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레체리니 · 2 도도 · 5 폰그라치치 · 6 [[루카 라니에리|라니에리 C ]] · 7 솜 · 8 만드라고라 VC · 9 제코 10 알베르트 · 11 사비리 · 14 카빌리아 · 15 코무조 · 18 마리 · 19 인판티노 · 20 킨 21 고젠스 · 23 코스포 · 24 리샤르송 · 26 비티 · 27 은두르 · 30 마르티넬리 43 데 헤아 · 44 파지올리 · 48 램프티 · 65 파리시 · 90 폴로룬쇼 · 91 피콜리 · 99 쿠아메 |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니콜로 파지올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
베스트팀 | ||||
|
| ||
<colcolor=#fff> ACF 피오렌티나 No. 44 | ||
니콜로 파지올리[1]Giorgio Chiellini)와 같은 사례다.] Nicolò Fagioli | ||
<colbgcolor=#46256c> 출생 | 2001년 2월 12일 ([age(2001-02-12)]세) | |
에밀리아로마냐주 피아첸차 | ||
국적 |
| |
신체 | 키 178cm / 체중 70kg | |
포지션 | 중앙 미드필더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46256c><colcolor=#ffffff> 유스 | 피아첸차 칼초 1919 (~2011) US 크레모네세 (2011~2015) 유벤투스 FC (2015~2018) |
선수 | 유벤투스 넥스트 젠 (2018~2021) 유벤투스 FC (2021~2025) → US 크레모네세 (2021~2022 / 임대) → ACF 피오렌티나 (2025 / 임대) ACF 피오렌티나 (2025~ ) | |
국가대표 | 7경기[2] (이탈리아 / 2022~ ) | |
SNS |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ACF 피오렌티나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2. 클럽 경력
고향인 피아첸차 칼초 유스팀에서 축구를 시작한 뒤 재능을 인정받아 2015년 유벤투스 유스팀에 합류, 이후 연령별 팀을 거쳐 2019-20 시즌부터 유벤투스 FC U23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였다.2.1. 유벤투스 FC
2.1.1. 2020-21 시즌
U23팀 소속으로 활약하던 중 아르투르 멜루의 부상으로 인한 미드필더 뎁스 보강 및 마놀로 포르타노바의 제노아 이적으로 부족해진 유스 쿼터를 채우기 위해 2021년 1월부터 1군팀과 동행하게 되었다.2021년 1월 27일 코파 이탈리아 8강 SPAL전에서 선발 출장하며 유벤투스 1군 데뷔전을 치렀다.
2021년 2월 23일 리그 23R 크로토네전에서 후반 25분 로드리고 벤탄쿠르와 교체해 들어가면서 세리에 A 데뷔전을 가졌다.
2.1.2. 2021-22 시즌
2.1.2.1. US 크레모네세 (임대)
주전으로 나서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그 결과 US 크레모네세를 세리에 B 준우승으로 이끄는 동시에 팀을 26년만에 세리에 A로 승격을 이끌었다.시즌 종료 후 같은 유벤투스 소속 임대생인 피에트로 베루아토, 페데리코 가티와 함께 2021-22 세리에 B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2.1.3. 2022-23 시즌
|
프리시즌 동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미드진 포화로 임대 혹은 이적이 유력했다. 그러나 이적시장 종료 직전 아르투르 멜루, 데니스 자카리아가 이적하며 팀에 잔류하게 되었다.
웨스턴 맥케니의 좋지 않은 경기력에도 불구하고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감독의 선택을 받지 못한 채 벤치를 달구며 팀의 부진을 지켜보고 있다. 1월 겨울이적시장 임대이적 찌라시가 돌고 있음에도 선수 본인은 인터뷰에서 현재 위치에 만족한다 말했다.
세리에 A 12R US 레체전 후반 교체투입되어 웨스턴 맥케니와는 비교도 안될만큼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후반 72분 환상적인 감아차기로 결승골을 넣어 팀의 1:0 승리를 이끌어냈다.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6R 파리 생제르맹 FC전 선발출전하였으며 좋은 활약을 펼쳤다.
|
인테르전 쐐기골 |
시즌 초반 경기에도 나서지 못하다 US 레체 전 이후 3경기 내내 아드리앙 라비오, 마누엘 로카텔리와 함께 중원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 주전자리를 차지했다.
