직 남아있다.이 재고를 매년 한정적인 수량으로 판매하는데, 당연히 포트엘런만큼이나 상당히 비싼 값에 거래된다.
마찬가지로 3회 증류로 위스키를 생산했으며, 특히 여기 위스키는 압도적인 플로럴(Floral)캐릭터를 지녔다.[9]
그리고 현재 탐듀랑 글렌고인 오너인 Ian Macleod Distillers가 로즈뱅크 재가동을 위해 협상 중이다.
[1] 1837년 증류소 면허 취득.[2] 글렌모렌지도 이 방법을 쓰는데, 이러한 방식은 바디감이 가벼우며 섬세하고 깨끗한 스타일의 원액을 얻을 수 있다.하지만 모든 증류주는 미들컷(증류 시 중간 부분만 채집하는 것)을 한다. 즉 이것이 글렌킨치나 글렌모렌지만의 특성은 아니다. 단 증류소마다 얻는 미들 컷의 범위는 차이가 있다. 초류로 갈수록 보다 가볍고 플로랄한 느낌, 후류로 갈수록 오일리하고 무거운 느낌이 난다고 한다.[3] 실은 이거 쓰는 증류소가 더 드물다. 유명한 곳으로는 탈리스커[4] 들판의 가장자리(corner of field)라는 뜻을 지닌 게일어.[5] 이 두가지로 아이리쉬 위스키와 유사한 면을 엿볼 수 있다. 창립자 역시 아일랜드 사람이라는 이야기가 있다.[6] 버번 캐스크 숙성, 오켄토션 제품군 중 유일하게 우리나라에 수입 판매 중.[7] 심한 경우 오줌 지린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8] 리쿼샵에서 인기 있는 위스키를 사려면 억지로 함께 사야 하는 인기 없는 위스키를 말한다.[9] 다만 개성과 실제 맛과 품질은 별개의 문제다. 금주법 시대도 아니고 좋은 위스키를 잘 만드는 곳이었다면 애시당초 폐쇄될 일이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