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단지누의 수상 이력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윌리엄 단지누 Wiliam Dandjinou | |
| |
출생 | 2001년 10월 1일 ([age(2001-10-01)]세) |
퀘벡주 셔브룩 | |
국적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아버지, 어머니 |
신체 | 191cm |
국가대표 | 2019-20, 2022-23~2024-25 (4시즌)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clearfix]
1. 개요
케나다의 쇼트트랙 선수.1.1. 유년 시절
6살 때부터 스케이트를 시작했다.
2. 선수 경력
2.1. 2019-20 시즌
아직 본격적으로 기량이 성장하기 전으로 별 다른 활약은 없었다. 2020 사대륙선수권 500m 준준결승에서는 황대헌에 이어 2위로 통과해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끝내 탈락했다.2.2. 2022-23 시즌
이 시즌에도 마찬가지로 기량이 성장하기 전이기 때문에 이 시즌도 큰 활약이 없었다. 2023 사대륙선수권 1000m에서 박지원, 파스칼 디옹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한다.[1] 이후 월드컵 4차 대회에서 5000m 계주 금메달을 획득했다.2.3. 2023-24 시즌
2.3.1. 월드컵 시리즈
- 1차
1000m(2)에서 박지원과 황대헌이 넘어지면서 운 좋게 동메달을 획득한다. 5000m 계주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 2차
1500m에서 황대헌과 김건우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5000m 계주에서는 중국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 3차
1500m에서 2바퀴 정도가 남았을 때 박지원을 추월하는데 성공했지만 추월과정에서 충돌이 생겨 밀려났고 동메달을 받았다. 5000m 계주에서는 마지막 바퀴에서 중국을 추월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4차
1500m(1), (2)에 출전하여 모두 결승에 진출했고 1500m(1)에서는 박지원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고, 1500m(2)차에서는 박지원을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5차
1500m, 1000m(2)차에 출전했는데 1500m에서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금메달을 따냈고, 1000m(2) 결승에서 경기 운영에 급한 모습을 보이며 넘어지면서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그 이후 6차 대회는 부상으로 불참하였다.
2.3.2. 2024 사대륙선수권
- 1500m
박지원을 추월하기 위해 바깥으로 추월했으나 코너를 돌던 도중 넘어지면서 7위를 기록했다.
- 1000m
박지원이 스티븐 뒤부아와 충돌하면서 간격이 벌어졌고 스티븐 뒤부아에 이어 2위를 기록했지만 뒤부아가 박지원을 뒤에서 밀었다는 판정으로 실격되면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5000m 계주
2번 주자로 출전하였다. 두바퀴가 남았을 때 삐끗해 한국의 박지원에게 인코스로 추월을 당한 후 마지막 바퀴에선 중국의 리원룽에게 인코스로 추월을 당하면서 동메달을 획득한다.
2.3.3. 2024 세계선수권
- 1500m
가장 유력한 우승 후보 중 한 명이었으나 준준결승과 패자부활전에서의 어드밴스 속출로 9명이 포함된 준결승 조에서 운영이 꼬이며 페널티를 받아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 500m
예선 하루 전 펠릭스 루셀의 부상으로 인해 500m에 대체 출전하였다. 준준결승에서 3위로 탈락하였다.
- 1000m
유력 우승 후보였던 한국의 박지원, 황대헌을 상대로 선행 플레이를 주도하려 했으나 경기 중반부 두 선수에게 흐름을 뺏겼다. 하지만 곧이어 한국의 두 선수 충돌로 손쉽게 금메달을 따냈다.
2.4. 2024-25 시즌
2.4.1. 월드 투어
- 1차
주종목이 아니었던 500m에서도 스타트와 스피드가 크게 성장한 모습을 보이며 결승에 진출하여 1레인을 배정받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1위 자리를 잘 지켜내어 본인의 첫 500m 금메달을 획득하고 개인전 2관왕에 올랐다.
5000m 계주에서도 결승에 진출했고 1차 대회 3관왕에 올랐다.
- 2차
500m에서는 스티븐 뒤부아에 이어 2위로 통과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5000m 계주에서도 결승에 진출했고 또 다시 금메달을 가져왔다.
- 3차
1500m에서 박지원과 또 다시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경기 중후반부 미야타 쇼고에게 아웃코스 추월이 막힌 틈을 타 박지원이 매우 빠르게 선두를 차지하였고 본인도 끝까지 추월을 시도하였으나 은메달로 마무리하였다.
1000m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몇 바퀴 남지 않은 상황에서 박지원의 인코스 추월로 인한 충돌로 밀려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5000m 계주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지만 넘어지면서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 4차
5000m 계주 준결승에서는 4번 주자로 출전했다. 11바퀴를 남겨놓고 박장혁에게 인코스로 추월 당하고 다시 안쪽으로 추월하려고 했으나 박장혁의 마킹으로 밀려나고 이탈리아에게 인코스를 내주며 3위로 밀려났다. 이후 스티븐 뒤부아가 터치를 받는 이탈리아를 피하지 못해 넘어지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혼성 2000m 계주에서는 3번 주자로 뛰었고, 킴 부탱의 빠른 스타트로 초반부터 선두에서 이끄는 레이스를 펼쳤으나 스티븐 뒤부아가 박지원에게 인코스로 추월을 허용하고 플로랑스 브뤼넬이 잔드라 벨제부르의 무리한 인코스 추월로 밀려나 4위로 떨어졌고 그 이후에도 올라오지 못하면서 4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3위로 결승선을 통과한 네덜란드가 무리하게 인코스 추월을 했다는 판정으로 실격되면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000m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했다.