21R 살레르니타나 원정 경기에서 두산 블라호비치에게 깔끔한 아웃프런트 패스로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최근 꾸준한 경기력을 보이며 경기에 출전할 때마다 든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2차전 FC 낭트 원정 경기에서도 선발 출전, 95%의 패스 성공률과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팀의 3:0 완승을 도왔다.
4월 30일 기준으로 32경기 2골 5도움을 기록중이다.
35R 크레모네세전에서 키에사의 환상적인 드리블에 이은 패스를 원터치로 상단에 꽂아넣는 중거리 골을 기록했다.
시즌 막판 쇄골 골절 부상으로 조기에 시즌을 마감하기 전까지 주전으로 출전, 데뷔 후 1군에서 자리를 잡았다.
시즌 종료 후 세리에 A 베스트 U-23에 선정이 되며 최악의 시즌을 보낸 유벤투스의 몇 안되는 결실 중 하나로 꼽힌다. 트랜스퍼마켓 기준 평가 가치는 €35m으로, 지난 시즌 €8m에서 4배 넘게 상승했다.
세리에 A : 26경기 (선발 17경기 / 1,519분) 3골 4도움
코파 이탈리아 : 3경기 (선발 3경기 / 202분) 0골 0도움
UEFA 챔피언스 리그 : 2경기 (선발 1경기 / 108분) 0골 0도움
UEFA 유로파 리그 : 6경기 (선발 4경기 / 356분) 0골 1도움
2022-23 세리에 A 베스트 U-23 |
|
2.1.4. 2023-24 시즌
시즌을 앞두고 44번에서 크레모네세에서 달았던 21번으로 등번호를 변경했다. 마르키시오의 8번을 받기를 바라는 팬들이 많았지만 이러한 바램은 다음 기회로 넘기게 되었다. 파지올리 본인은 8번보다는 10번을 선호한다고 밝혔다.지난 시즌 막판 당했던 쇄골 골절과 편도염으로 프리시즌 훈련 및 미국 투어 명단에서 제외되어 개인훈련을 소화했다.
시즌 초 많은 시간을 출장하지는 않고 있다.
5R US 사수올로 칼초와의 경기에서 후반 교체출전해 키에사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했다.
11월 14일, 유벤투스와 2028년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출전 정지 처분을 받은 현재, 경기는 나오지 않지만 훈련에는 꾸준히 참여 중이다.
징계 종료 후 리그 37, 38R에 출전하여 준수한 활약을 보여줬다. 특히 38R에선 경기 초반부터 골포스트를 맞추는 중거리 슈팅을 기록했고, 알렉스 산드루의 고별경기에서의 쐐기골을 코너킥에서 어시스트했다. 또한 후방에서 빌드업을 아주 매끄럽게 주도하며 팬들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았다.
2.1.4.1. 도박중독 자진 신고
2023년 10월 A매치 주간 즈음에 보도된 내용들에 따르면 파지올리는 지난 몇년간 도박중독에 빠져있었으며 이로 인한 도박빚이 약 €3M(약 43억원)에 이르러 불면증에 시달리고 세르비아인 사채업자들에게 다리를 부러뜨려버리겠다는 위협을 받는 등# 상황이 극단으로 치닫자 결국 지난 여름 변호사를 통해 불법 베팅 사이트를 통한 스포츠 베팅 사실을 자수했다고 한다. 본인의 소속팀이나 직접 출장했던 경기에 스포츠 베팅을 하지는 않았지만 이탈리아는 현역 축구선수가 스포츠 베팅을 할 경우 규정상 최고 3년간의 자격정지를 부여받을 수도 있다고 하여 커리어가 불투명해질 위기에 처했다.10월 17일, 7개월의 선수 자격정지 및 €12,500의 벌금과 도박중독 치료자 모임에서의 공개연설 최소 10회 등 징계가 확정되었다.[3] FIGC
이탈리아 언론사들이 보도한 파지올리의 검찰 조사과정에서 발언 내용 전문 전문 스레드
파지올리는 인터뷰에서 자신이 그동안 사채업자들에게 시달리면서 매일 공포에 떨었다고 하며 자신의 전 소속팀인 크레모네세와 지금 팀인 유벤투스에는 베팅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엄마한테 사줄 시계를 핑계로 페데리코 가티, 라두 드라구신에게 각각 €40,000의 빚을 졌다고.
