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4 16:38:18

대동대학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동양미래대학교 엠블럼.svg 동양미래대학교 · 파일:명지전문대학 엠블럼.svg 명지전문대학 ·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배화여자대학교 · 파일:삼육보건대학교 UI.svg 삼육보건대학교 · 파일:서울여자간호대학교 UI.svg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파일:서일대학교 엠블럼.svg 서일대학교 ·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 파일:인덕대학교 엠블렘.svg 인덕대학교 ·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한양여자대학교
파일:경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경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 파일:경복대학교 엠블럼.svg 경복대학교 · 파일:계원예술대학교 UI.svg 계원예술대학교 · 파일:국제대학교 심볼.svg 국제대학교 · 파일:김포대학교 UI.svg 김포대학교 · 파일:농협대학교 엠블럼.svg 농협대학교 · 파일:대림대학교 UI.svg 대림대학교 · 파일:동남보건대학교 UI.svg 동남보건대학교 · 파일:동서울대학교 UI.svg 동서울대학교 · 파일:동아방송예술대학교 로고.svg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 두원공과대학교 · 파일:부천대학교 심볼.svg 부천대학교 · 파일:서울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예술대학교 · 파일:서정대학교 심볼.svg 서정대학교 · 파일:수원과학대학교 UI.svg 수원과학대학교 ·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수원여자대학교 · 파일:신구대학교 UI.svg 신구대학교 ·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 파일:연성대학교 엠블럼.svg 연성대학교 · 파일:여주대학교 UI.svg 여주대학교 · 파일:오산대학교 UI.svg 오산대학교 · 파일:용인예술과학대학교 UI.svg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파일:웅지세무대학교 엠블럼.svg 웅지세무대학교 · 파일:유한대학교 UI.svg 유한대학교 · 파일:장안대학교 UI.svg 장안대학교 · 파일:청강문화산업대학교 UI.svg 청강문화산업대학교 · 파일:한국관광대학교 UI.svg 한국관광대학교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경인여자대학교 · 파일:인하공업전문대학 UI.svg 인하공업전문대학 · 파일:재능대학교 심볼.svg 재능대학교
파일:강릉영동대학교 UI.svg 강릉영동대학교 · 파일:강원도립대학교 UI.svg 강원도립대학교 · 파일:세경대학교 UI.svg 세경대학교 · 파일:송곡대학교 UI.svg 송곡대학교 · 파일:송호대학교 UI.svg 송호대학교 · 파일:한국골프대학교 UI.svg 한국골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한림성심대학교 UI.svg 한림성심대학교
파일:한국영상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영상대학교
파일:대덕대학교 UI.svg 대덕대학교 ·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대전보건대학교 심볼.svg 대전보건대학교 · 파일:우송정보대학 심볼.svg 우송정보대학
파일:계명문화대학교 심볼.svg 계명문화대학교 · 파일:대구공업대학교 UI.svg 대구공업대학교 · 파일:대구과학대학교 UI.svg 대구과학대학교 · 파일:대구보건대학교 UI.svg 대구보건대학교 · 파일:수성대학교 UI.svg 수성대학교 · 파일:영남이공대학교 UI.svg 영남이공대학교 · 파일:영진전문대학교 심볼.svg 영진전문대학교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 파일:동강대학교 교표.svg 동강대학교 · 파일:서영대학교 교표.svg 서영대학교 · 파일:조선간호대학교 UI.svg 조선간호대학교 · 파일:조선이공대학교 심볼.svg 조선이공대학교
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 파일:대동대학교 UI.svg 대동대학교 ·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 파일:부산경상대학교 UI.svg 부산경상대학교 · 파일:부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부산보건대학교 심볼.svg 부산보건대학교 ·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부산여자대학교 · 파일:부산예술대학교 UI.svg 부산예술대학교
