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대한제국군의 편제 | }}}}}} | ||||||
군종별 | 대한제국 육군 | 대한제국 해군 | ||||||||
중앙조직 | 원수부 | 군부 | 참모부 | 교육부 | ||||||
황실직속 | 대한제국군 호위대 | 시종무관부 | 동궁배종무관부 | 친왕부 | ||||||
주요 부대 | 대한제국군 친위대 | 대한제국군 시위대 | 대한제국군 진위대 | 대한제국군 헌병대 | ||||||
학교 | 육군무관학교 | 육군연성학교 | 육군유년학교 | |||||||
기타 | 군기창 | 대한제국군 상무영 | 육군법원 | 육군위생원 |
1. 개요
|
강화 진위대[1] |
|
통영 진위대[2][3] |
- 한자: 大韓帝國 鎭衛隊
진위대는 대한제국군의 부대이다. 시위대와 친위대가 수도인 한성부를 맡는 중앙군[4]이면, 지방대와 진위대는 각 지방을 맡는 지방군이다.
2. 개설
1895년 9월 갑오개혁 때 지방의 군대를 통폐합하여 지방의 진위대를 창설하였다. 처음에는 평양과 전주에 설치하여 지방의 소요(騷擾)를 안정시키고 변경의 수비를 전담하도록 하였다. 1896년 아관파천 이후 지방에 지방대를 설치하였다가 1898년에는 14개 지방대대로 확대하였다. 1900년 6월 새로 진위대가 설치되었고, 같은 해 7월에는 지방대와 진위대가 진위대로 통합되었고, 6개 연대 18개 대대로 확장되었다. 1905년 4월 일제에 의해 진위대 병력은 8개 대대로 크게 축소되었다가 1907년 9월에 차례로 해산되었다. 이에 반발해 상당수가 봉기 후 정미의병에 참여하고 전국 각지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3. 설립 경위 및 목적
갑오개혁에서는 1895년 3월부터 지방에 주둔한 각종 군대를 통폐합하는 작업에 나서 8월 2일 전국적으로 옛 군제를 폐지하였다. 1895년 9월 13일 칙령 170호 육군편제강령(陸軍編制綱領)에 의거하여 중앙의 친위대와 지방의 진위대가 새롭게 창설되었다. 지방의 진위대는 부(府) 또는 주요 지방에 주둔하여 지방의 소란을 안정시키고 변경의 수비를 전임하였다. 평양부와 전주부에 2개 대대가 설치되었다. 대대본부에 대대장으로 참령(參領) 1명, 향관(餉官)으로 1등 군사(軍司) 혹은 2·3등 군사 1명, 부관으로 부위(副尉) 1명, 무기를 담당하는 참위(參尉) 1명을 두었다. 1개 중대에는 중대장인 정위(正尉) 1명, 소대장인 부참위(副參尉) 3명, 정교(正校) 1명, 부참교(副參校) 15명, 병졸 200명이 있었다. 1개 중대 병력은 220명이었으며 2개 중대 단위로는 총 444명이었다.4. 조직 및 역할
1896년 2월 아관파천 이후 5월 30일 각 지방의 친군영들을 재편성하면서 명칭을 지방대로 바꾸었다. 통영과 북청, 대구와 강화, 청주, 공주, 해주, 춘천, 강계 등지에 지방대가 설치되었다. 1897년 6월에는 지방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수원, 청주, 공주, 안동, 광주, 황주, 안주, 종성, 원주 등 9개 지방대가 더 설치되었다. 1898년 12월에는 전국적으로 14개 지방대대 병력을 대대본부, 중대부(2개 중대), 곡호대(曲號隊) 등으로 통일하였고 전체 병력은 5,600명이었다.1899년 6월에는 지방대가 황제권의 강화를 위해 설치된 원수부(元首府)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1900년 6월 30일 평안북도와 함경남·북도의 4개 지역에 1개 대대 규모의 진위대를 새로 편성한 것을 계기로 지방대와 진위대의 명칭 통합이 요청되었다. 같은 해 7월 20일에는 진위대와 지방대로 양분되어 있던 지방군 조직을 진위대로 통일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같은 달 25일 칙령 26호로 진위대를 연대로 확대 개편하였다. 각 지역의 진위대를 연대 단위로 통합하여 진위 제1연대는 경기도 강화, 제2연대는 경기도 수원, 제3연대는 경상북도 대구, 제4연대는 평안남도 평양, 제5연대는 함경남도 북청에 두었다. 1901년 8월 이후에는 평양 진위대가 확대되는 등 6개 연대 18개 대대로 확장되었으며, 총병력 18,000명과 378명의 곡호대(曲號隊)를 가졌다.