2.1.5. 2024-25 시즌
파비오 미레티, 한스 니콜루시 카빌리아가 떠나는 등 미드필더에 많은 변동이 있었음에도 본인은 꾸준히 출전 기회를 부여받을 것으로 보인다. UEFA 유로 2024 종료 후 휴가를 보내고 프리시즌 도중에 팀에 합류했으며 친선 경기에서 출전할 때마다 호평을 받았다.세리에 A 1R 코모 1907과의 경기에서 케프랑 튀랑과 교체되어 출전, 수준 높은 빌드업을 보여주었다.
2R 엘라스 베로나 FC 원정에서 선발 출전했다.
꾸준히 기회를 부여받고 있으나 인상을 남기지 못했고, 엠폴리전에서는 큰 실수로 경기 막판 역습을 허용하기도 했다.
6R 제노아 CFC 전에서 마누엘 로카텔리 대신 원볼란치로 선발 출전, 수비에선 조금 아쉬웠으나 흠잡을데 없는 플레이로 팀의 3:0 완승에 기여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2R RB 라이프치히 원정에서 예상과 달리 선발 출전, 지난 경기에 이어 최고의 경기력[4]을 보여주며 3:2 역전승에 일조했다.
시즌 시작 전 주전에서 가장 밀려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기력 면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맥케니와의 조합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5] 다만 수비적인 부분에서 아쉬움이 큰 탓에 주로 약팀 상대로 기용되고 있으며, 평소에는 마누엘 로카텔리가 중용받는 중이다.
2024년 12월, 브레메르와 후안 카발의 시즌 아웃으로 겨울 이적 시장에서의 센터백 및 풀백 영입자금을 마련하고자 매각설이 들려오고 있다. EPL의 여러 팀들과 리그앙의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 링크가 뜨고 있다.
또한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에 따르면 파리 생제르맹 FC도 파지올리 영입을 원하며 €25m에서 30m 사이는 유벤투스가 측정한 이적료라고 한다.
1월 26일 로마노에 따르면 이스마엘 코네가 이적할 시에 마르세유가 곧바로 유벤투스에게 임대를 위해 접촉할 예정이라고 한다.
스캔들이 있었긴 해도 성골 유스로 성장해서 대표팀에도 승선하며 많은 애정을 쏟았던 선수이기에 이적이 확정되자 팬들은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로써 큰 기대를 받았던 이탈리아 유망주 3인방 중 임대생 미레티만 남게 되었다.
2.1.5.1. ACF 피오렌티나 (임대)
2025년 2월 4일 ACF 피오렌티나로 임대 이적했다. 시즌 종료 후, 유럽 대항전 진출 시 €16m로 의무 영입 옵션[6]이 포함되었다.리그 24R 인테르전에서 교체로 데뷔했다. 비록 패배를 막지는 못했으나 퀄리티 높은 패스들을 보여주며 기대를 모았다.
25R 코모전에서 선발로 나와 공격형 미드필더로 풀타임을 소화했으나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26R 베로나전에서 교체로 투입되었으나 팀은 패배했다.
27R 레체전도 교체로 투입되어 날카로운 세트피스 능력을 과시했다.
파나티나이코스와의 유로파 컨퍼런스 16강 1R에서 선발로 출장해 동점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2:3으로 패배했다.
28R 나폴리전에서 선발 출장해 90분 내내 준수한 모습을 보였다
파나티나이코스와의 유로파 컨퍼런스 16강 2R에서 선발로 나와 훌륭히 활약했으나 불필요한 태클로 페널티킥을 헌납하였다.
