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6px;" | 히가시야마선 | 츠루마이선 | ||||||||||
100형 200형 250형 300형 | 5000형 5050형 | N1000형 | 3000형 3050형[a] | N3000형 | ||||||||
메이죠선 | ||||||||||||
1000형 1100형 1200형 | 2000형 | |||||||||||
사쿠라도리선 | 카미이다선 | |||||||||||
6000형 6050형 | 7000형 | |||||||||||
회색 : 전 편성이 퇴역 / 밑줄 : 일부, 대부분 편성이 퇴역 [a] 3159F 4량 1편성 폐차 |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나고야시 교통국 7000형 전동차 Nagoya Municipal Subway 7000 series 名古屋市交通局 7000形 電車 | }}} | |||
| |||||
외부 | |||||
차량 정보 | |||||
용도 |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4량 1편성 | ||||
운행노선 | 나고야시 교통국 | | |||
나고야 철도 | | ||||
도입시기 | 2003년 | ||||
제작사 | 일본차량제조 | ||||
소유기관 | 나고야시 교통국 | ||||
운영기관 | |||||
운행시기 | 2003년 ~ | ||||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전장 | 20,000㎜ | |||
전폭 | 2,746㎜ | ||||
전고 | 4,010㎜ | ||||
궤간 | 1,067㎜ | ||||
급전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
운전보안장치 | CS-ATC, M형 ATS | ||||
제어방식 | 미쓰비시제 VVVF-IGBT | ||||
동력장치 |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 ||||
기어비 | 17:96 | ||||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
주전동기 출력 | 170kW | ||||
편성출력 | 1,360kW | ||||
최고속도 | 영업 | 카미이다선 내 75㎞/h 메이테츠선 내 100㎞/h | |||
설계 | 120㎞/h | ||||
가속도 | 3.0㎞/h/s | ||||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0㎞/h/s | ||||
MT 비 | 2M2T | }}}}}} |
1. 개요
나고야시 교통국이 2003년 카미이다선 개통으로 도입한 차량이다. 4량 1편성의 2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메이테츠 코마키선과 직결운전을 실시하고 있다.2. 특징
메이테츠 300계 전동차와 공동 설계로 실내 레이아웃, 운전대, 전장품 등을 공통화하였다. 그래서 300계와 유사한 사양이 많다.[1] 도쿄메트로 13000계 전동차와 도부 70000계 전동차와 같은 관계이다. 그래서 나고야시 교통국은 물론이고, 일본의 지하철 차량 중 유일하게 방향 전환이 가능한 크로스시트를 장착한 전동차이기도 하다.또한 카미이다선이 타 나고야 시영 지하철 노선들과 연결선이 없는 특징으로 인해, 이 차량의 관리 및 검수는 메이테츠 측에서 담당하고 있다. 카미이다선의 운행업무도 2007년 이후 메이테츠 측에 위탁하였기에, 카미이다역에서 승무교대를 실시하지 않고 메이테츠 기관사가 쭉 운행한다.[2] 사실상 메이테츠의 전동차처럼 운행되는 것이다.[3]
평시에는 2편성 중 1편성만 운행하고 나머지 1편성은 이누야마 검차구에 주박해 있다. 오전 시간대와 막차 시간대에만 운용에 투입되며 낮부터 저녁 시간대에는 2편성 모두 차고에 주박한다. 이는 나고야시 교통국이 메이테츠 측에 지불해야 하는 선로사용료를 최대한 절약하기 위해서이다[4]
3. 관련 문서
[1] 다만 차체의 경우 무비드 스테인리스 차체인 300계와 달리 기존 나고야시 교통국 전동차들처럼 비드가 있는 스테인리스 차체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외관은 오히려 6000형이나 3050형과 유사하다.[2] 일본에서 서로 다른 운영사의 노선끼리 직결운행을 하는 경우 모든 열차는 운영사가 바뀌는 경계역에서 승무교대를 한다. 한국의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온수역에서 서울교통공사 기관사와 인천교통공사 기관사가 승무교대를 하는 방식을 생각하면 된다.[3] 옆나라의 어느 열차와 비슷하다.[4] 자세히 설명하자면, 나고야시 교통국의 7000형 차량은 카미이이다~헤이안도리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메이테츠 관할구간이기 때문에 조금만 운행해도 메이테츠 측에 지불해야 하는 선로사용료가 많아지게 된다. 반면 메이테츠의 300계는 카미이이다~헤이안도리 구간을 제외하면 모든 운행구간이 자사 관할구간이기 때문에 많이 운행해도 나고야시 교통국 측에 지불하는 선로사용료가 적다. 그래서 7000형은 아침저녁 위주로만 최대한 적게 운영하는 것이 나고야시 교통국 입장에서는 나갈 돈을 최소화할수 있는 방법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