파일:울산과학대학교_UI.svg 울산과학대학교 · 파일:춘해보건대학교 UI.svg 춘해보건대학교
파일:강동대학교 UI.svg 강동대학교 · 파일:대원대학교 UI.svg 대원대학교 · 파일:충북도립대학교 UI.svg 충북도립대학교 · 파일:충북보건과학대학교 UI.svg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파일:충청대학교 UI.svg 충청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 파일:신성대학교 UI.svg 신성대학교 · 파일:아주자동차대학 엠블럼.svg 아주자동차대학교 · 파일:연암대학교 엠블럼.svg 연암대학교 · 파일:충남도립대학교 심볼.svg 충남도립대학교 · 파일:혜전대학교 UI.svg 혜전대학교
파일:군산간호대학교 UI.svg 군산간호대학교 · 파일:군장대학교 UI.svg 군장대학교 · 파일:백제예술대학교 UI.svg 백제예술대학교 · 파일:원광보건대학교 UI.svg 원광보건대학교 · 파일:전북과학대학교 UI.svg 전북과학대학교 ·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 파일:한국농수산대학교 UI.svg 한국농수산대학교
파일:광양보건대학교 로고.svg 광양보건대학교 · 파일:나주대학교 엠블럼.svg 나주대학교 · 파일:동아보건대학교 심볼.svg 동아보건대학교 · 파일:목포과학대학교 UI.svg 목포과학대학교 · 파일:순천제일대학교 UI.svg 순천제일대학교 · 파일:전남과학대학교 UI.svg 전남과학대학교 · 파일:전남도립대학교 UI.svg 전남도립대학교 · 파일:청암대학교 심볼.svg 청암대학교 · 파일:한영대학교 UI.svg 한영대학교
파일:가톨릭상지대학교 UI.svg 가톨릭상지대학교 ·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 파일:경북보건대학교 심볼.svg 경북보건대학교 · 파일:경북전문대학교 엠블럼.svg 경북전문대학교 · 파일:구미대학교 UI.svg 구미대학교 · 파일:대경대학교 UI.svg 대경대학교 · 파일:문경대학교 UI.svg 문경대학교 ·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 파일:성운대학교 UI.svg 성운대학교 · 파일:안동과학대학교 UI.svg 안동과학대학교 · 파일:영남외국어대학 심볼.svg 영남외국어대학 · 파일:포항대학교 UI.svg 포항대학교 · 파일:호산대학교 UI.svg 호산대학교
파일:거제대학교 UI.svg 거제대학교 · 파일:경남도립거창대학 UI.svg 경남도립거창대학 · 파일:경남도립남해대학 UI.svg 경남도립남해대학 · 파일:김해대학교 UI.svg 김해대학교 · 파일:동원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동원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마산대학교 UI.svg 마산대학교 · 파일:연암공과대학교 엠블럼.svg 연암공과대학교 · 파일:진주보건대학교 UI.svg 진주보건대학교 · 파일:창원문성대학교 UI.svg 창원문성대학교 · 파일:한국승강기대학교 심볼.svg 한국승강기대학교
파일:제주관광대학교 심볼.svg 제주관광대학교 · 파일:제주한라대학교 UI.svg 제주한라대학교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전문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문대학 <colbgcolor=#fff,#191919>파일:경남정보대학교 UI.svg 경남정보대학교
파일:대동대학교 UI.svg 대동대학교 · 파일:동의과학대학교 심볼.svg 동의과학대학교
파일:부산경상대학교 UI.svg 부산경상대학교 · 파일:부산과학기술대학교 엠블럼.svg 부산과학기술대학교 · 파일:부산보건대학교 심볼.svg 부산보건대학교 ·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부산여자대학교 · 파일:부산예술대학교 UI.svg 부산예술대학교
기능대학 파일:한국폴리텍대학 심볼.svg 한국폴리텍Ⅶ대학(부산, 동부산)
}}}}}} ||
이원화캠퍼스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colbgcolor=#3d407d><colcolor=#fff> 대동대학교
大同大學校
Daedong University
{파일:대동대학교 UI.svg
교훈 사랑, 성실, 봉사
분류 사립 전문대학
개교일자 1971년 3월 6일 대동간호학교
설립자 박영섭
총장 민경화
소재 부산광역시 금정구 동부곡로27번길 88 (부곡동)
재학생 수[1] 1,476명 (2024년)
학교법인 학교법인 화봉학원
재단병원 대동병원
경영위기대학 전문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대학 (2024년)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대동대학교)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대동병원)
본교
대동빌딩[2]