29R 유벤투스전에서 친정팀을 상대로 선발 출장,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친정팀을 상대로 승리하는 데 크게 일조했다.
비록 3월이 채 지나지 않았으나 유럽대항전 진출 여부와 상관없이 영입 옵션을 발동할 것이라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팔라디노 감독이 4231을 선택하며 좋은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던 이적 초반에는 파지올리도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했으나, 352로의 전환 이후 반등을 이끄는 핵심 선수 중 하나로 거듭난 덕이다.
3. 국가대표 경력
3.1. 연령대 대표팀
이탈리아 U-15 대표팀을 시작으로, 연령대 대표팀을 두루 거쳐왔다. 특히, U-17과 U-19 시절에는 각각 14경기, 20경기씩을 뛰며 확고한 주전 선수로 활약해왔다.3.2. 성인 대표팀
2022년 11월, A매치를 앞두고 성인 대표팀에 첫 발탁되었다. 그리고 11월 16일, 알바니아와의 친선경기에서 77분에 교체투입되어 20여분 남짓의 아주리 데뷔전을 치렀다.2023-24 시즌 중 터진 도박 스캔들로 인한 출전 정지 징계로 2023년 10월부터 약 7개월 가량 공식 경기를 못 뛰고 리그 막바지가 돼서야 복귀했음에도 2024년 5월에 발표된 UEFA 유로 2024 예비명단에 발탁되어 화제가 되었다.[7] 루치아노 스팔레티는 파지올리가 대표팀에 필요한 창의성을 가진 선수라며 발탁 이유를 밝혔다. 또한 현재로서는 유로 최종명단에도 포함될 것이 확실시되는 분위기.
6월 5일, 튀르키예와의 친선 경기에서 62분에 교체투입되었다. 크리스탄테와 짝을 이뤄 플레이했으며 높은 퀄리티의 전환패스들을 포함한 19번의 패스를 모두 성공시켰다.
그리고 6월 7일, 최종 명단에 포함되며 유로 승선이 확정되었다.
보스니아와의 친선 경기는 선발로 출전해 좋은 모습을 보였다.
알바니아와의 조별리그 1차전은 경미한 부상으로 결장하였고, 스페인과의 2차전은 부상에서 회복했음에도 경기장을 밟지 못해 의문을 자아냈다. 그러나 크로아티아를 상대로 80분에 교체되어 20분 정도를 소화했으며, 짧은 시간이었지만 팬들에게 괜찮은 인상을 남겼다. 여담으로 경기 종료 후 본인이 우상 중 하나로 꼽는 모드리치와 유니폼을 교환하였다.
4. 플레이 스타일
동나이대 이탈리아 출신 미드필더들 중에서 공을 다루는 볼 컨트롤과 개인 기술의 부드러움은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미드필더. 공을 다룰 때 신체의 무게 중심이 잘 잡혀있어 쉽게 흔들리거나 뺏기지 않고 유연하고 부드럽게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볼을 소유했을 때 턴 동작과 드리블 후 패스를 연결하는 동작이 간결하고 부드럽다. 시야도 넓은 편이라 후방에서의 패스 전개력도 좋은 편. 경험을 잘 쌓아주면 딥 라잉 플레이메이커/레지스타로서 아주 유망한 자원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스 시절부터 1군 팀과 자주 훈련을 했었는데, 2018년 당시 감독이었던 마시밀리아노 알레그리 감독은 “아직 어리지만 공을 다루는 기술뿐만 아니라 경기의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이 뛰어난데 이것은 쉽게 가르칠 수 없는 것이다“ 라는 평가를 하며 파지올리의 재능을 크게 칭찬한 바 있었다. 그리고 1군 데뷔전부터 상기한 장점들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크레모네세를 거쳐 유벤투스로 돌아와서는 플레이가 더욱 완성된 모습이었는데, 탈압박과 시야, 패스, 간결함, 수비에 더해 심지어는 어느 정도의 득점력[8]까지 갖춰 현재 팀에서 육각형에 가장 가까운 미드필더 중 하나로 여겨진다. 또한, 킥 능력이 좋아 세트피스를 자주 처리하기도 한다. 알레그리는 이러한 파지올리의 능력을 높게 사 레지스타로 기용할 생각을 하고 있다는 발언을 꾸준히 해왔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유벤투스 FC (2018~ )
- 세리에 A: 2018-19
- 코파 이탈리아: 2020-21, 2023-24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20
5.2. 개인 수상
- 세리에 B 올해의 팀: 2021-22
- 세리에 A 베스트 U-23: 2022-23
6. 여담
- 성인 Fagioli는 이탈리아어로 '콩'이란 뜻이다.
