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 | 나무위키 등재 대한민국의 개신교 교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교파 | 교단 | |
감리회 | |||
구세군 | |||
그리스도의 교회 | |||
루터교회 | |||
복음교회 | |||
성공회 | |||
성결교회 | |||
오순절교회 | |||
장로회 | 대한예수교장로회 | ||
재림교회 | |||
침례회 | |||
초교파 | |||
· 이단성 논란이 있는 교단은 기울임체로 표시한다. |
<rowcolor=#ffffff>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 大韓예수敎長老會(白石大神)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Baekseok & Daeshin | |
| |
<colbgcolor=#E4332E><colcolor=#ffffff> 표어 | 하나 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는 총회 (에베소서 4:3) |
약칭 | 예장백석대신 |
설립연도 | 2019년 |
소속국가 | |
총회장 | 박성국 목사 |
부총회장 | 강안실 목사, 조동석 장로 |
서기 | 고혁성 목사 |
부서기 | 김권철 목사 |
회의록서기 | 권순태 목사 |
부회의록서기 | 김상호 목사 |
회계 | 박재수 장로 |
부회계 | 이칠수 장로 |
총무 | 이태윤 목사 |
위치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만년로 539-11 |
<nopad> | |
|
1. 개요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대한예수교장로회 원 대신 교단이 백석교단과 통합하는 과정에서 교단명을 '대신'으로 합의하였으나, 이에 반발한 통합 반대 측이 이탈하여 현재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교단을 유지하는 형식으로 창설하고, 대신(대신+백석)이 잠시동안 백석대신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2019년 다시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으로 이름을 환원하고 장종현 총회장 체제로 출범하면서[1], 통합에 찬성하였던 대신측의 일부 교회들과 백석 측 일부 교회가 다시 탈퇴하여 새운 교단이었다. 현재는 구 백석 측의 경우(2024년 기준), 다수가 복귀하였고 형식적인 이름만 존재하는 상황이다.[2]
현재 이름을 사용하고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과 구분하기 위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백석대신)을 사용하고 있다.
2. 교단 특징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백석과 대신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교단명을 변경하고자 하는 시도는 있어 왔으나, 아직까지는 부결 중.
- 대신교단과는 달리, 여자 목사를 허용하고 있다. 단, 백석 대비 비중은 적은 편.
- 대신교단 출신 목사들이 주축인 관계로, 백석에 비해 더 보수적이고, 대신에 비해 조금 더 진보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대신과 백석대신 두 교단 자체가 전반적으로 중도보수 ~ 보수 성향을 보이는 편이기에, 큰 차이는 없다.[3]
- 동성애자에 대해서 상당히 강경하게 대처하는 교단이다. 교단 헌법 내 교회정치 제 31조 (목사의 직무) 제2항에서, "성경과 본 교단 교리에 위반된 동성애자에 대한 세례와 주례 등을 거절할 수 있고, 목사의 권위로 동성애자나 이단에 속한 자를 교회에서 추방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다시 말하지만, 헌법에 적혀 있다. 심지어, 본 사항은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고신이나 출신 성분을 공유하는 대신헌법에도 없는 사항이다.[4]
3. 역사
2022년 9월 7일 대신호서의 9개 노회 174개 교회가 가입했다.2023년 말부터 구 백석 측과 구 대신 측 간에 갈등이 심화되는 조짐이 보도되기 시작했지만 일부 돈에 눈이 먼 기자의 낭설에 불과했고 이 문제가 발단이 되어 결국 갈등이 봉합되지 못한 채 2024년 초, 구 백석 측에 해당되는 유만석 수원명성교회를 중심으로 214 교회, 목회자 287명이 백석으로 복귀하면서 스스로 교단에 소속되었다는 정체성따위는 없다는 것을 증명했고 백석대신 소속으로 남긴 것이라곤 갈등 밖에 없었다. #. 이로 인해 백석대신 내부적으로 백석 측의 특징은 옅어졌을 것고 현재는 계속 백석대신을 교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2024년 9월, 평택대(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과 MOU 체결이 보도되었다#. 이로서 교단 내 신학생들이 평택대에서 목회자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 또한 부족한 학생수를 어떻게든 채워보려는 평택대학교의 얕은 수작으로 밖에 볼 수 없다.
합신과의 합동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2024년 9월 합신 총회에서 합동 보류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백석대신 교단 내 여성목사 존재 및 안수로 인한 입장 차이. [5]
4. 현황
5. 교육기관
- 안양대학교: 백석대신 소속 학교는 아니지만 백석대신 소속 목회자의 자녀에게 장학금을 수여하는 등, 사실상 인준 관계인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안양대의 경우 대다수의 학생들이 대신 소속이다. 대학원의 경우 대신 출신의 교수는 거의 없고 총신 출신의 교수들이 장악한 상황이다. 대신이 사분오열화 되기 전부터 애매한 관계를 이어오다가 백석 장종현 총회장의 지시로 이종승 목사와 유충국 목사가 지방 비인가 신학교를 정리하면서 명맥을 이어오던 일부 문교부 비인가 신학교 학생들을 일절 합의없이 받아주었고 그렇게 피해를 입은 학생들이 졸업한 후에는 사실상 관계가 단절되었으며 하필이면 또 안양대학교가 기독교사학을 버리고 대진성주회에 넘어가면서 옛적에 인준관계가 되어버린 셈이다. 이 학교 출신 목사들도 아마 자녀를 신학교에 보낸다면 총신을 보낼 것이다.
- 백석대신목회대학원: 타교단 출신 목회자들이 교단에 가입하고자 할 때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 고려신학대학원: 교단 출범 당시부터 MOU 체결을 맺고 목회자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2023년 5월 25일 MOU 체결을 맺고 목회자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
- 평택대학교: 2024년 9월 부, 총회가 대학교와 MOU를 체결함으로써, 대학교 내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에서 목회자 양성이 가능한 상태다. #[6]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한국교회총연합 회원교단, 협력기관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회원교단 | |||
장로회 | ||||
| | | | |
| |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 |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개혁) | |
대한예수교장로회(성경) | 대한예수교장로회(예정) | 대한예수교장로회(웨신) | 대한예수교장로회(정통보수) | |
대한예수교장로회(진리) | | 대한예수교장로회(피어선) | | |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동신) |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보수)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보수A) |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복구)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선목)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중앙) | | |
대한예수교장로회(호헌) | ||||
루터교회 | 감리회 | 침례회 | ||
| | | | |
그리스도의 교회 | 오순절교회 | |||
| 그리스도의교회교역자협의회 | | 대한예수교복음교회 | |
성결교회 | ||||
| | | ||
협력기관 | ||||
월드비전 | 평화통일을 위한 연대 | 기아대책 | 사단법인 한국교회봉사단 | |
한국호스피스협회 | 세계성시화운동본부 |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 | 사단법인 하늘에(극단) | |
사단법인 더불어배움 | 한국대학생선교회(CCC) | 국민일보 저출산대책본부 | 나부터캠페인 | |
(사)한국교회법학회 | 사단법인 한국세계선교협의회 | 사학법인 미션네트워크 | (사)새희망교화센터 | |
(사)한국기독교문화유산보존협회 | (사)한국기독교군선교연합회 | 굿피플인터내셔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