1. 개요2. 연혁3. 캠퍼스
3.1. 제1캠퍼스
3.1.1. 본관3.1.2. 화봉관3.1.3. 한울관3.1.4. 학생회관
3.2. 제2캠퍼스
4. 주변 교통편
4.1. 버스4.2. 지하철4.3. 셔틀버스
5. 학과
5.1. 자연과학계열
5.1.1. 간호학부(4년제)5.1.2. 치위생과(3년제)5.1.3. 응급구조과(3년제)5.1.4. 호텔소믈리에&바리스타과5.1.5. 호텔조리&베이커리과5.1.6. 외식&디저트창업과
5.2. 예체능계열
5.2.1. 토탈미용과5.2.2. 생활문화음악과
5.3. 인문사회계열
5.3.1. 사회복지서비스과

1. 개요

대동대학교의 전신은 학교법인 화봉학원 설립자인 박영섭 박사가 1971년 3월 개교한 대동간호학교이다. 그 뒤 1972년 12월 대동간호전문학교를 거쳐, 1979년 1월 대동간호전문대학으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 1998년 5월 대동대학으로 변경 인가를 받았다. 2011년 11월 지금의 교명인 대동대학교로 변경하였다.

2001년 평생교육원 설립과 2002년 지역 메가스포츠자원봉자교육 위탁 대학으로서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2009년 부산 의료관광정보센터 개소와 함께 뉴질랜드, 일본, 미국, 영국 등의 교육기관과 국제교류 협약하여 운영중이다.

2018년 (재)한국간호교육평가원 간호교육인증평가 인증대학 선정, 2019년 K-MOVE 스쿨 해외지원사업 선정 등으로 학생 교육 및 취업지원을 하고 있다.

대동대학교는 간호학부, 치위생과, 응급구조과, 토탈미용과, 생활문화음악과, 사회복지서비스과, 호텔조리&베이커리과, 호텔소믈리에&바리스타과, 외식&디저트창업과의 9개 학과로 이루어졌다.

2. 연혁


1970 ~ 대동병원을 모태로 간호학교에서 시작한 대동대학교!

1970. 12. 대동간호학교 설립 인가
1971. 03. 대동간호학교 개교(1971.3.6.)
1972. 12. 대동간호학교를 대동간호전문학교로 개편 인가
교직과정 운영(문교부 장관, 교직과 설치인가)
1974. 01. 대동간호전문학교 제1회 졸업식(졸업인원: 80명)
1977. 08. 대동간호전문대학 신축교사 기공식
1978. 05. 현 금정구 부곡동 본관 준공 및 그에 따른 교사 이전
1979. 01. 대동간호전문대학으로 개편 인가(문교부 장관, 개편인가)
1980. 09. 간호과 120명 정원 증원 인가
1984. 10. 학생회관 준공
1994. 11. 본관 증축 준공
1995. 10. 피부미용과 80명 신설 인가
1997. 11. 아동복지과, 레저관광경영과 신설 인가
간호과, 피부미용과 증원 인가
1998. 05. 대동대학으로 교명변경 인가(교육부 장관, 변경인가)


2001 ~ 평생교육원 설립과 지역 메가스포츠 자원봉사자교육 위탁 대학으로서 지역사회 봉사하는 대동대학교!

2001. 11. 평생교육원 개원(교육인적자원부, 개원인가)
2002. 03. 부산아시안게임 자원봉사자교육 위탁대학 선정
2002. 08. 지정 서비스교육 특성화 대학 선정(교육인적자원부)
2002. 08. 부산 아·태장애인경기대회 자원봉사자 교육 위탁대학 선정
2003. 02. 화봉관 준공
2003. 08. 유아교육과, 애견뷰티전공, 관광경영전공,
항공서비스전공, 호텔외식조리전공 신설 인가
2005. 11. 병원서비스경영과 신설 인가
2006. 03. 평생교육원 학점은행제 간호학사 학위과정 개설
2007. 09. 영국 ITEC(Intemational Therapy Examination Council) 교육기관 인가
사회복지과 신설 인가
2008. 09. 재활요양복지전공 신설 인가

2009 ~ 부산의료관광정보센터 설립을 바탕으로 글로벌대학으로의 대동대학교!