- 팀 동료 파비오 미레티, 니콜로 로벨라와 엮여 비교를 많이 받았다. 셋 다 신체 조건, 플레이 스타일, 나이 및 장점이 비슷하고 같은 소속팀, 포지션 등을 가지고 있다 보니 현지에서도 많은 기대를 거는 3인방이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ACF 피오렌티나 2024-25 시즌 스쿼드 | ||||
1 | 2 | 3 VC | 4 | 5 | |
피에트로 테라치아노 Pietro Terracciano 1990.03.08 ([age(1990-03-08)]) 2019~2025 | 도도 Dodô 1998.11.17 ([age(1998-11-17)]) 2022~2027 | 마린 폰그라치치 Marin Pongračić 1997.09.11 ([age(1997-09-11)]) 2024~2029 | |||
6 C | 8 | 9 | 10 | 11 | |
루카 라니에리 Luca Ranieri 1999.04.23 ([age(1999-04-23)]) 2018~2026 | 롤란도 만드라고라 Rolando Mandragora 1997.06.29 ([age(1997-06-29)]) 2022~2026 | 루카스 벨트란 Lucas Beltrán 2001.03.29 ([age(2001-03-29)]) 2023~2028 | 알베르트 그뷔드뮌손 Albert Guðmundsson 1997.06.15 ([age(1997-06-15)]) 2024~2025[1] | ||
14 | 15 | 17 | 18 | 20 | |
피에트로 코무조 Pietro Comuzzo 2005.02.20 ([age(2005-02-20)]) 2022~2025 | 니콜로 자니올로 Nicolo Zaniolo 1999.07.02 ([age(1999-07-02)]) 2025[2] | 파블로 마리 Pablo Mari 1993.08.31 ([age(1993-08-31)]) 2025~2027 | 모이스 킨 Moise Kean 2000.02.28 ([age(2000-02-28)]) 2024~2028 | ||
21 | 22 | 23 | 24 | 27 | |
로빈 고젠스 Robin Gosens 1994.07.05 ([age(1994-07-05)]) 2024~2025[3] | 마티아스 모레노 Matias Moreno 2003.09.24 ([age(2003-09-24)]) 2024~2029 | 안드레아 콜파니 Andrea Colpani 1999.05.11 ([age(1999-05-11)]) 2024~2025[4] | 아미르 리샤르송 Amir Richardson 2002.01.24 ([age(2002-01-24)]) 2024~2029 | 셰르 은두르 (Cher Ndour) 2004.07.27 ([age(2004-07-27)]) 2025~ | |
29 | 30 | 33 | 43 | 44 | |
야신 아들리 Yacine Adli 2000.07.29 ([age(2000-07-29)]) 2024~2025[5] | 톰마소 마르티넬리 Tommaso Martinelli 2006.01.06 ([age(2006-01-06)]) 2022~2026 | 다닐로 카탈디 Danilo Cataldi 1994.08.06 ([age(1994-08-06)]) 2024~2025[6] | 다비드 데 헤아 David de Gea 1990.11.07 ([age(1990-11-07)]) 2024~2025 | 니콜로 파지올리 Nicolo Fagioli 2001.02.12 ([age(2001-01-12)]) 2025[7] | |
65 | 90 | 99 4C | - | - | |
파비아노 파리시 Fabiano Parisi 2000.11.09 ([age(2000-11-09)]) 2023~2028 | 마이클 폴로룬쇼 Michael Folorunsho 1998.02.07 ([age(1998-02-07)]) 2025 [8] | ||||
ACF 피오렌티나 2024-25 시즌 임대 선수 | |||||
42 | 24 | 34 | 70 | 33 | |
알레산드로 비안코 Alessandro Bianco 2002.10.01 ([age(2002-10-01)]) 2024~2025 | 에도아르도 피에로치 Edoardo Pierozzi 2001.09.12 ([age(2001-09-12)]) 2024~2025 | 소피앙 암라바트 Sofyan Amrabat 1996.08.21 ([age(1996-08-21)]) 2024~2025 | 압델하미드 사비리 Abdelhamid Sabiri 1996.11.28 ([age(1996-11-28)]) 2025 | 마이클 카요데 Michael Kayode 2004.07.10 ([age(2004-07-10)]) 2025 | |