진위대의 병력은 영관(領官), 위관(尉官), 정교(正校), 부교(副校), 참교(參校), 병졸, 곡호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월급은 참령 77원 35전, 정위 46원 75전, 정교 9원, 병졸 3원이었다. 군인의 월급은 1896년 지방대 시절에 비해 정교·부교·참교의 월급이 약간 올랐을 뿐 큰 변동은 없었다. 진위대 예산은 군인들의 월급을 비롯하여 피복비·음식비·치료비·연습비·여비·매장비 등으로 쓰였다. 진위대의 예산은 주로 역토(驛土)에서 징수하는 세금이나 인접 고을의 결전(結錢) 등으로 충당했기 때문에 재정 부족이 문제가 되었다.
오늘날처럼 중앙부처에서 통일된 통화로 된 예산을 배분해주는 방식이 아니었기에, 각 부대는 배정된 지역에서 필요한 돈을 뽑아내는 게 중요했다. 그래서 각 진위대의 향관(餉官)이 얼마나 잘 돈을 끌어내는가가 부대 운영에 중요했다.[5] 상대적으로 재정구조가 안정적인 수도권에 접한 강화진위대는 부대 사정이 좋아서 경기도 다른 지역에 지원을 가기도 했다.
진위대의 역할은 지역 방어로 평안도 함경도의 진위대는 주로 중국과 러시아 방면 국경 방어를 담당하고, 삼남지방의 진위대는 각종 소요 사태와 활빈당 등의 변란들을 안정시키는 것이었다.
1900년 의화단 운동이 발발하자 청 봉기군 일부는 평안도와 함경도로 침입해 약탈을 자행한다. 이에 진위대가 봉기군을 진압하고 1902년 이후에는 요동과 간도로도 진출해 영유권을 두고 청군과 전투를 벌였다. 청군에 비해 훈련도나 무기의 질적인 면에서 우세였던 진위대는 청군과의 상당수 전투에서 우세를 점하였는데 간도협약 이후 영유권 분쟁은 종결되었다.
러일전쟁 당시 함경도 진위대는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4.1. 예하부대
※주의: 진위대의 부대 규모는 연대급인 경우, 대대급인 경우, 휘하의 분견대급인 경우 등 편제가 제각각이었다. 소속이나 규모가 자주 바뀌었기 때문에, 주둔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예하부대를 설명한다. 아래의 명단에 있는 부대들은 모두가 동시기에 있던 게 아니다. 또한 검색과 정렬의 편의상 진위대란 이름으로 묶은 것이지, 지방대(군대)란 이름으로 불리다가 다른 진위대로 기능이 옮겨간 경우도 있다. 아래의 부대들 중엔 진위대란 이름으로 불리지 않은 곳들도 많다.
