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01:01:20

김혜성/선수 경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김혜성

[clearfix]

1. 개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내야수 김혜성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

2. 아마추어 시절

지명을 앞둔 2016년 서울팜은 유례없는 흉년이었고, 반면 인천팜은 역대급 풍년이었다. 충암고 투수 고우석만이 1차 지명감이라고 평가받았고, 이정후는 중학교 때 광주에서 서울로 전학을 한 이력 때문에 원래는 1차 지명 대상이 아니었지만 전학 시점이 전면 드래프트 시행 시기였기에 소급 적용을 받지 않아 넥센이 1차 지명을 할 수 있었으며, 서울권 1차 지명 3순위였던 두산은 마땅한 선수를 찾지 못해 대졸 투수인 최동현을 지명했을 정도. 제물포고 김민수와 함께 SK 와이번스의 1차 지명 후보이기도 했다.

고교 3학년이던 2016 제11회 아시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에 대표팀으로 발탁되어 출전했다.
파일:인천동산고_김혜성.jpg

졸업 직전이던 12월 28일, 이영민 타격상을 수상했다.[1] 2016년 ‘이영민 타격상’에 동산고 김혜성

3. 넥센-키움 히어로즈

3.1. 2017 시즌

2016년 11월 2일, 넥센 마무리 캠프 명단 중 내야수로 선발되어 가고시마 캠프로 훈련을 하러 갔다. 2017 드래프트로는 이정후와 함께 둘뿐이다.[2]

발이 빠르고 공을 배트에 맞히는 재주가 있어 2군에서 꾸준히 선발 출장하고 있다. 도루 능력도 있다. 다만 고교 시절부터 스로잉에서 아쉬운 면을 드러내고 있다. 2루수 서건창, 유격수 김하성이 있기 때문에 당장 1군에서 자리를 차지하기 힘든 상황이다. 그러나 장정석 감독을 비롯한 넥센 프런트는 장기적으로 김혜성을 주전 내야수로 키우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6월 28일 NC전에서 데뷔해 6경기에서 3타석에 들어섰으나 아직 프로 데뷔 안타는 기록하지 못했다.

7월 16일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

9월 1일 확장 엔트리가 실시됨과 동시에 다시 등록되어 대주자, 대수비, 대타 요원으로 활용될 듯하다.

9월 17일 드디어 데뷔 첫 안타와 타점을 동시에 기록하였다.

3.2. 2018 시즌

파일:IMG_520.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18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첫 풀타임 시즌. 부상으로 이탈한 서건창의 공백을 준수하게 메워주었고 팀의 2년만의 포스트 시즌 진출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포스트시즌에서는 수비와 공격 양면에서 아쉬운 플레이를 보였다.[3]

3.3. 2019 시즌

파일:키움 김혜성 (2019).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19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즌 막판 타격 부진으로 인해 3할은 실패했지만 작년보다 적은 출장에도 더 나은 성적을 보여줬다.

3.4. 2020 시즌

파일:202005302005779051_5ed23e570708d_1024x.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20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층 더 성장한 공격력. 전반기에는 붙박이 주전 2루수였으나, 후반기에는 내야수 에디슨 러셀이 영입되면서 포지션 교통정리가 필요해, 외야수를 겸하기도 했다.[4]

3.5. 2021 시즌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 (2021)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21 KBO 리그 도루 1위

파일:21김혜성.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21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올 시즌 144경기에 출전해[5] 타율 0.304 3홈런 66타점 46도루 99득점으로 맹활약했다. 그 중에서도 도루 1위에 오르며 프로 데뷔 첫 타이틀 홀더가 되는 기쁨을 맛봤다. 리그 최다 실책(35개)과 주전 유격수 중 저조한 0.943의 수비율은 옥에 티였지만 경쟁자들보다 우월한 공격 스탯을 바탕으로 KBO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첫 수상했다.

3.6. 2022 시즌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2022)
파일:22김혜성.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22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격수에서 2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한 뒤 129경기에 출전하여, 시즌 말미 손가락이 골절되는 큰 부상에도 불구하고[6] 빠른 회복 속도로 3주 만에 복귀해 타율 0.318 4홈런 48타점 38도루 81득점으로 맹활약했다.

부상으로 인한 거의 한달 간의 공백으로 아쉽게도 2년 연속 도루왕은 놓쳤으나, 2년 연속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면서 KBO 최초 유격수-2루수 골든글러브 수상자가 되었다.

