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0:08:38

다르케르

파일:zeldapattern2.png
파일:젤다 야숨 로고.png
하이랄의 영걸들
파일:zeldapattern2.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하이랄의 공주
파일:zelda_triforce.png
하이랄의 용사
파일:botw_champions_tunic.jpg
젤다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파일:BotW_Divine_Beast_Vah_Ruta_Icon.png
'''{{{#!wiki style="margin: 0 -10px"'''
파일:BotW_Divine_Beast_Vah_Medoh_Icon.png
'''{{{#!wiki style="margin: 0 -10px"'''
파일:BotW_Divine_Beast_Vah_Rudania_Icon.png
'''{{{#!wiki style="margin: 0 -10px"'''
파일:BotW_Divine_Beast_Vah_Naboris_Icon.png
미파 리발 다르케르 우르보사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62c2b> 파일:젤다 야숨 로고.png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69c65,#362c2b><colcolor=#362c2b,#b69c65> 주역
하이랄의 공주
파일:zelda_triforce.png
하이랄의 용사
파일:botw_link.png
대재앙
파일:Picsart_22-02-19_04-33-23-442.png
젤다 링크 가논
영걸
{{{#!wiki style="margin: -16px -11px" 조라의 영걸
파일:BotW_Divine_Beast_Vah_Ruta_Icon.png
리토의 영걸
파일:BotW_Divine_Beast_Vah_Medoh_Icon.png
고론의 영걸
파일:BotW_Divine_Beast_Vah_Rudania_Icon.png
겔드의 영걸
파일:BotW_Divine_Beast_Vah_Naboris_Icon.png
미파 리발 다르케르 우르보사
<colbgcolor=#b69c65,#362c2b><colcolor=#362c2b,#b69c65> 링크의 조력자
조라
파일:Symbole_Zora.png
리토
파일:Rito_symbol.png
고론
파일:Symbole_Goron.png
겔드
파일:Gerudo_Symbol.png
시드 테바 윤돌 루쥬 }}}
기타
수수께끼의 노인 · 가디언 · 임파 · 프루아 · 코가님 · 카시와
}}}}}}}}} ||
열람 시 스포일러 주의


고론의 영걸
다르케르
ダルケル / Daruk
파일:다르케르.png
<colbgcolor=#be9568> 성별 무성[1]
나이 불명
가족 손자 윤돌[2]
종족 / 소속 고론족
출신지 고론 시티
등장 작품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젤다무쌍 대재앙의 시대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다케다 코지
파일:미국 국기.svg 조 헤르난데즈
다르케르의 테마곡
1. 개요2. 성격3. 작중 행적4. 기타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좋아, 기꺼이 하도록 하지. 무서울 것 없는 다르케르님이잖아. 이 하이랄의 위기 속에서 거절할 이유가 없지.
재앙 가논이란 녀석이 어떤 녀석인지는 몰라도 나는 반드시 이 경치를 지킬 거야! 그렇지? 친구![3]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의 등장인물. 1인칭은 오레.

100년이 지난 후세대에 이르기까지 고론의 동포 형제들로부터 가장 위대한 영웅으로 추앙과 존경을 받는 하이랄의 다섯 영걸 중 하나이다. 도마뱀 형태의 신수 바 루다니아(Vah Rudania)를 조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평상시엔 냉정하고 침착한 성격이지만 전투에 임할땐 용감무쌍하게 돌변한다. 먼 옛날에는 순간적으로 방어막을 만들어 내는 능력인 '다르케르의 수호(ダルケルの守り/Daruk's Protection)' 의 소유자였으며 링크와 함께 바 루다니아를 타고 가다가 갑자기 데스 마운틴이 분화하여 화산탄이 떨어지자 이 능력으로 화산탄을 모조리 막아 링크를 지켰다. 주무기는 커다란 대검[4], '거암 크러셔'다. 다르케르는 이걸 한손으로 들어올릴 정도로 힘이 세지만[5][6] 웬만한 사람들은 양손검 수준으로 무겁다. 링크와 비교해보면 크기도 장난이 아니게 크다. 그냥 링크의 키와 똑같다.

거구이며 고론족답게 무거운 체중을 가졌으나 젤다무쌍 트레일러를 자세히 살펴보면 놀랍게도 링크와 같이 패러세일을 타고 이동한다.

영걸들 중에서는 우르보사와 함께 연장자 포지션으로 특히 젤다링크 사이의 불편한 감정을 눈치채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사 임명식을 하자고 제안하는 등 노력했다. 특히 링크에게는 마치 큰 형같은 존재로 링크를 파트너라 부르며 이런 저런 조언을 많이 해 주었다.