- 강계진위대
- 강화진위대
- 고성진위대
- 공주진위대
- 광주진위대
- 대구진위대
- 덕원진위대
- 북청진위대
- 수원진위대
- 안동진위대
- 안주진위대
- 울산진위대
- 원주진위대
- 의주진위대
- 전주진위대
- 제주진위대
- 종성진위대
- 진남진위대
- 청주진위대
- 춘천진위대
- 평양진위대
- 황주진위대
- 해주진위대
4.2. 편제 변화
4.2.1. 부대 신설 (1896년)
1896년 1월 20일 관보- 전주진위대
- 평양진위대
- 지방대(대대급)
- 강화지방대
- 대구지방대
- 종성지방대
- 의주지방대
- 지방대(중대급)
- 공주지방대
- 청주지방대
- 춘천지방대
- 해주지방대
- 북청지방대
‘통영․북청에 각각 400명, 대구․강화에 각각 300명, 청주․ 공주․해주․춘천에 각각 200명, 강계에 100명’ 등 2,300명 및 장교와 하사관 87명의 지방대가 편성됨으로써, 평양과 전주의 진위대 888명을 포함하면 지방군은 3,275명으로 증가하였다. 이어 8월 26일 충주․홍주․상주․원주에 각각 150명의 지방군을 설치하게 한 지방대 설치령이 반포되었으나, 9월 24일 공주․춘천․강계․ 충주․홍주․상주․원주의 7개 지방대 폐지령이 반포됨으로써 지방대의 병력은 1,800 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다가 高宗이 1897년 2월 20일 러시아 공사관으로부터 돌아온 후 지방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그 해 6월 8개 지방대 즉 수원․원주․공주․안동․광주․황주․안주․종성 등에 지방대를 增置하는 가운데 원주에도 지방대 639명이 주둔하게 되었고, 1898년 12월 地方鎭撫와 邊境守備를 전임할 14개 지방대대(수원․강화․청주․공주․광주․대구․안동․고성․해주․황주․안주․원주․북청․종성) 병력을 ‘大隊本部 4명,中隊附(2개 중대) 400명, 曲號隊 9명’으로 통일하는 가운데 원주지방대 병력도 409명이 되었다. 이어 1900년(光武 4) 7월 지방 군대의 명칭이 진위 또는 지방이라고 불리어 軍容이 하나같지 못하다며 지방군은 모두 진위대로 부르고 진위연대로 통합하는 가운데, 원주의 지방대는 진위 제5연대 제1대대로 개편되면서 군인 수도 1,029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출처: 대한제국기 원주진위대 연구
그러다가 高宗이 1897년 2월 20일 러시아 공사관으로부터 돌아온 후 지방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그 해 6월 8개 지방대 즉 수원․원주․공주․안동․광주․황주․안주․종성 등에 지방대를 增置하는 가운데 원주에도 지방대 639명이 주둔하게 되었고, 1898년 12월 地方鎭撫와 邊境守備를 전임할 14개 지방대대(수원․강화․청주․공주․광주․대구․안동․고성․해주․황주․안주․원주․북청․종성) 병력을 ‘大隊本部 4명,中隊附(2개 중대) 400명, 曲號隊 9명’으로 통일하는 가운데 원주지방대 병력도 409명이 되었다. 이어 1900년(光武 4) 7월 지방 군대의 명칭이 진위 또는 지방이라고 불리어 軍容이 하나같지 못하다며 지방군은 모두 진위대로 부르고 진위연대로 통합하는 가운데, 원주의 지방대는 진위 제5연대 제1대대로 개편되면서 군인 수도 1,029명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출처: 대한제국기 원주진위대 연구
4.2.2. 원수부로 소속 변경 (1899년)
1899년 1월 17일 관보지방대들의 소속을 원수부로 옮겼다.
- 전주진위대대
- 평양진위대대
- 수원지방대대
- 강화지방대대
- 청주지방대대
- 공주지방대대
- 광주지방대대
- 대구지방대대
- 안동지방대대
- 고성지방대대
- 해주지방대대
- 황주지방대대
- 안주지방대대
- 원주지방대대
- 북청지방대대
- 종성지방대대
4.2.3. 지방대의 진위대 전환 및 5연대 구조 (1900년)
1900년 7월 27일 관보지방대를 진위대로 개편하고 연대에 소속시켰다. 1900년 12월 19일에 전라남도 제주에 제주진위대대가 설치되었다.