2009. 04.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교육역량우수(대학 대표브랜드) 대학 선정(2009~2013)
2009. 04. 싱가포르 Parkway College 공동학점과정 협약
2009. 09. 호텔소믈리에&바리스타전공 신설 인가
2009. 12. 부산의료관광정보센터 개소(대동대학교 內)
2010. 07. 2010 전문대학 대표 브랜드 사업 지원 대학 선정
2011. 04. 2011 교육역량우수대학 선정
2011. 07. 뉴질랜드 Massey Univ, UNITEC 교육 협약
2011. 08. 일본 오사카 국립대학 교육 협약
2011. 10. 미국 Jamestown College 학점인정 협약
2011. 11. 대동대학교로 교명변경 인가(교육부 장관, 변경인가)
2012. 04. 2012 교육역량우수대학 선정
2012. 06. 일본 오사카 관광대학 공동학점과정 협약
2012. 08.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공동학점과정 협약
2012. 11. 미국 Bloomfield College 공동학점과정 협약
2013. 01.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교육품질인증대학 선정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2013. 07. 2013 교육역량우수대학 선정
2015학년도 4년제 간호과 설치대학 지정

2014 ~ 교육부 특성화전문대학 선정을 바탕으로 전문 직업교육대학으로의 대동대학교!

2014. 03. 미국 University of Hawaii 국제교류 협약
2014. 06. 교육부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선정(2014 ~ 2016)
2014. 09. BS부산은행, ㈜서원유통, 길정의료재단 산학협력 협약
2015. 05. 영국 Burton and South Derbyshire College 교육 협약
2015. 06. 주식회사 부산롯데호텔 산학협력협약
2015. 07. 뉴뮤직과 신설 인가
2015. 12. (재)한국간호교육평가원 간호교육인증평가 인증 대학 선정
2016. 05. 바이오스킨케어과, 헤어디자인과 신설 인가

2018 ~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학과 구성을 통한 서비스 혁명의 뉴리더를 양성하는 대동대학교!

2018. 01. 2주기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2018~2022)
2019. 03. 2019 부산광역시 대학생 취업력량 강화 지원사업
2019. 05. 영유아보육과(성인학습자전담학과), 뷰티헤어디자인과 신설 인가
2019. 06. 2019 부산시 교육청 중등 통합 방과후 교육센터 사업
2019. 07. 부산광역시 부산형 OK 일자리 지원사업
2019. 11. 2019 K-MOVE 스쿨 해외지원사업 선정(호주유아교육전문가 자격증 취득 및 취업과정)
2020. 05. 외식&디저트창업과(성인학습자학과)신설
2020. 02. 제47회 학위수여식
2020. 05. 간호학부(4년제) 정원 증원(10명 배정)
외식&디저트창업과(성인학습자 전담학과), 국제관광서비스과 명칭 변경 인가
2021. 02. 제48회 학위수여식
2021. 04. 치위생과(3년제) 정원 배정(30명) 및 신설 인가
2021. 05. 대동대학교-부산여성가족개발원, 신입생 역량강화 및 폭력예방교육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1. 06. 대동대학교-부산정보산업진흥원, 대중음악 활성화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및 부산음악창작소 이전
2021. 07.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주관, ‘B-CON 창작과정’ 선정
2021. 09.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최종 선정(교육부)
2022. 02. 제49회 학위수여식
2022. 05. 금정구 북파크 도서관(금정구청), 부산음악창작소(부산경제진흥원) 이전 설치
2022. 09. 반려해변 입양대학 선정 (기장 일광해수욕장, 환경부ㆍ해양수산부 인증)
2023. 02. 제50회 학위수여식
2023. 06. 제24회 부산녹색환경상(녹색단체부분 본상) 수상(부산광역시) 간호학부(4년제) 정원 증원(10명) 배정
응급구조과(3년제), 토탈미용과(성인학습자 전담학과) 신설 인가
2024. 01. 3주기 전문대학 기관평가인증 (고등직업교육평가인증원, 2024~2027)
금정구 진로교육지원센터 공모사업 선정(부산광역시 교육청, 2024~2025)
제51회 학위수여식
일본 ㈜사누케멘키, 실습교육운영 국제교류협정 업무협약
2024. 04. 부산시 여성폭력방지 종합지원센터(이젠센터), 대학 내 젠더폭력 예방 및 피해지원 운영 업무협약 금정구 장애인복지관, 장애학생 정신건강 증진 및 복지서비스 지원 업무협약
2024. 06. 간호학부(4년제) 정원 증원(10명) 배정
사회복지서비스과(성인학습자 전담학과), 생활문화음악과(성인학습자 전담학과) 신설 인가
2024. 08. 미국 헨리포드잭슨병원, 취업 연계 교류협정 업무협약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 ABSN과정 업무협약
2025. 02. 제52회 학위수여식(역대 졸업인원 17,590명)