19 | # | 29 | 77 | 70 | |
조나단 이코네 Jonathan Ikone 1998.05.02 ([age(1998-05-02)]) 2025 | 니콜라스 곤살레스 Nicolás González 1998.04.06 ([age(1998-04-06)]) 2024~2025 | 엘욘 토시 Eljon Toçi 2003.01.09 ([age(2003-01-09)]) 2024 | 리카르도 소틸 Riccardo Sottil 1999.06.03 ([age(1999-06-03)]) 2025 | 디모 크라스테프 Dimo Krastev 2003.02.10 ([age(2003-02-10)]) 2024 | |
9 | 6 | 53 | 31 | - | |
요시프 브레칼로 Josip Brekalo 1998.06.23 ([age(1998-06-23)]) 2024~2025 | 로렌초 아마투치 Lorenzo Amatucci 2004.02.05 ([age(2004-02-05)]) 2024 | 올리버 크리스텐센 Oliver Christensen 1999.03.22 ([age(1999-03-22)]) 2025 | |||
구단 정보 | |||||
구단주: 로코 B. 코미소 · 단장: 공석 · CEO: 마크 E. 스테판 · 감독: 라파엘레 팔라디노 · 홈구장: 스타디오 아르테미오 프랑키 | |||||
출처: 피오렌티나 공식 웹사이트 · 세리에 A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 |||||
최종 수정 일자: 2024년 6월 30일 |
[1] 제노아 CFC에서 임대[2] 갈라타사라이 SK에서 임대[3] 1. FC 우니온 베를린에서 임대[4] AC 몬차에서 임대[5] AC 밀란에서 임대[6] SS 라치오에서 임대[7] 유벤투스 FC에서 임대[8] SSC 나폴리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655ba>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colbgcolor=#0B090C> GK | 1 | 잔루이지 돈나룸마 (Gianluigi Donnarumma) | 1999년 2월 25일 ([age(1999-02-25)]세) | 76 | 0 | | |
12 | 알렉스 메렛 (Alex Meret) | 1997년 3월 22일 ([age(1997-03-22)]세) | 3 | 0 | | ||
14 |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 1996년 10월 7일 ([age(1996-10-07)]세) | 4 | 0 | | ||
- | 마르코 카르네세키 (Marco Carnesecchi) | 2000년 7월 1일 ([age(2000-07-01)]세) | 0 | 0 | | ||
DF | 2 | 라울 벨라노바 (Raoul Bellanova) |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 5 | 0 | | |
3 |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 32 | 3 | | ||
4 | 페데리코 가티 (Federico Gatti) | 1998년 6월 24일 ([age(1998-06-24)]세) | 6 | 0 | | ||
13 | 리카르도 칼라피오리 (Riccardo Calafiori) |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 10 | 0 | | ||
19 | 안드레아 캄비아소 (Andrea Cambiaso) | 2000년 2월 20일 ([age(2000-02-20)]세) | 16 | 3 | | ||
21 | 알레산드로 바스토니 (Alessandro Bastoni) | 1999년 4월 13일 ([age(1999-04-13)]세) | 39 | 3 | | ||
22 |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 1993년 8월 4일 ([age(1993-08-04)]세) | 50 | 5 | | ||
23 |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 1996년 4월 17일 ([age(1996-04-17)]세) | 15 | 0 | | ||
- |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 2006년 12월 21일 ([age(2006-12-21)]세) | 0 | 0 | | ||