- 5차
1500m에서는 한국 선수들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참가로 불참한 가운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500m에서는 가장 불리한 5레인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경기 중반부 미야타 쇼고와 옌스 판트바우트를 한 번에 인코스로 추월하려 했지만 공간이 여의치 않아 충돌 이후 넘어졌다. 이후 위험하게 추월을 시도했다는 판정으로 개인전에서 처음으로 옐로 카드를 받았다.
1000m 결승에서 역시 시작과 동시에 다른 선수들의 견제로 가장 뒤로 밀려난 채로 경기를 진행하였다. 본인의 강점인 선행 레이스를 하지 못해 급해진 탓인지 무리하게 인코스 추월을 시도하여 충돌이 일어나 선두의 옌스 판트바우트를 제외하고 모두 넘어졌다. 결국 옐로 카드를 또 한 번 받아 레드 카드[2] 처리되어 포인트 몰수와 함께 이후 있었던 5000m 계주 결승 출전도 금지되었다.
- 6차
1500m 준결승에서 경기 운영에 급한 모습을 보이며 옌스 판트바우트, 장성우에게 밀리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결승 B에서 막심 라운, 김건우에 이어 3위로 들어왔지만 김건우의 실격으로 결승 B 최종 2위를 기록했다.
1000m에서 초반부터 선두에서 이끄는 레이스를 펼쳤고, 압도적인 실력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여 캐나다 남자 선수 처음으로 크리스탈 글로브를 따냈다.
5000m 계주에서는 초반부터 대부분 모두 선두로 달리고 있었으나 마지막 반바퀴에서 피에트로 시겔의 막판 스퍼트로 인코스로 추월을 당하여 은메달을 획득한 것과 동시에 팀 캐나다가 종합 우승 팀으로 마무리했다.
3. 수상 기록
| ||
금메달 | 2024 로테르담 | 1000m |
| ||
금메달 | 2024 라발 | 1000m |
동메달 | 2023 솔트레이크시티 | 1000m |
동메달 | 2024 라발 | 5000m 계주 |
| ||||
1500 m 1위 | 2023-24 시즌 |
| ||||
월드컵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종합 | 0 | 0 | 1 | 1 |
1500 m 랭킹 | 1 | 0 | 0 | 1 |
합계 | 1 | 0 | 1 | 2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500m | 1 | 1 | 0 | 2 |
1000 m | 1 | 0 | 1 | 1 |
1500 m | 5 | 2 | 1 | 6 |
개인전 합계 | 7 | 3 | 2 | 12 |
5000 m 계주 | 4 | 2 | 0 | 6 |
2000 m 혼성 계주 | 0 | 1 | 0 | 1 |
계주합계 | 3 | 3 | 0 | 6 |
메달합계 | 7 | 4 | 2 | 13 |
랭킹 + 메달 합계 | 8 | 4 | 3 | 15 |
| ||||
시즌 | 종합 | 500m | 1000m | 1500m |
2019-20 | - | - | 46위 | 74위 |
2022-23 | 33위 | 40위 | 65위 | 9위 |
2023-24 | 3위 | - | 5위 | 1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4] |
4. 평가
191cm에 달하는 큰 키와 거대한 피지컬을 지닌 선수로 거구에 걸맞지 않은 엄청난 스피드와 체력이 강점인 선수. 23-24 시즌부터 급격한 성장으로 중장거리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큰 피지컬에서 나오는 강한 힘과 빠른 속도, 부드러운 인코스 추월을 토대로 앞에서 끌고 가는 플레이가 주특기이다.단점은 본인이 원하는 대로 경기 운영이 되지 않을 경우 급한 모습을 보이며 넘어지거나 페널티를 받는 등 경험이 부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험 부족은 시간이 지날수록 보완이 될 것이고 아직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그래서 대부분의 한국 쇼트트랙 팬들은, 다가오는 2026 밀라노 동계올림픽에서 단지누가 대한민국 남자부의 제일 큰 경쟁상대가 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5. 기타
- 캐나다 남자 선수 중 최초로 크리스탈 글로브를 수상했다.
- 역대 쇼트트랙 선수들 중 최장신이다.[5]
- 결승선 통과 세레머니로 팔을 크게 펄럭이는 날갯짓 세레머니를 자주 한다.
- 곽윤기의 유튜브에 출연했다.
- 취미는 사이클링, 농구, 책 읽기, 체스다.
- 쇼트트랙 선수들 중 최초로 레드 카드를 받은 선수다.
- 어머니가 메이플 시럽을 잘 만든다고 한다.
- 어린 시절에 옌스 판트바우트와 친한 친구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