3. 캠퍼스

아담하지만 나름 2개의 캠퍼스가 존재한다.

3.1. 제1캠퍼스

3.1.1. 본관

간호학부, 사회복지서비스과, 토탈미용과가 사용한다.

1층 - 총장실, 인권센터 상담실, 보건진료소, 빅데이터 실습실, 학생행복상담실
2층 - 토탈미용과 헤어디자인실습실, 두피&모발관리실, 메이크업실
3층 - 간호학부 기본간호학실습실
4층 - 사회복지서비스과 사무실, 토탈미용과 사무실, 대강의실, 교육방송국, 의료정보관리실습실
5층 - 하이브리드 강의실, 교수연구실

3.1.2. 화봉관

간호학부, 토탈미용과, 호텔외식조리과 강의실/실습실이 위치한다.

B2층 - 사물함, 제과제빵실습실, 대동라운지가 위치한다. 원래 카페가 있었으나 코로나 19이후 운영하지 않다가 2023년 2학기부터 다시 운영한다.
B1층 - 대강당,자기주도학습실, 강점탐색실, 학생식당, 매점이 위치하고 있다. 학생식당은 점심식사만 판매하며 저녁식사는 판매하지 않는다.
1층 - 부산은행ATM, 서류 출력기기, 교무처, 지산학협력처단, 취창업지원센터, 교수학습혁신센터, 입학홍보처, 대강당 2층 좌석
2층 - 강의실, 무인프린터기기
3층 - 강의실, 교수연구실, 아동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실
4층 - 교수연구실, 도서관(자료실, 제1열람실, 제2열람실)
5층 - 간호학부 사무실, 강의실, 세미나실, 기초간호과학실습실, 간호시뮬레이션실습실
6층 - 강의실, 교수휴게실

3.1.3. 한울관

디아트홀, 지하주차장(B3~B4)이 있다.
생활문화음악과, 치위생과, 응급구조과가 사용한다.

3.1.4. 학생회관

동아리방이 위치한다.

3.2. 제2캠퍼스

산업도로이 위치하며 롯데시네마 오투점 건너편에 위치한 대동빌딩이다.
평생교육원, 금정구진로교육지원센터, 금정북파크, 학교기업 빈포니가 있다.

4. 주변 교통편

4.1. 버스

• 부산버스: 29, 49, 50, 148, 1002 (금정세무서 하차)
• 양산버스: 12, 12-1, 1200, 1300, 1500 (이상 부산대 지하철역 하차), 58, 59, 61 (이상 금정세무서 하차)

4.2. 지하철

부산대역 하차(2번출구) 도보로 10분이하 학교 도착

4.3. 셔틀버스

학기 중에만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코로나19이후 특정 시간(오전 8:20~ 오전 10:40)만 운행한다. 탑승하는 위치는 부산대역 4번출구 부산대역 삼한골든뷰 에드스테이션 앞에서 탑승한다.

하교 셔틀은 운행하지 않는다.

5. 학과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학과는 2년제.