MF | 5 | 마누엘 로카텔리 (Manuel Locatelli) | 1998년 1월 8일 ([age(1998-01-08)]세) | 32 | 3 | | |
6 | 니콜로 로벨라 (Nicolò Rovella) | 2001년 12월 4일 ([age(2001-12-04)]세) | 4 | 0 | | ||
8 | 산드로 토날리 (Sandro Tonali) |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 27 | 3 | | ||
16 | 다비데 프라테시 (Davide Frattesi) | 1999년 9월 22일 ([age(1999-09-22)]세) | 30 | 8 | | ||
18 | 니콜로 바렐라 (Nicolò Barella) |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 65 | 10 | | ||
- | 조반니 파비안 (Giovanni Fabbian) | 2003년 1월 14일 ([age(2003-01-14)]세) | 0 | 0 | | ||
FW | 7 | 마테오 폴리타노 (Mateo Politano) | 1993년 8월 3일 ([age(1993-08-03)]세) | 16 | 4 | | |
9 | 마테오 레테기 (Mateo Retegui) |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 22 | 8 | | ||
10 |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 2000년 2월 18일 ([age(2000-02-18)]세) | 42 | 11 | | ||
11 | 모이스 킨 (Moise Kean) |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 23 | 10 | | ||
15 | 프란체스코 피오 에스포지토 (Francesco Pio Esposito) | 2005년 6월 28일 ([age(2005-06-28)]세) | 1 | 0 | | ||
17 | 리카르도 오르솔리니 (Riccardo Orsolini) |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 11 | 2 | | ||
20 | 다니엘 말디니 (Daniel Maldini) | 2001년 10월 11일 ([age(2001-10-11)]세) | 6 | 0 | | ||
- | 마티아 자카니 (Mattia Zaccagni) | 1995년 6월 16일 ([age(1995-06-16)]세) | 11 | 1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 2025년 9월 6일(토) | 홈 | | |||
2025년 9월 9일(화) | 원정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1 돈나룸마 ⓒ · 2 디 로렌초 · 3 디마르코 · 4 부온조르노 · 5 칼라피오리 · 6 가티 · 7 프라테시 · 8 조르지뉴 · 9 스카마카 10 펠레그리니 · 11 라스파도리 · 12 비카리오 · 13 다르미안 · 14 키에사 · 15 벨라노바 · 16 크리스탄테 · 17 만치니 18 바렐라 · 19 레테기 · 20 자카니 · 21 파지올리 · 22 엘샤라위 · 23 바스토니 · 24 캄비아소 · 25 폴로룬쇼 · 26 메렛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
[1] 모음 앞의 i는 반모음으로 i뒤에 오는 모음과 i 앞의 자음을 합쳐서 적는다. 조르조 키엘리니[2] 2024년 10윌 15일 기준[3] 12개월의 자격정지 징계 중 5개월이 재활 치료, 봉사 및 벌금으로 대체되었다.[4] 사비 시몬스가 경합 후 쓰러져 있을 때 필드 밖으로 공을 보낸 것을 제외하면 단 하나의 패스미스도 내지 않으며 약 98%의 패스 성공률을 기록했다.[5] 많은 기대를 받은 도글라스 루이스는 매 경기마다 사고를 치며 비교되는 중이다.[6] 이적료 16m + 보너스 3m + 셀온 10%[7] 한 보도에 의하면, 대표팀 감독인 루치아노 스팔레티가 파지올리의 복귀전인 볼로냐전과 다음 경기였던 AC 몬차전 2경기에서 보여준 활약에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8] 세리에 B의 크레모네세에서 보낸 2021-22 시즌은 3골 7어시, 유벤투스로 복귀해 보낸 2022-23 시즌은 중원에서 라비오 다음으로 많은 3골 4어시를 기록하며 스탯 생산에도 준수한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