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14:43:21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등장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주요 등장인물3. 페어토모 / 페어펫4. 프리즘 스톤5. 디어 크라운6. 에델로즈7. 주역 가족들
7.1. 아야세 나루의 가족 / 한나루의 가족7.2. 스즈노 이토의 가족 / 강이음의 가족7.3. 후쿠하라 안의 가족 / 김아람의 가족7.4. 렌죠지 베루의 가족 / 류빈의 가족7.5. 모리조노 와카나의 가족 / 채우리의 가족7.6. 타카하시 오토하의 가족 / 송온유의 가족
8. 그 외9. 관련 문서

1. 개요

꿈의 라이브 프리즘 스톤(프리티 리듬 레인보우라이브)의 등장인물들을 서술한 문서이다. 성우는 일본판/한국판 순으로 작성한다.

원작 아케이드 게임에서도 스톤 색에 따라 7개 타입으로 구분되며, 이번 작품의 주역 등장인물마다 각자의 타입을 갖고 있다.

2. 주요 등장인물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주요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Happy_Rain_Logo.png
해피 레인{{{#8041d9,#6425be }}}
후쿠하라 안
(김아람)
아야세 나루
(한나루)
스즈노 이토
(강이음)
파일:Bell_Rose_Logo.png
벨 로즈
타카나시 오토하
(송온유)
렌죠지 베루
(류빈)
모리조노 와카나
(채우리)
그 외
린네 아모 쥬네(신비)
오로라 드림 · 디어 마이 퓨처 · 레인보우 라이브
프리파라 · 아이돌 타임 프리파라 · 아이돌 랜드 프리파라
반짝이는 프리☆채널 · 와츄 프리매직! · 비밀의 아이프리
}}}}}}}}}

3. 페어토모 / 페어펫

직역하면 페어친구.[1] 국내명은 페어. 해피 레인, 벨 로즈의 마스코트 캐릭터. 조류형으로 모티브는 새.[2] 각자 고유의 울음소리를 내며 색상이 다양하다. 스스로 스톤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프리즘 라이브 시 악기로 변형한다. 전부 암컷이다. 팝픈은 미묘하지만

정체는 피콕 선생이 린네와 함께 떨어지면서 7체로 분열된 모습들이다. 린네가 주문을 외워서 강제로 합체시키거나 프리즘의 빛이 돌아오면서 페어펫들을 궁극의 경지까지 진화시키면 피콕 선생이 된다. 피콕 선생으로서 다시 합체해서 프리즘 월드로 돌아가지만 마지막 회에서 모모가 프리즘 쇼에 높고 낮음 따위는 없다고 하면서 프리즘 스톤으로 돌아갈 때 피콕 선생이 깃털 하나를 던지자 스탄을 제외한 6마리의 페어토모로 분열한다(...).[3] 여담으로 이들이 태어난 순서로 보면 주인의 프리즘 쇼 실력 순으로 태어난 게 아니라 주인의 마음가짐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4]

이후 이 페어펫들은 여전히 킹프리 시점까지도 주인공들과 잘 지내고 있는지 비록 직접 무대를 뛰지는 않지만 포스터 같은 곳에서 같이 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5]

각 페어토모들의 이름은 각 주인의 타입명에서 유래되었다. 각 페어토모들의 성우는 프리티리듬답게 중복 캐스팅이 있는데 일본판의 경우 스탄을 제외한 나머지 6마리는 단 3명으로 돌려막기이며 한국판에서는 전작의 페어챰(비비 제외)처럼 자기 주인과 성우가 똑같다. 게다가 스탄마저도 빨간안경 언니와 중복이다.

27화에서 스탄을 제외한 6마리가 모여서 대화하는데 이들의 대화를 통해 주인의 남성 캐릭터에 대한 호감도를 알 수 있다.

4. 프리즘 스톤

5. 디어 크라운

6. 에델로즈

7. 주역 가족들

일본판 한정해서 주역들의 가족 성우들은 대부분 전작의 주조연이나 단역으로 나왔었다. 한국판은 엄마들을 주역들의 성우로 돌려써서 미묘한 장면이 꽤나 많다. 특히 본작 최고의 치유계인 온유와 본작 최고의 막장 부모인 류빈의 엄마가 같이 있는 장면의 괴리감이... 아빠들 중 4명은 2명의 성우가 1인 2역으로 맡았고, 나머지 두 아빠도 주요인물들을 돌려썼다.