5.1. 자연과학계열

5.1.1. 간호학부(4년제)

- 간호학부(Department of Nursing): 1971년 개교 이래 우수한 간호교육기 관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을 위해 간호와 사랑을 몸소 실천하는 학부입 니다. 2015년 4년제 간호학과로 지 정되어 현재 4년제 학부로 운영되며 2021년 5주기 교원양성기관 역량진 단평가 인증대학으로 선정되어 더욱 성장 발전하고 있습니다.
- 교육목적: 전인적인 인간교육을 통하여 전문적인 자질과 능력을 갖춘 현장밀착형 간호사 양성

5.1.2. 치위생과(3년제)

- 치위생과(Department of Dental Hygiene): 2022년 신설, 학생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현장 맞춤형 실습실(덴탈 체어 및 구강 영 상 시뮬레이션)”과 “주문식교육 연계 실습실(덴탈 시뮬레이션 및 구강 모형 실습실)”을 구축하여 산학일체형 실 습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체 계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국가고 시 합격률을 높임으로써, 이를 바탕으 로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자질과 능력 을 연마하고 전공과목에 대한 정확한 이론적 지식과 더불어 전공실습 능력 을 전문화하여, “전국 최고의 디지털 구강보건전문가 인재양성을 통한 맞 춤형 직업 교육 선도학과”로 자리매김 하고자 합니다.
-교육목적: 학생의 가치를 실현하며 부·울·경 최고 대학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학교 비전에 부응하기 위해 전문직업인으로의 자질과 능력을 연마하고 전공과목 에 대한 정확한 이론적 지식과 더불어 전공 실습능력을 전문화하여 구강 보 건전문가로서의 자긍심, 열정, 창의성을 겸비한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5.1.3. 응급구조과(3년제)

- 응급구조과(Department of Paramedicine): 2024년 신설,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각종 질병, 사고 손상 및 재난의 증가로 응급의료 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응급상황이 지속적으로 증대됨에 따라 전문적인 응급처치 능력을 갖춘 1급 응급구조 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 습니다. 이에 응급환자에게 체계적이 고 전문적인 응급의료를 제공할 수 있 도록 응급처치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 지식과 기술을 배양하고, 우수한 전공 교수진 지도로 체계적인 전공수업, 다 양한 실습지도와 재단병원(대동병원) 의 임상실습 및 취업 등을 연계하여 전문적인 1급 응급구조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 교육목적: 전문적인 응급처치를 통하여 생명유지 및 재난 전문가로 국민의 생명을 보호 하고 보다 나은 양질의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1급 응급구조사를 양성함.

5.1.4. 호텔소믈리에&바리스타과

- 호텔소믈리에&바리스타과(Department of Hotel sommelier & Barista): “바리스타”는 단순히 커피를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커피 맛을 제대로 내 고 또 연출하며, 제과·제빵과의 조화를 통해 고객에게 즐거움과 새로운 문화 를 제공해 드리는 역할을 하고, “소믈 리에” 는 음식과 어울리는 와인을 추 천하고 즐길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로 식문화가 발달할수록 이 분야 전문가 에 대한 수요가 더 늘어나 많은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합니다.
- 교육목적: 국제화된 식음료 문화에 맞추어 미래 지향적인 외식문화 창출을 위해 음식과 어울리는 와인을 추천하고 와인을 감별하는 소믈리에 과정과 커피맛을 제대 로 내고 또 다양한 커피 연출을 하는 바리스타 과정을 교육하며, 아울러 실무 위주의 현장 교육 프로그램과 외국어 교육을 바탕으로 국내 호텔은 물론 해외 인턴쉽 및 해외 취업을 위한 글로벌 인재 및 호텔·외식·식음료 분야의 최고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표를 둡니다.

5.1.5. 호텔조리&베이커리과

- 2024년 호텔외식조리과에서 호텔조리&베이커리과로 명칭변경
- 호텔조리&베이커리과(Department of Hotel culinary arts & Bakery): 호텔조리& 베이커리과는 매년 졸업 생의 대부분이 전국 특급 호텔 및 리 조트에 취업해서 근무하고 있으며, 해 외 취업반을 개설하여 호주나 일본 등 으로 해외 취업 할 수 있도록 어학연 수 및 인턴쉽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 며, 창업 및 학원 강사로 취업할 수 있 는 학과입니다. 특히 해외취업은 일본 MSC 호텔그룹과 연계된 인턴십이 운영되며 본인이 원할 경우 학교의 지 원 아래 일본 현지에서의 장기 취업도 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학생과의 상담을 통해 학생에 맞는 취업처를 설 정하고, 졸업 후에도 끊임없이 산업체 에 취업 할수 있도록 주선하며, 최근 에는 소규모 창업을 할 수 있도록 학 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창업지원 학과 입니다.
- 교육목적: 국제화된 서비스 문화에 맞추어 미래 지향적 긍정적인 마인드 스킬을 교육하며, 아울러 실무위주의 현장 조리 교육 프로그램과 외국어 교육 을 바탕으로 국내 외식산업은 물론 해외 인턴십 및 해외 취업을 위한 글로벌인재 및 호텔조리서비스분야의 최고 전문가를 양성한다
- 교육특성: 조리이론과 기능습득 등의 교육을 통하여 외식 산업의 발전과 국민의 보건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조리분야에 창의적으로 종사 할 수 있는 조리관련 전문인을 양성한다.