- 진위제1연대: 경기 강화
- 제1대대: 경기 강화
- 제2대대: 경기 인천
- 제3대대: 황해 황주
- 진위제2연대: 경기 수원
- 제1대대: 경기 수원
- 제2대대: 충북 청주
- 제3대대: 전북 전주
- 진위제3연대: 경북 대구
- 제1대대: 경북 대구
- 제2대대: 경남 진남
- 제3대대: 경남 울산
- 진위제4연대: 평남 평양
- 제1대대: 평남 평양
- 제2대대: 평북 의주
- 제3대대: 평북 강계
- 진위제5연대: 함남 북청
- 제1대대: 함남 덕원
- 제2대대: 함남 북청
- 제3대대: 함북 종성
- 제주진위대대: 전남 제주
4.2.4. 6연대 구조 (1901년)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대한제국군 진위대의 최대 편제 | }}}}}} | ||||||
제1연대 (경기 강화) | 제1대대 강화진위대 | 제2대대 인천진위대 | 제3대대 황주진위대 | |||||||
제2연대 (경기 수원) | 제1대대 수원진위대 | 제2대대 청주진위대 | 제3대대 전주진위대 | |||||||
제3연대 (경북 대구) | 제1대대 대구진위대 | 제2대대 진남진위대 | 제3대대 울산진위대 | |||||||
제4연대 (평냠 평양) | 제1대대 평양진위대 | 제2대대 평양진위대 | 제3대대 평양진위대 | |||||||
제5연대 (함북 북청) | 제1대대 덕원진위대 | 제2대대 북청진위대 | 제3대대 종성진위대 | |||||||
제6연대 (평북 의주) | 제1대대 의주진위대 | 제2대대 강계진위대 | ||||||||
원수부 직속 | 직속대대 제주진위대 |
1901년 2월 12일 관보
1901년 초에 평양진위대(제4연대 1대대)에 새로 대대를 증설하여 연대급으로 격상시키고, 기존의 2대대와 3대대는 분리하여 제6연대로 편성한다.
- 진위제1연대: 경기 강화
- 제1대대: 경기 강화
- 제2대대: 경기 인천
- 제3대대: 황해 황주
- 진위제2연대: 경기 수원
- 제1대대: 경기 수원
- 제2대대: 충북 청주
- 제3대대: 전북 전주
- 진위제3연대: 경북 대구
- 제1대대: 경북 대구
- 제2대대: 경남 진남
- 제3대대: 경남 울산
- 진위제4연대: 평남 평양
- 제1대대
- 제2대대
- 제3대대
- 진위제5연대: 함남 북청
- 제1대대: 함남 덕원
- 제2대대: 함남 북청
- 제3대대: 함북 종성
- 진위제6연대
- 제1대대: 평북 의주
- 제2대대: 평북 강계
- 제주진위대대
이중에 진위 4연대와 6연대를 합쳐 5개 대대로 관서사령부를 구성하기도 하였다.
4연대의 대대 확충 과정은 명확하게 잘 드러나지 않지만, 1901년의 승정원일기 임용 내용을 보면 제6연대의 1대대, 2대대와 제4연대의 2대대, 3대대가 동시기에 등장하여 4연대에 대대 2개가 증설됐음을 알 수 있다.