7.1. 아야세 나루의 가족 / 한나루의 가족

파일:external/blog-imgs-60-origin.fc2.com/RL5-21.jpg
아야세 류노스케 아야세 포에무

전형적인 행복한 가정을 보여준다. 나루가 고민을 말하면 진지하게 들어주고 충고해주는 등 나루의 말에 귀 기울이고 나루가 진행하는 이벤트나 행사에 꾸준히 모습을 보이는 등 나루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루의 밝고 명랑하고 다른 친구들을 생각하는 성격은 부모님한테 확실히 물려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이나 다를 바 없는 안을 하룻밤 재워주기도 하고 린네를 약 1년 동안 지내게 해준 것을 보면 확실히 대인군자. 이 때문에 비중은 다른 가족들보다 조금 떨어진다.

KING OF PRISM PRIDE the HERO에서 잠시 출연[20]한다.

7.2. 스즈노 이토의 가족 / 강이음의 가족

주연 캐릭터 가족들 중 가장 불쌍한 가족. 과거에 미하마 일가와 관련되어 이토는 엄마와 남동생과 떨어져 지내 아버지와 둘이 살고 있었다. 이 때문에 이토는 초중반에 삐뚤어진 모습을 보여 본의 아니게 친구들한테 민폐를 끼치기도 했다. 하지만 후반부에 미하마 일가와 갈등을 잘 풀어 가족이 다시 합쳐지게 되어 화목한 모습으로 돌아온다.

7.3. 후쿠하라 안의 가족 / 김아람의 가족

안이 진로 문제나 집 안에서 하지 말라고 하는 일(과자나 케이크 굽기, 애완동물(페어토모 팝픈) 반입)을 해서[33] 아빠인 센타로와 말다툼을 하는 걸 빼면 이쪽도 화목한 가정에 속한다. 가족 모두 외계인을 다룬 프로그램을 좋아하거나 성격도 맞는 등 공통점을 보인다.

7.4. 렌죠지 베루의 가족 / 류빈의 가족

소통이 부족한 가족 1. 아버지는 출장으로 밖에서 살고 있어 집안 돌아가는 상황을 알 수 없고 엄마는 하나밖에 없는 딸을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했다. 베루 역시 그런 엄마를 기쁘게 해주고 싶어 군말 없이 따랐으나 결국 중반부에 갈등이 일어났다.

7.5. 모리조노 와카나의 가족 / 채우리의 가족

소통이 부족한 가족 2. 가족간에 대화가 부족해 서로 무엇을 원하는지 알 수 없었다. 사소한 오해로 와카나의 아버지는 아내한테 잘 보이고 싶어 일에만 매진해 가족한테 자신의 일만 강요했고[48] 어머니 역시 남편이 자신의 조신한 모습에 반했다고 생각해 자신의 성격과 반대되는 모습으로 살아왔고 그런 부모님을 보고 자란 와카나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숨긴 채 군말없이 부모의 말을 따랐다. 그러나 와카나가 안과 공연한 것을 본 뒤 어머니가 각성해 남편을 설득하는데 성공했다. 48화에서 보인 부부의 모습은 그 이전의 모습을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개방적으로 변했다(…). 사실 가족이 마음 열고 대화를 깊게 했으면 와카나도 삐뚤어지지 않았을 테고 부부도 자신들의 마음을 숨기는 고통을 겪지 않았을 듯. 그래도 이 쪽은 베루의 가족보다는 나은 게 서로에게 솔직하지 못해서 그렇지 가족에 대한 애정은 있고, 딸에게 뭔가를 강요한 적 없이 좀 엄한 걸 빼면 지극히 평범하게 지낸 와카나의 아버지와 달리[49] 베루의 어머니는 딸에 대한 애정이 변질되어 딸을 소유물로 생각해 딸에게 강요만을 하며 지내왔다.

7.6. 타카하시 오토하의 가족 / 송온유의 가족

나루네 못지않게 화목한 가정. 아버지는 오토하 못지 않게 자상한 성격이고 어머니는 밖에서 일하느라 가정을 잘 돌보지 못하지만 그렇다고 베루나 와카나네 부모처럼 딸을 힘들게 한 적은 없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역시 오토하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건 마찬가지.