2. 성격

호쾌한 성격. 후대에도 호쾌한 이미지가 어울린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호쾌하다. 동료들끼리의 사진을 찍을 때도 너무 분위기가 딱딱해보이자 갑작스레 팔로 끌어안은 것으로 보아 어떻게 보면 분위기 메이커였을지도 모른다. 거기다가 본인 후손인 윤돌에게 보여준 서비스나 윤돌을 두고 한 조언 등을 보면 세심한 면도 있다.

다만 사고는 꽤나 단순한 편이며 눈치가 살짝 부족해서 링크가 로스 바위를 먹은 건으로 인해서 다른 하일리아인들도 바위를 먹을 수 있다고 착각해 젤다에게도 로스 바위를 주기도 했고 심지어 링크도 딱히 로스 바위를 좋아하지 않음에도 링크와 젤다가 같은 고민이 있다는 것에 그 고민이 무엇인지 전혀 짐작하지 못했다.

그 외엔 후손인 윤돌이 입이 짧다고 하는 것과는 달리 본인은 일기에서 꼭 먹을거 얘기를 안 빼놓는 먹보. 링크와 만난 것도 먹을거 찾다가 우연히 만난 것을 정도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르케르/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5.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62c2b><tablebgcolor=#362c2b> 파일:Royal_Crest_TP.png젤다의 전설
등장인물
}}}
[ 펼치기 · 접기 ]
주역

링크(소년 링크 · 툰링크 · 울프/황공 · 스소 · 야숨 · 무쌍)
젤다(시크 · 테트라 · 툰젤다 · 스소 · 야숨 · 무쌍)
가논돌프(야숨 · 왕눈)
단골

임파 · 꼬꼬 · 하이랄 왕 · 데크나무 · 에포나
마론 · 단페이 · 행복의 가면 상인 · 팅글 · 테리
조력자

나비 · 채트 · 붉은 사자 왕 · 에제로
미드나 · 시에라 · 파이
대표 악역

다크 링크 · 악몽의 그림자 · 무쥬라의 가면
구후 · 베라무 · 말라더스
봉인된 괴물 · 시스터 레이디
악역

아그님 · 트윈노파 · 스탈키드
고르곤 · 베란 · 젠트 · 콜 총리 · 바이런
기라힘 · 유가 · 코가님
기타

마린
사리아 · 루토 · 다르니아 · 나볼
아릴 · 메들리
일리아 · 호나 · 라인백 · 버든 · 하일리아
라비오 · 힐다
수수께끼의 노인 · 미파 · 리발 · 다르케르 · 우르보사 · 시드 · 테바 · 윤돌 · 마키·아·루쥬 · 카시와
튤리 · 라울 · 소니아 · 미넬
외전

링클 · 시아 · 라나 · 발가 · 위즈로 · 아스톨
메인 시리즈 일람



[1] 고론은 설정상 생물학적으로 성별 구분이 없다[2] 게임 내에서는 후손으로만 나오지만, 공식 설정집에선 손자라고 나온다.[3] 친구를 아이보우, 즉 파트너라는 뜻으로 읽는다.[4] 게임내에선 검이 아닌 둔기 정확히는 해머 판정을 받는다[5] 게임내에서 고론족 경비병이 돌 크러셔를 들고 있는 모습을 보이지만 플레이어가 직접 사용할 경우 돌크러셔와 바위크러셔도 양손무기 판정이다[6] 반장 말로는 이를 부채 대용으로 썼다.[7] 다돌(ダル坊). 이 시절에 다르케르가 개에게 쫓긴 기억이 있어 다르케르가 개를 무서워 한다. 비슷하게 윤돌도 사실 아명으로 원래 이름은 윤이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8] 링크가 다르케르한테 받은 로스바위를 진짜로 먹는 바람에(다만 먹을 수만 있지 그리 좋아하진 않는지 다르케르의 일기에서는 젤다가 다르케르가 주는 로스바위 때문에 곤혹스러워하는걸 링크에게 털어놓자 링크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정작 다르케르 자신은 이를 눈치 못 챘지만...) 다르케르는 하일리아인들도 돌을 먹을수 있다는 착각을 해서 젤다한테도 이 로스바위를 선물했다. 젤다는 감사히 받지만 난처한 듯한 표정을 지었다. 로스바위를 먹은 사람의 반응으로 보면 구워도 딱딱한 듯하지만 먹는 본인은 딱딱한 식감이 좋다고 말한다. 어찌 보면 돌이 주식인 고론족답다고 할 수 있을지도.[9] 일단 고론족인 다르케르 입장에서는 별미중에 별미인 로스바위를 선물하는 거지만 돌을 먹는게 불가능한 하일리아인 젤다 입장에서는 고기모양의 신기한 바위덩어리를 선물받고는 맛있는거야! 꼭 먹어보라고! 라고 한거니... 하다못해 먹기는 한 링크도 비슷한 딱딱한 요리에서는 '마지못해' 먹는다고 되어있다. 애초에 돌을 씹어먹을 수 있는 링크가 하일리아인 기준으로 이상한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73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