4.2.5. 1차 군축: 8개 대대로 축소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1905년 4월 16일 진위대의 병력을 크게 감축시켰다. 본래의 18개 대대에서 수원·청주·대구·광주·원주·황주·평양·북청의 8개 대대로 축소하였다. 편제는 과거 1개 대대가 5개 중대였던 것을 4개 중대로 개편시켰으며, 1개 중대 병력을 장교 이하 256명으로 줄여서 8개 대대를 모두 합쳐 2,365명에 불과할 만큼 줄어들었다.[6] 기존의 군사 수요와 다르게 그냥 도당 하나로 부대가 편제되었다.- 대한제국군 진위대
- 제1진위대대 (경기 수원)
- 제2진위대대 (충북 청주)
- 제3진위대대 (경북 대구)
- 제4진위대대 (전남 광주)
- 제5진위대대 (강원 원주)
- 제6진위대대 (황해 황주)
- 제7진위대대 (평남 평양)
- 제8진위대대 (함북 북청)
4.2.6. 2차 군축 (1907년 4월)
2차 군축 시점이 되면 대대당 대위급인 정위나 소대장급인 부참위가 확 줄어든다.- 수원진위대(1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정태석(鄭泰奭)
- 부관: 보병 부위 조태희(趙兌煕)
- 군의관: 일등군의 이승현(李昇鉉)
- 향관: 이등군사 안경흠(安慶欽)
- 중대장: 보병 정위 김광옥(金光玉)ㆍ주시준(周時駿)
- 소대장: 보병 부위 오득영(吳得泳)ㆍ민완식(閔完植)ㆍ이극림(李克林)ㆍ신창휴(申昌休), 보병 참위 민영락(閔泳洛)ㆍ이민성(李敏成)ㆍ윤현구(尹玄求)ㆍ원영상(元英常)
- 청주진위대(2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유기원(柳冀元)
- 부관: 보병 부위 박희양(朴煕陽)
- 군의관: 삼등군의 안우선(安祐璿)
- 향관: 이등군사 이응주(李應疇)
- 중대장: 보병 정위 안철영(安喆榮)ㆍ이병은(李秉殷)
- 소대장: 보병 부위 남기석(南基奭)ㆍ김홍식(金弘植)ㆍ이관직(李觀稙)ㆍ유석풍(柳錫豐), 보병 참위 권중섭(權重燮)ㆍ민흥식(閔興植)ㆍ최한구(崔翰求)ㆍ조찬현(趙燦顯)
- 대구진위대(3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양재훈(梁在薰)
- 부관: 보병 부위 원은상(元殷常)
- 군의관: 삼등군의 박동기(朴東冀)
- 향관: 이등군사 나종배(羅鍾培)
- 중대장: 보병 정위 나호(羅鎬)ㆍ정희봉(鄭煕鳳)ㆍ김사억(金思億)ㆍ김귀현(金龜鉉)
- 소대장: 보병 부위 박태영(朴泰永)ㆍ경기호(景基鎬)ㆍ박장화(朴莊和)ㆍ이교상(李敎相)ㆍ백남규(白南圭)ㆍ이남녕(李南寧)ㆍ권중익(權重翼)ㆍ남상순(南相珣), 참위 반장환(潘長煥)ㆍ이응규(李膺圭)ㆍ이희종(李喜鍾)ㆍ이헌영(李榮)ㆍ이종석(李鍾奭)ㆍ이근묵(李根默)ㆍ이각(李珏)ㆍ조중환(趙重煥)
- 광주진위대(4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이수봉(李守鳳)
- 부관: 보병 부위 양보환(梁普煥)
- 군의관: 삼등군의 차양식(車穰植)
- 향관: 일등군사 권중철(權重哲)
- 중대장: 보병 정위 이원협(李源協)ㆍ권중직(權重直)
- 소대장: 보병 부위 김윤덕(金潤德)ㆍ송병식(宋秉式)ㆍ서병두(徐丙斗)ㆍ김중현(金重鉉)ㆍ민완식(閔完植), 보병 참위 김중희(金重煕)ㆍ신태윤(申泰胤)ㆍ한백헌(韓百憲)
- 원주진위대(5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홍우형(洪祐馨)
