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8837><colcolor=#fff> 북 편 | <rowcolor=#000,#fff> [[노원로(대구)| 4 25 노원로]]만평네거리 ~ 침산교교차로 | [[동북로(대구)| 4 25 동북로]]침산교교차로 ~ 효목네거리 | ||||
| 동 편 | <rowcolor=#000,#fff> 황금고가교네거리 ~ 만촌네거리 | [[무열로| 25 무열로]]만촌네거리 ~ 효목네거리 | |||||
| 남 편 | <rowcolor=#000,#fff> 안지랑네거리 ~ 캠프워크교차로 | | 중동교 ~ 황금고가교네거리 | ||||
| 서 편 | <rowcolor=#000,#fff> [[두류공원로| 5 26 두류공원로]]안지랑네거리 ~ 두류네거리 | [[서대구로| 5 서대구로]]두류네거리 ~ 만평네거리 | |||||
| [단절] : 캠프워크교차로 ~ 봉덕초등학교 구간 캠프워커로 인해 단절, 봉덕초~대구도서관 2025년 11월 개통 예정 대구광역시도 | 1차 순환선 | 2차 순환선 | 3차 순환선 | 4차 순환선 | }}}}}}}}} | ||||||
| | 3차 순환선 三 次 循 環 線 Daegu Metropolitan City 3rd Ring Way | |
| | ||
| <colbgcolor=#008837><colcolor=#fff> 연 장 | <colbgcolor=#fff,#000> 25.87km[명목상] 26.53km[실제] | |
| 도로명 | 무열로, 청호로, 청수로, 대덕로, 대명로, 두류공원로, 서대구로, 노원로 | |
| 경유지 | 수성구 | <colbgcolor=#fff,#000> 만촌동, 범어동, 황금동, 지산동, 두산동, 상동, 중동 |
| 남구 | 봉덕동, 대명동 | |
| 달서구 | 성당동, 두류동 | |
| 서구 | 내당동, 평리동, 비산동 | |
| 북구 | 노원동3가, 침산동, 산격동, 복현동 | |
| 동구 | 신암동, 효목동 | |
1. 개요
대구광역시의 3번째 순환도로. 2차 순환선 외곽에 있다.[3] 동구, 북구, 서구, 남구, 달서구, 수성구를 지나며, 중구만 유일하게 지나지 않는다. 포함되는 도로는 서대구로, 노원로, 동북로, 무열로, 청호로(일부), 청수로(일부), 대덕로, 대명로(일부), 두류공원로가 있다. 주요 교차로는 큰고개오거리, 복현오거리, 연암네거리, 노원네거리, 만평네거리, 평리네거리, 두류네거리, 안지랑네거리, 중동네거리, 황금네거리, 만촌네거리, 효목네거리 등이 있다.두류공원네거리~만촌네거리 사이의 북쪽 구간은 모두 일반국도 구간으로 구성 노선은 4번, 5번, 25번, 26번이다.
이 도로들 중 대덕로는 대구광역시 남구에 있는 주한미군 캠프워커 때문에 미완의 도로가 되어 버려 순환도로가 완전히 이어지지 못하고 끊어져 있는 바람에 완주를 위해서는 이 순환도로 상에 있지 않은 이천로와 봉덕로를 잠시 경유하여야 한다.[4] 이 때문에 도로 단절로 인한 접근성 부족으로 도로 건설을 요구하는 민원이 지속해서 제기되어 왔다.
캠프워커 동편 활주로/헬리포트 자리가 반환되어 대덕로가 현충로역 동편까지 연장되면 순환도로가 완성될 것이다.
2021년 12월 30일 서편 활주로까지 반환 합의를 마치며 마지막 남은 구간까지 반환될 예정이다.#
미개설된 동편(옛 활주로) 구간은 2024년 2월 착공, 2025년 11월 20일 준공# # #한 후 11월 21일부터 통행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대덕로 1차 연장 구간의 남쪽에 있는 삼정길의 통행 방식이 변경되며, 삼정길에서 대덕로 1차 연장 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일방통행 연결 도로가 추가된다.[5]
서편 구간은 추진 중이다.
순환3(-1)번이 이 도로를 따라 운행한다.[6] 다만 도로 구조와 통행 방식의 변경 때문에, 730번이 먼저 변경된다. 대구 도시철도 5호선이 이 3차 순환선를 따라도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본 순환선의 외곽으로 4차 순환선이 건설되었다.
2. 구간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83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837> | }}} | ||
| {{{#!wiki style="color: #008837;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88837><colcolor=#fff> 내 부 순 환 | <colbgcolor=#fff,#191919> 1차 순환 | <colbgcolor=#fff,#191919> 2차 순환 | <colbgcolor=#fff,#191919> 3차 순환 |
| | | |||
| 테크노순환로 | 공원순환로 | |||
| 외 곽 순 환 | | 팔공산 순환 | ||
| 대구광역시도 | 1차 순환선 | 2차 순환선 | 3차 순환선 | 4차 순환선 | }}}}}}}}} | |||
[명목상] [실제] 대덕로의 단절로 인해 이천로-봉덕로 경유 시[3] 2차 순환선 안쪽으로는 1차 순환선도 있다. 대구는 중국 베이징처럼 도로구조가 중심 핵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쭉 뻗어 있다.[4] 순환3번 대 버스들과 다른 지선버스들도 이런 형태로 우회한다.[5] 이에 따라 삼정길과 효성로가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삼정길 →︎ 남구청 방향으로 좌회전이 금지된다.[6] 위에 설명했듯 순환 구간이 끊어져 있어 대체구간으로 이천로와 봉덕로를 잠시 지난다. 이 노선은 명칭과 달리 완전한 순환선이 아니며, 범물동 기점을 드나들기 위해 순환선에 속하지 않은 용학로와 지범로, 범안로의 일부를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