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2:41:42

대구문화예술회관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50,000명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10,000명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종합운동장 · 잠실 돔구장(예정)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문학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광주월드컵경기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 고양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KSPO DOME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명 이상 SK핸드볼경기장 ·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명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부산금정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명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국악원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1,000명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 광림아트센터 · 국립정동극장 · 꿈의숲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무신사 개러지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현대예술관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 전문공연장
}}}}}}}}} ||


파일:대구문화예술회관 로고.svg
1. 개요2. 역사3. 시설
3.1. 전시관3.2. 코오롱야외음악당3.3. 편의시설
4. 교통

[clearfix]

1.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공원순환로 201 (성당동)[1]에 있는 대구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공간이다. 지방 문화예술을 진흥하고 향토 문화예술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1990년 5월 개관하였다. 부지면적은 6만 6100㎡이며 문화예술회관 본관 외에 향토역사박물관, 방짜유기박물관, 근대역사박물관을 운영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악단, 무용단, 극단, 소년소녀합창단 등 4개 시립예술단체를 보유하고 있어 어떠한 장르의 작품도 자체 생산이 가능하다.

2. 역사

관련 영남일보 기사 이상희대구시장 인터뷰(월간 대구문화) 월간 대구문화 기사 천광호 화백의 증언(월간 대구문화)

원래 대구문화예술회관은 경상북도 예술회관으로 추진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대구가 1981년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어 대구직할시로 승격하며 대구직할시 예술회관으로 계획이 변경되고 이후 두류공원의 조성에 크게 기여한 이상희 시장 시절 현재의 위치로 확정되고 대구경북의 대표적인 건축가 후당 김인호[2]의 설계안이 확정되어 1983년 8월 17일 착공해 여러 난관 끝에 1990년 5월 21일 공연장을 시작으로 1993년 9월 4일 예련관까지 문을 열었다.

1992년 5월 7일부터 1999년까지 대구시민회관(현 대구콘서트하우스)도 문화예술회관에서 관리하였으나 2000년부터 대구시설공단 산하로 이관됐다.

홍준표 시정이 시작된 후, 2022년 10월 출범된 대구문화예술진흥원에 통합되었다. 대구문화예술진흥원도 문화예술회관에 상주해 있다.

3. 시설

장르에 구분 없이 대형작품 공연이 가능한 '팔공홀', 연극공연과 독주회에 강점을 가진 '비슬홀', 13개의 전시실과 회의석 130석과 방청석 60석 규모에 5개국어 동시통역 시설과 영상 시설을 갖춘 국제회의장 등을 갖춘 '전시관', 전시관 건물 뒤편 숲속에 있으며, 관람석 700석을 갖추고 음악회·무용·마당놀이 등의 공연과 야외예식장으로도 이용되는 '야외공연장'과 연습실 8실과 사무실 3실이 있는 예련관, 역시 두류공원 내에 있긴 하나, 회관과 떨어진 '코오롱야외음악당'이 있다.

3.1. 전시관

예술의 전당 등 국내 다른 대부분의 복합문화시설과는 달리 대구문화예술회관은 공연장이 아니라 전시관이 중심이 된 건물 배치가 특징이다.

대구미술관의 개장 전에는 이곳이 대구를 대표하는 미술관 역할을 맡고 있었으며[3], 지금도 지역의 주요 전시 공간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벌집 모양 구조, 원형의 동선이 특징으로, 대구경북 지역의 대표적인 건축가 후당 김인호가 설계한 곳이라 그런지 대구 지역의 건축 관련 전시들은 주로 이곳에서 개최되고 있다.

3.2. 코오롱야외음악당



1997년에 공사를 시작해 2000년 9월 29일에 개관한 1,080석의 계단식 좌석을 갖춘 야외 공연장으로, 공연장을 둘러싼 잔디 광장도 사용할 경우 27,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수성구 수성동4가 구 코오롱 대구공장 부지[4]를 주거 용지로 개발하는 대가로 시 측에서 제공한 부지에 코오롱그룹이 건설해 기증했다. 공연이 없을 때는 시민들의 나들이 공간으로 애용된다.

대구 시민들은 야외음악당을 줄여서 "야당"으로 부르기도 한다.

653번이 이 곳을 지나간다.

3.3. 편의시설

대구 지역의 카페 체인인 커피명가 아르떼가 본관 1층 달구벌홀 쪽에 있다.

4. 교통

두류공원 이용객도 겹쳐 주차 공간이 부족한 관계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4.1. 전철

4.2. 시내버스


[1] 두류공원 내부에 있으며, 성당못을 바라보는 곳에 있다.[2] 대구실내체육관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등이 그의 작품이다. 문화예술회관은 그의 유작이기도 하다.[3] 정작 정식 미술관 등록은 대구미술관이 개장한 뒤인 2014년이다.[4] 대구은행역 북편 아파트 단지. 코오롱지구로도 불린다.[5] 문화예술회관 정류소는 무정차 통과하므로, 두류수영장 정류소에서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