- 부관: 보병 부위 이현규(李玄珪)
- 군의관:
- 향관:
- 중대장: 보병 정위 김덕제(金悳濟)ㆍ이한창(李漢昌)
- 소대장: 보병 부위 김채욱(金采煜)ㆍ백남숙(白南肅)ㆍ장세진(張世鎭)ㆍ권태영(權泰榮)ㆍ권태희(權泰煕), 참위 박교승(朴敎承)ㆍ윤영원(尹泳元)ㆍ박준성(朴準成)ㆍ권병윤(權丙允)ㆍ이현용(李顯用)
- 황주진위대(6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박문병(朴文秉)
- 부관: 보병 부위 임윤재(任允宰)
- 군의관: 이등군의 이붕순(李鵬淳)
- 향관: 이등군사 박윤환(朴允煥)
- 중대장: 보병 정위 이우경(李愚暻)ㆍ백낙만(白樂萬)
- 소대장: 보병 부위 윤정식(尹晶植)ㆍ김득성(金得成)ㆍ송종세(宋鍾世)ㆍ홍준희(洪俊憙), 보병 참위 정달진(丁達鎭)ㆍ변영학(邊永學)ㆍ한태수(韓泰洙)ㆍ이성묵(李成默)
- 평양진위대(7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서상조(徐相祚)
- 부관: 보병 부위 신팔균(申八均)
- 군의관: 삼등군의 김봉관(金鳳觀)
- 향관: 일등군사 최학재(崔學載)
- 중대장: 보병 정위 최원섭(崔元燮)ㆍ윤석호(尹錫祜)
- 소대장: 보병 부위 강봉익(康鳳翼)ㆍ이홍직(李弘稙)ㆍ김상우(金相雨)ㆍ정민화(鄭敏和)ㆍ유창호(柳彰浩), 보병 참위 이장렬(李章烈)ㆍ박동원(朴東元)ㆍ안종간(安鍾幹)
- 북청진위대(8대대)
- 대대장: 보병 참령 김명환(金命煥)
- 부관: 보병 부위 권영섭(權寧燮)
- 군의관: 삼등군의 주창겸(朱昌謙)
- 향관: 일등군사 오은영(吳殷泳)
- 중대장: 보병 정위 신극(申極)ㆍ송영석(宋榮奭)ㆍ박영진(朴英鎭)ㆍ이정호(李晶鎬)
- 소대장: 보병 부위 임충국(林忠國)ㆍ홍석구(洪奭求)ㆍ김원흥(金元興)ㆍ송세호(宋世浩)ㆍ염덕준(廉德駿)ㆍ이재영(李載榮)ㆍ한승우(韓升愚)ㆍ김동우(金東佑), 보병 참위 김홍기(金洪基)ㆍ최영주(崔永周)ㆍ김홍식(金鴻植)ㆍ이희상(李煕祥)ㆍ오덕선(吳悳善)ㆍ박두환(朴斗桓)ㆍ이충식(李忠植)ㆍ최도익(崔道翼)
4.2.7. 해산 (1907년 8월)
아래의 해산 시점 편제는 <한말 군 근대화 연구>의 부록2이다. 합계는 2,376명이다.- 진위제1대대 본부 (경기 수원) 113명
- 개성 분견소 103명
- 안성 분견소 40명
- 강화 분견소 50명
- 북한 분견소 10명
- 진위제2대대 본부 (충북 청주) 153명
- 공주 분견소 101명
- 주천 분견소 50명
- 진위제3대대 본부 (경북 대구) 251명
- 울산 분견소 29명
- 진남 분견소 21명
- 진주 분견소 101명
- 안동 분견소 101명
- 개경 분견소 50명
- 진위제4대대 본부 (전남 광주) 105명
- 강진 분견소 50명
- 전주 분견소 101명
- 진위제5대대 본부 (강원 원주) 251명
- 강릉 분견소 50명
- 진위제6대대 본부 (황해 해주) 251명
- 황주 분견소 50명
- 진위제7대대 본부 (평남 평양) 105명
- 안주 분견소 50명
- 강계 분견소 100명
- 의주 분견소 50명
- 진위제8대대 본부 (함북 북청) 미설치
- 함흥분견소