5.1.6. 외식&디저트창업과

- 성인학습자(만 25세 이상) 모집학과
- 외식&디저트창업과(Department of Food & Dessert start-up): 2021년 신설학과로 소자본 외식창업에 관심이 있는 25세 이상 또는 산업체 근무 경력 2년 이상 누구나 지원가능하며 외식창업 을 위한 조리기술, 영업기획, SNS활 용마케팅, 고객감동서비스까지 한 번 에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실무 중심 학 과입니다.
- 교육목표: 급변화하고 있는 외식문화에 맞추어 트랜드에 맞는 조리실습과 수준 높은 외식산업 이론 교육을 통해 글로벌화 된 전문지식 습득과 창의역량을 지닌 실무기능중심의 인력을 양성하여 발빠르게 적응하여 창업시 실패(폐업)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자본 외식창업 인력을 배양

5.2. 예체능계열

5.2.1. 토탈미용과

- 성인학습자(만 25세 이상) 모집학과 (2024년 신설)
- 토탈미용과(Department of Total beauty): 최고의 실무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이·미용, 취·창업에 관심이 있는 만 25세 이상 또는 산업체 근무경력 2년 이상 누구나 지원가능하며, 성인학습자만을 위한 이·미용, 취·창업에 특화된 교육 과정 및 실습 환경을 갖춘 과로서 토탈 이·미용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입니다.
- 교육목적: 서비스 매너를 바탕으로 실무능력과 변화하는 사회에 발 맞춰 창업을 위한 경쟁력 있고 최신 트렌드의 감각을 갖춘 성인학습자만을 위한 이·미용 전 문 인력을 양성합니다.

5.2.2. 생활문화음악과

- 성인학습자(만 25세 이상) 모집학과
- 생활문화음악과(Department of Living culture and Music): 생활 전반에 걸친 문화를 음악 중심으로 학습하며, 현대 사회 전반에 다 양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문화를 이 해하고 학습합니다. 악기연주 실습 및 공연을 통해 다양 한 문화 경험을 하며 삶의 질을 높여 가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 학생들이 활동 할 수 있도록 문화 인 재를 양성합니다. 음악 치료와 관련 된 교육을 통해 봉 사 공연 등의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현대 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휴머니티를 실천합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음악심리상담사 등의 자격증 과정을 통해 문화예술 및 음악치료와 관련 된 인재를 양성 합니다.
- 교육목표: 1) 전문적인 이론 및 실기가 탄탄한 음악 전문인 양성, 2) 무대에서 창의적인 것을 마음껏 실현할 수 있는 음악 전문인 양성, 3) 뮤지션쉽을 지닌 음악 전문인 양성

5.3. 인문사회계열

5.3.1. 사회복지서비스과

- 사회복지서비스과(Department of Welfare services): 사회복지서비스과는 지역사회에 맞는 맞춤형 사회복지사를 양성하고자 25세 이상 성인학습자 대상으로 여건 과 상황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 는 학과입니다. 노인, 장애인, 아동 돌 봄 및 통합케어를 위한 전문 복지인력 양성과 선도적 돌봄 모델 확산에 최선 을 다하고자 합니다.
- 교육목적: 글로벌 변화 트렌드에 적응하며 올바른 인성과 봉사정신을 지닌 현장실무형 사회복지전문가 양성
[1] 재적생 수 기준.[2] 대동대학교 평생교육원으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