8. 그 외

9. 관련 문서


[1] 토모는 일본어로 친구.[2] 외형은 펭귄에 가깝다. 단, 펭귄은 원래 하늘을 날지 못한다.[3] 주인공들의 프리즘 쇼는 이미 프리즘 라이브로 굳어져버린 상태이기 때문에 피콕 선생이 주인공들을 배려해준 것.[4] 프리즘 쇼 실력 순으로 태어났다면 프리즘 쇼라고 해본 적 없는 나루 때문에 러블린은 마지막으로 태어났어야 했다. 하지만 러블린이 7마리의 페어토모 중 두 번째로 태어나고 프리즘 쇼 실력은 프리즘 퀸 아모 쥬네의 뒤를 잇는 수준이라고 평가받는 베루의 페어토모 세시니가 마지막으로 태어난 것으로 보면 확실히 마음의 문제인 듯.[5] 러블린은 확실히 킹프리 극장판에서 윤세찬이 그린 포스터에 나루와 함께 등장했으므로 6인 전원에게 여전히 페어펫들이 붙어있는 걸 알 수 있다.[B] 피콕 선생과 동일 성우.[7] 한국판에서는 이 장면이 깔끔하게 삭제당했다(...).[8] 목소리는 안 나왔지만 1편에서 디어크라운 포스터에서 나루와 함께 출연하였다.[A] 전작의 아마미야 리즈무역을 맡았다.[B] [11] 둘 다 이후 프리파라에서 호조 코스모 역을 맡게 된다.[A] [B] [14] 특히 35화에서는 아예 팝픈을 연속뺨치기로 때린다(…).[15] 이 때문에 페어토모 중 알 모습으로 등장한 화와 태어난 화가 스탄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다르다.[B] [17] 간혹 린네의 파트너로 착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런데 진짜 정체를 생각하면 착각 아닌 착각이다.[18] 전작에서 펭귄 선생을 맡았으며 이번에도 성우가 같다.[19] 의외라면 의외겠지만 진은 뒷공작 위주로 일을 꾸미지 직접 어그로를 끌어 에델로즈의 이름에 '직접적으로' 해가 갈 만한 행동은 하지 않았으니 대놓고 에델로즈의 이름을 대고 행패를 부리는 행위를 용인할 리가 없다.[20] 신도하가 지나가던 행인에게 침을 맞는 장면.[21]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의 '타키가와 쥰'을 맡았다.[22] 은시우와 동일 성우.[23] 여담으로 '포에무'라는 이름은 본래 나루의 초기 이름이었다고 한다.[24]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에서 단역으로 나왔었다.[25] 강이음과 동일 성우다. 그런데 한나루의 성우인 김현지는 강이음의 엄마인 한수진도 연기했다(...).[26] 이전작인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의 주인공인 하루네 아이라의 성우이다.[27] 한나루와 동일 성우다. 그런데 강이음의 성우인 안영미는 나루의 엄마인 정유진도 연기했다(...). 모녀관계의 역전[28]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에서 용화를 맡았었다.[29] 모리조노 와카나 역을 맡은 우치다 마아야와 남매 사이이다.[30]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서 하루네 아이라의 여동생 중 한 명인 에루를 맡았으며 디어 마이 퓨처에서도 단역으로 출연했다.[31] 타카야마 미나미와 이선호 둘 다 마법기사 레이어스에서 아스콧 역을 맡았다.[32] 전작에서도 하루네 아이라남동생인 하루네 이츠키를 맡았다.[33] 다만 이 경우엔 부모님이 잘못됐다고는 할 수 없는 게 대개 음식점업을 하는 집안은 매상이 생계와 직결된다. 그러니 가게 상태를 최선으로 유지해야 하는 게 당연하고, 대개는 안의 편을 들어주는 엄마 유리코도 이것만큼은 남편과 같은 입장을 고수한다. 근데 할머니 말로는 아빠도 몰래 케이크 굽는다고(...). 부전녀전이다[34] 동우 애니 대표인 김영두에서 따온 듯 하다.[35] 둘 다 펭귄 선생과 동일 성우다.[36] 아내인 유리코에게는 안 간다고 못을 박아놓고는 블랙비니+선글라스+마스크까지 하고 프리즘 스톤에 잠입(...)했다. 그런데 유리코는 안에게 아빠는 꼭 올 거라고 말했는데, 이럴 줄 알고 있었던 거 같다.[37]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에서 아세치 쿄코를 맡았었다.[38] 류빈과 동일 성우다.[39]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서 베어치와 하루네 아이라의 엄마 하루네 오미를 맡았다.