일본은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을 계기로 고종을 퇴위시키면서 대한제국의 군대 해산을 단행하였다. 일제는 1907년 8월 중앙의 시위대(시위혼성여단)를 해산하고 8월 3일부터 9월 3일까지 순차적으로 진위대도 해산할 계획을 추진하였다. 이에 대한제국의 시위대와 지방 진위대의 해산 군인들은 일제에 적극 대항하여 의병 운동에 동참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는 1907년 8월 5일 민긍호(閔肯鎬)와 김덕제(金德濟)가 이끈 원주 진위대의 봉기, 같은 해 8월 9일 수원 진위대 강화 분견소의 봉기 등 전국의 진위대에서 봉기하여 의병전쟁을 확산 시켰다. 을사의병으로 시작된 의병 전쟁에 해산군인들이 참가하며 정미의병이 일어났으며 이들은 남한 대토벌 작전 이후 만주 연해주로 이동하여 독립군으로 활동하게 된다.
5. 여담
해주진위대원들로 추정되는 일부 구 한국군 장병들이 해방 후 대한민국 국군 장병들과 만난 기록도 남아 있다. 1949년 옹진반도에 증원된 한신의 제18보병연대는 지역 주민들과 자주 교류하곤 했는데, 이때 한신은 지역 노인들을 연대로 초대해 식사를 대접했다. 이 노인들은 경술국치 이전에 마지막으로 군대밥을 먹고는 수십 년 만에 처음 먹어본다고 상당히 즐거워했다고 한신은 전한다. 출처는 한신 대장의 자서전인 "신념의 삶 속에서"다.진위대는 을사조약으로 인해 일본 통감부의 지시를 받아 을사의병으로 일어난 의병 대장 원용팔을 체포한 것을 비롯하여 강릉·단양·예천의 의병과 싸웠다. 당시 의병들은 황제의 군대와는 싸울 수 없다며 전투를 포기한 최익현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의병들은 일본군과는 격렬히 싸운 반면 진위대와는 싸우기를 회피하였다.[7]
1908년에 대한매일신보 등에선 의병 문제로 인해 진위대를 복설한다는 얘기가 돌았지만 실제로 이뤄지진 않았다. 대신에 근위보병대대 등의 병력을 동원해 의병 진압에 나선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제국기 원주진위대 연구에 따르면 1900년 기준 편제 1,029명의 진위대대를 운영하는 예산은 12만 5254원에 달했다. 이중 봉급에 들어가는 인건비가 5만 2816원 20전에 장교 피복비가 1645원, 사병 피복비가 1만 4275원, 식비가 2만 7594원, 부식비가 1만 8250원이었다.
2016년에 진위대의 문서 보관함(군안궤)가 발견되었다. #
[1] 앞줄 중앙에 자리한 인물은 당시 강화 진위대장이던 이동휘 선생이다.[2] 1907년 군대 해산 직전 촬영된 사진이다.[3] 출처: 통영시립박물관[4] 오늘날의 수도방위사령부와 비슷하다.[5] 전주진위대의 향관이었던 백남신은 군인 시절을 거쳐서 큰 부자가 되기도 했다. 당시 민중들 사이에서는 군대가 새로운 탐관오리란 인식이 생겨난 게 이런 재정구조 때문이었다. 이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수뇌부에서는 감찰을 파견하거나 육군법원을 설치하는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였다.[6] 연구 자료에 따라서는 대대당 634명이라고 보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8개 대대 5천여명이 된다. 2년 동안 서로 다른 시점을 기준으로 잡은 것일 수도 있다.[7] 다만 통감부의 지시를 따르고 의병을 진압한 점은 그 당시에서도 현대에서도 비판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