옥에티는 역시나 포스트시즌에서의 부진.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까진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다가 한국시리즈에서 공수주 모두 최악의 모습을 보이며 팀 내 타율 2위 타자가 한국시리즈에서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팀의 준우승에 큰 기여를 하였다.

3.7. 2023 시즌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2023)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3 KBO 리그 2루수 수비상
파일:23김혜성.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23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커리어하이 시즌. 이정후의 4월 부진과 후반기 부상, 이형종이원석 등 영입자원의 부진으로 팀 타선이 침체된 와중에 팀 공격을 이끌었다. 더군다나 아시안게임 국가대표팀에 차출되어 금메달을 획득했기 때문에 병역 특례를 받는데 성공했다.

3.8. 2024 시즌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수상자 (2024)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4 KBO 리그 2루수 수비상
파일:223db599-9fbf-42f7-be87-ed58b058d0f3.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커리어 처음으로 우상향이 꺾인 시즌. 시즌 초반 어마무시한 홈런 페이스와 3할5푼의 타율을 기록하며 커리어하이를 갱신하나 했으나 잦은 잔부상과 기복에 고전하며 아쉽게 시즌을 마무리했다. 그래도 wRC+ 120과 5 이상의 sWAR로 결코 부진한 시즌을 보내지는 않았으며 개인 통산 4번째, 3년 연속 2루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였다.

3.9. 메이저 리그 포스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포스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5년 1월 3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3년 1,250만 달러(약 180억 원), 구단 옵션 포함 최대 5년 2,200만 달러(약 320억 원)의 계약을 맺었다.

4.1. 2025 시즌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202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국가대표 경력

파일:23APBC 프로필_김혜성.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혜성/선수 경력/국가대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수상 경력

6.1. KBO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김혜성의 KBO 수상 경력
2021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 도루 1위
2022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2023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 수비상 (2루수 부문)
2024 골든글러브 (2루수 부문) / 수비상 (2루수 부문)
KBO 역사상 유일무이한 유격수, 2루수 골든글러브를 보유한 선수이다.

6.2. 국가대표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2.svg
김혜성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2023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23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7. 연도별 성적

7.1. KBO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김혜성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17 넥센-키움 16 17 3 2 0 0 1 2 0 1 6 .188 .235 .313 .548 28.4 -0.06
2018 136 473 116 15 6 5 79 45 31
(3위)
33 119 .270 .328 .367 .695 75.0 1.00
2019 122 387 96 16 7 0 57 32 20 29 85 .276 .332 .359 .691 88.1 1.90
2020 142 553 142 24 6 7 80 61 25
(3위)
46 94 .285 .345 .399 .744 98.7 2.72
2021 144[7] 635 170 20 3 3 99
(4위)
66 46
(1위)
65 97 .304 .372 .367 .737 106.2 4.73
2022 129 566 164 18 7 4 81 48 34
(2위)
47 83 .318 .373 .403 .776 123.9 4.80
2023 137 621 186
(2위)
29 6 7 104
(2위)
57 25 57 77 .335
(3위)
.396
(5위)
.446 .842 141.9 6.19
(2위)
2024 127 567 166 26 4 11 90 75 30 47 62 .326 .383 .458 .841 124.1 5.16
KBO 통산
(8시즌)
953 3819 1043 150 39 37 591 386 211 325 623 .304 .364 .403 .767 108.0 26.07

7.2. MLB



[1] 원래 이영민 타격상은 매년 12월 야구인의 밤 행사 때 각종 시상을 하면서 같이 주지만, 2016년은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당시 대한야구협회)가 관리 단체였던 관계로 행사가 열리지 않아 2017년 야구인의 밤 행사에서 뒤늦게 상을 받았다.[2] 캠프 당시 기사 ‘롤모델 김하성’ 넥센 김혜성의 설레는 첫 도전.[3] 김혜성의 포스트시즌 잔혹사는 2022년까지 이어진다. 2022년 한국시리즈에서는 별 부상도 없는데, 공격과 수비 모두 처참한 성적을 기록하며, KS 4차전 선발 라인업에 빠지기도 했다.[4] 좌익수 수비는 무난했으며, 우익수로 1이닝 출장했으나 타구가 가지 않았다.[5] 프로 첫 전경기 출장[6] 사실상 시즌 아웃으로 여겨졌으나 예상보다 회복 속도가 빨라 포스트 시즌 시작 전에 1군으로 돌아오게 됐다.[7] 전 경기 출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9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9 (이전 역사)
문서의 r71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