[40] 둘 다 빨간망토 차차에서 시이네(빙빙) 역을 맡았다.[41] 모모(소피아 정), 강얼과 중복이다. 소년으로 유명한 이선호의 몇 안되는 여성배역.[42] 전작인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아세치 킨타로의 성우이다.[43] 이쪽은 마성진, DJ COO도 맡았다. 이전작인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서도 주인공의 아빠를 맡은 적이 있다.[44] 38화까지.[45] 전작에서 케이를 맡았다.[46] 송온유, 린네와 동일 성우다.[47] 사실 베루와 진은 많은 점에서 닮았는데, 베루는 아직 어리다는 걸 감안하면 베루가 초중반의 삐뚤어진 모습 그대로 성장했다면 충분히 진같은 인간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그런 베루의 모습을 만든 게 바로 이 양반.[48] 그래도 가족이 뭔가를 하자고 하면 따르는 모습도 보였다. 뭔가를 먼저 말한 적이 별로 없어서 문제였지...[49] 사실 이쪽이 어떻게 보면 현실에서 가장 보기 쉬운 아버지상이다.[50] 36화까지.[51]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서 아마미야 리즈무의 아빠인 아마미야 류타로를 맡았다.[52] 23화에서 밝혀진 바로는 베루와 친구가 된 이후에 다시 일 문제로 이사를 가야했는데, 외톨이인 베루를 혼자 두고 가고 싶지 않았던 와카나가 부탁해 결국 이사는 안 가게 됐고 와카나와 베루는 계속 친구로 지낼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 와카나는 부모님의 눈치를 더 보게 됐다.[53] 오로라 드림에서 단역으로 나왔다.[54] 김아람,신비와 동일 성우다.[55] 덕분에 독자들 사이에서 카리스마 넘치는 사이다 캐릭터로 불리고 있다(...).[56]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에서 단역으로 나왔다.[57] 신도하, 강건과 동일 성우다.[58] 재일 한국인 성우로 전작인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의 주역인 시윤의 성우이다.[59] 채우리, 매기와 동일 성우다.[60]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에서 단역으로 나왔다.[61]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에서 단역으로 나왔다.[62] 류빈과 동일 성우다. 그런데 온유의 성우인 서지연은 류빈의 엄마인 양수려도 맡았다(...). 엄마-딸=손녀-할머니[63] 국내판 두 성우는 모두 아람의 부모를 맡았다(...).[64] 전작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의 윤수의 성우이다.[65] 한국판 한정으로 아들인 미하마 코우지와 동일 성우이다![66] 이전작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의 주역인 타카미네 미온의 성우이다.[67] 강이음과 동일 성우.[68] 송온유와 동일 성우.[69] 중간에 할머니가 텔레비전에 나온 하야미 히로를 보고 히로가 좋다고 말했다.[70] 전작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에서는 토도 카논, 프리티 리듬 디어 마이 퓨처의 주역인 채경의 성우이다. 두 시리즈 연속으로 여동생으로 출연하다가 드디어 누나로 출연했다.[71] 한일 두 성우 모두 페어토모 중 2마리와 동일 성우인데 일본판은 러블린, 에스니, 한국판은 팝픈, 스탄과 동일 성우이다.[72] 아들의 현지화명이 백루한이라서 백씨로 추정된다.[73] 모습을 빌린 아모 쥬네와 같은 성우.[74] 이쪽은 주인공인 한나루와 동일 성우.[75] 다만 이는 킹프리에서 밝혀진 관계 때문인 듯하다.[76] 본편 마지막화에서 머리를 풀었을 때의 모습은 마리아가 금발 직모, 쥬네가 은발 곱슬머리라는 걸 빼면 확실히 유사하다.[77] 여담으로 히지리가 쥬네를 마리아와 겹쳐볼 때 나오는 코디가 하루네 아이라의 웨딩 코디를 팔레트 스왑 한 것 같은 모습이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