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중국 | 일본 | ||||
유럽 |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몰도바 | 아르메니아 | 조지아 | ||||
아제르바이잔 | 트란스니스트리아 | 압하지야 | 남오세티야 | 가가우지아 |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네덜란드 | 벨기에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 슬로베니아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그리스 | ||||
튀르키예 | 키프로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 | ||||||||
체첸·인구시 | 아디게야 | 북오세티야 | 카라차이·발카르 | 다게스탄 | ||||
아시아 | ||||||||
대만 | 몽골 | 위구르 | 티베트 | 미얀마 | ||||
베트남 | 태국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
아프가니스탄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
예멘 | 이스라엘 | 아랍에미리트 | 쿠르드 | 바레인 | ||||
이집트 | 알제리 | 튀니지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쿠바 | ||||
도미니카 공화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페루 | 가이아나 | ||||
아르헨티나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소말리아 | 모잠비크 | 마다가스카르 | 기니 | ||||
말리 | 부르키나파소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앙골라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러시아·벨라루스·우크라이나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러시아·폴란드·리투아니아 |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 독일·러시아·폴란드 |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 유럽 연합 | 아프리카 | ||||
남북러 | 북중러 | 미중러 | 한중러 | 한러일 | ||||
과거의 대외관계 | ||||||||
조선 | 청나라 |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 일본 제국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중국 | 인도 | 몰디브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이란 | ||||||
유럽 · 아메리카 | |||||||
러시아 | 영국 | 캐나다 | |||||
다자관계 | |||||||
인도·스리랑카·몰디브 |
러시아 | 스리랑카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와 스리랑카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소련 시절부터 수교했고 소련이 해체한 이후에도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상하이 협력기구에서 러시아는 정회원국이지만, 2009년에 스리랑카가 대화 파트너가 됐다.#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스리랑카 내전 당시 소련은 타밀 엘람 해방 호랑이 전선(Liberty Tiger of Tamil Eelam; LTTE)을 적극 지원하였던 바 있다. 소련이 해체되면서 타밀 반군에 대한 지원이 끊긴 것을 계기로 스리랑카 정부군은 타밀족 반군을 완전 제압하고 스리랑카 내전을 종결시켰다.2.2. 21세기
스리랑카는 러시아와는 협력하고 있다. 그리고 친러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2009년 10월 27일에 러시아와 스리랑카는 마약 밀거래 퇴치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2019년 4월 21일에 스리랑카에서 부활절 테러가 발생된 것과 관련해 푸틴 대통령이 조의를 표하고 대테러 전쟁에 변함없이 협력하겠다고 다짐했다.#1#2
2020년 2월 6일에 러시아 군부의 실세 올레크 살류코프가 스리랑카 정부의 초청으로 스리랑카에 왔다.# 9월 3일에 스리랑카 인근 해상에서 유조선 화재가 일어나 러시아 해군, 인도 해군이 군함을 보내 구조에 나섰다.#
2021년 3월 25일에 러시아측은 스리랑카와의 정기노선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5월 4일에 러시아로부터 스푸트니크 V를 공급받았다.# 6월 5일에 스푸트니크 V 2차 물량을 확보했다.# 7월 1일에 스리랑카에서 선박 침몰 사건이 일어나자 스리랑카 정부는 러시아인 선장을 법정에 세웠다.#1#2 7월 7일에는 스푸트니크 V 50,000회분을 공급받았다.# 11월 23일에 러시아측이 스리랑카에 스푸트니크 V를 공급했다.#
2022년 3월 2일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유엔 결의안에서 스리랑카가 기권했다.# 스리랑카는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전에 러시아인 관광객들과 우크라이나인 관광객들이 각각 1위와 3위를 기록했다.#[1] 스리랑카는 러시아산 곡물 수입 의존도가 30%에 달했다.#
하지만 스리랑카가 경제난을 겪으면서 실론티를 많이 수입하던 러시아측이 거래가 어렵다고 통보했다.# 게다가 스리랑카는 경제난으로 인해 시위가 발생했고 스리랑카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2
5월 28일에 스리랑카 정부가 러시아산 원유를 도입해 공장을 가동시켰다.# 스리랑카 정부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9월에 우크라이나 이지움이 해방된 후의 7명의 스리랑카인들이 러시아군에 의해 학대당한 것이 밝혀지면서 갈등이 생겼다. 스리랑카인들이 러시아군에 의한 고문 사실을 밝혔다.#
2024년에 스리랑카인들도 취업 알선에 속으면서 전장에 끌어온 것이다.# 러시아가 스리랑카인 모집 중단하기로 했다.#
3. 여담
세르게이 라브로프 장관이 스리랑카에서 대사로 근무한 적이 있었다.#1#2 라브로프의 경우 스리랑카나 몰디브 출신이 아님에도 싱할라어와 디베히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흔치않은 경우이다.스리랑카를 대표하는 수출품 중 하나가 찻잎인데, 러시아를 포함한 동구권 국가들이 홍차를 많이 마시는 편이다 보니 스리랑카의 수출에서 러시아나 벨라루스, 우크라이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편이다. 다른 한편으로 스리랑카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 밀을 수입하는 입장이었는데, 러시아나 우크라이나산 밀은 호주산에 비해 수급이 불안정한 대신 가격이 더 저렴하기 때문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스리랑카는 수출도 타격을 받고 식량 수입도 어려워지는 이중의 타격을 받게 되었다.
4. 관련 문서
- 러시아/외교
- 스리랑카/외교
- 러시아/경제
- 스리랑카/경제
- 러시아인 / 스리랑카인(싱할라인)
- 러시아어 / 싱할라어 / 타밀어 / 러시아 정교회 / 상좌부 불교 / 힌두교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동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1] 원래부터 많았던 것은 아니고 2019년 부활절 테러로 스리랑카 내 해변 호텔 리조트 숙박비들이 떨이로 풀리자 수요가 늘었다고 한다. 원래 러시아인 관광객들은 겨울 혹한기에는 본국의 극악한 추위를 피해 한겨울에도 따뜻한 태국, 인도, 이집트 등으로 여행을 많이 가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