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8:25:19

동성훈장

Bronze Star Medal
동성훈장
형상
정장
파일:Bronze Star Medal.png
약장
파일:800px-Bronze_Star_Medal_ribbon.svg.png
제정 1944년
선정 대상 전투에서의 비범한 업적, 봉사
시상자 미국 각 군장관
상위 훈장 군인훈장
해군·해병대훈장
공군인의 훈장
하위 훈장 퍼플하트

1. 개요2. 특징3. 역사4. 주요 수훈자
4.1. 실제 수훈자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의 훈장.

2. 특징

미국에서 수여하는 훈장 중 전투에서 영웅적인 행위를 하였거나 전투지역에서 가치있는(meritorious) 봉사를 한 자에게 수여되는 훈장이다.

관례적으로 E-7(국군의 중사~상사에 대응) 이상 계급 인원이 일정 기간 이상의 전투파병(combat deployment)을 큰 사고를 없이 마치는 경우 동성훈장을 수여한다. 전투 참여 없이 행정업무만 하더라도 받을 수 있지만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받은 훈장은 V 장치를 추가로 지급하여 구분한다.

전투중 무공으로 이 훈장을 수여받으면 추가로 V[1]장치라 불리는 6.5인치의 이니셜 배지를 훈장에 부착할 수 있는데, 일반 동성훈장과 V 디바이스가 있는 동상훈장, 즉 무공훈장의 가치와 희소성엔 어마어마한 차이가 있다. 동성훈장보다 격이 낮은 표창훈장(Commendation Medal)이라고 할지라도 V 장치가 있다면 일반 동성훈장보다 훨씬 높게 쳐줄 정도이다. 공식적으로 존재하는 규칙은 아니지만, 계급에 따른 관례적인 차별이 존재한다. 일정 계급 이상의 부사관이나 장교가 했으면 동성훈장을 받고도 남을 공적도 표창훈장이 나가는 식이다.

미군이 아닌 외국군도 수여 받을 수 있으며 민간인들도 수여받을 수 있다. 잘 알려진 민간인 수여자는 위 워 솔저스로 알려진 종군기자 조 갤러웨이, 어니스트 헤밍웨이가 동성훈장을 수여받았다.

3. 역사

1941년 공을 세웠으나 은성훈장에 미치지 못하는 수훈자들에 대한 회의가 있었으며 러셀 리더 대령이 1943년 기준을 정해 동성훈장으로 이름붙였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동의로 2차 대전 기간 중 1944년부터 육군, 해군부에서 각각 수여하기 시작했다.

1962년 존 F. 케네디는 기존 미군에서 외국군도 수여받을 수 있게했다.

4. 주요 수훈자

4.1. 실제 수훈자

5. 관련 문서



[1] Va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