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5:38:15

귀혼/공력별 육성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귀혼

||<tablebgcolor=#102139><tablebordercolor=#102139> 파일:귀혼 깨부리 로고.png||귀혼
게임 관련 정보 ||

1. 개요2. 처음 시작한다면3. 육성에 도움이 되는 항목
3.1. 경험치 도핑
3.1.1. 허리띠3.1.2. 비석
3.2. 경험치 이벤트3.3. 영물 및 완호3.4. 비석 셔틀3.5. 상마쩔3.6. 전투의 열기3.7. 이벤트 아이템
4. 공력별 육성법
4.1. 1~104.2. 11~194.3. 20 ~ 294.4. 30 ~ 374.5. 38 ~ 394.6. 40 ~ 474.7. 48 ~ 504.8. 51 ~ 544.9. 55 ~ 564.10. 57 ~ 584.11. 59 ~ 654.12. 66 ~ 704.13. 71 ~ 744.14. 75 ~ 804.15. 81 ~ 844.16. 85 ~ 914.17. 92 ~ 934.18. 94 ~ 994.19. 95 ~ 1004.20. 99 ~ 1044.21. 101 ~ 1044.22. 105 ~ 1074.23. 1084.24. 109 ~ 1144.25. 114 ~ 1194.26. 115 ~ 1204.27. 121 ~ 1224.28. 123 ~ 144(헬구간)4.29. 1454.30. 146 ~ 1494.31. 149 ~ 1514.32. 152 ~ 1534.33. 154 ~ 1574.34. 158 ~ 1594.35. 160 ~ 1674.36. 168 ~ 1734.37. 1714.38. 1724.39. 173~1774.40. 178 ~ 1824.41. 183 ~ 1844.42. 185 ~ 187

[clearfix]

1. 개요

귀혼을 플레이하는 각 유저의 구간별 레벨업 가이드를 위한 문서.

2. 처음 시작한다면

귀혼을 처음 시작하거나 오랜만에 복귀하는 유저라면 4월말 ~ 5월말, 7월 네코페스타, 11월 N주년 이벤트때 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 외에도 허리띠나 망부석이 있다면 시작해도 좋다.
2019년 이후로 귀혼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비슷한 이벤트를 진행중이며, 이 기간에 많은 유저가 복귀한다.

3. 육성에 도움이 되는 항목

3.1. 경험치 도핑

육성을 위해 경험치 획득량을 늘리는 것은 필수다. 귀혼은 마물을 퇴치하면 주어지는 순수 경험치를 100%로 계산하며, 여기에 합산해가는 방식이다.
1시간 동안 +10% 효과를 가지고 있는 아이템. 매일 접속할 때 마다 1개씩 얻을 수 있는 출석패를 사용하면 좋다. 또는 보은패 40개를 가지고 각 마을 창고 담당 NPC에게 가면 같은 효과를 가진 아이템[1]으로 교환해준다.
획득 경험치 +50%가 적용[2]된다. 이는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전보의행에서 획득하는 경험치에도 적용되므로 필수중의 필수다.
획득 경험치 +50% 추가된다.[3] 위 녹귀령(자귀령)과 중첩이 되며, 함께 사용시 200%[4]의 경험치를 획득한다.

황귀령 이용기간에는 효과에 의해, 3시간 미접속할 때 마다 5분간 +25%의 추가 경험치를 받을 수 있다.
이 덕분에 평일에 바빠서 접속하지 않다가, 주말에 중요한 퀘스트를 미리 준비해두고 클리어하는 유저들도 많다.
추가 경험치 +30%를 획득할 수 있다. 귀혼 상점에서 연격의 정수 아이템을 구매 히고, 마물을 연속으로 100대 때리면[5] 해당 효과가 30분간 지속된다.[6]
총 +25%의 추가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는데, 조건은 풀수호패[7] 문파에 가입하는 것이다.[8]
+20%[9] 추가 효과를 얻는다. 조건은 열기가 있는 상대[10]랑 무리를 맺으면 된다.
추가 경험치 +50%이다. 가끔 한 유저가 사용하게 되면 해당 채널만 1시간 동안 추가 경험치 +50%가 적용된다. 지속 시간은 우측 하단에 있는 태화노군 아이콘을 보면 된다.
한 번씩 음공으로 선지채널 언급이 되면 그 채널에 가서 사냥해도 좋다.

교환은 불가능하지만, 가진 사람에게 일정 금액을 주고 사용해달라고 할 수 있다.[11] 하지만 신규 유저가 구매하기엔 부담이 크다. 정보만 알아도 이득이다.

3.1.1. 허리띠

추가 경험치를 받을 수 있는 아이템이다. 허리띠 효과에 따라 +100~500%[12]까지 다양한 수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벤트 기간마다 일정 조건 하에 얻을 수 있다. 퀘스트나 전보의행 경험치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

3.1.2. 비석

일정 시간동안 설치한 맵에서 추가 경험치를 받을 수 있는 아이템이다. 종류에 따라 100%~250%[13]의 비석이 있다. 마찬가지로 퀘스트[14]나 전보의행 경험치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필수다.
행운의 비석 설치 맵 전체 +100%
행운의 무리비석 무리원만[15] +100%
은총의 무리비석 무리원만 +150%
축복의 무리비석 무리원만 +200%
가호의 무리비석 무리원만 +250%

3.2. 경험치 이벤트

보통 경험치 2배 이벤트를 말한다.[16] 경험치가 +100% 추가된다고 보면된다.[17][18]

3.3. 영물 및 완호

영물은 아이템을 대신 주워주거나, 고랩 사냥터 진입시 영물방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완호는 자신의 능력치를 추가로 올릴 수 있기 때문에 필수다.[19]

3.4. 비석 셔틀

고랩 사냥터에 가서, 비석을 설치하는 대신 경험치를 받을 수 있는 방식이다. 당연히 순수 사냥보다 레벨업 속도가 빠르다. 가성비좋은 방식이지만, 그만큼 비석이 필요하다. 동시에 도핑도 필수.

3.5. 상마쩔

풀세팅한 만렙에게 받는 쩔이다. 상급마물소환부적 + 비석값[20]을 지불하게 된다. 레벨업 속도는 경이롭다. 하지만 레벨 1부터 받기에는 너무 아깝기[21] 때문에 적어도 80 이후에 하는게 좋다. 물론 자본이 받쳐준다면 언제 받아도 본인의 자유다.

귀혼의 만렙은 143이다라는 농담이 있는데, 필요한 스킬을 전부 손에 넣을 수 있는 최소 레벨이기 때문이라 이 때 까지만 상마로 받는 케이스도 많다.

3.6. 전투의 열기

1시간 동안 체력/귀력/물공•마공/방어력/귀혼자 영력 감소정지[22] 등 정말 좋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버프이다.
하루동안 진행되는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챙기는게 좋다.

열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해당 문서의 열기관련 정보를 참고하면 된다.

3.7. 이벤트 아이템

이벤트 기간에 얻을 수 있는 추가 경험치 아이템이다. 평소에는 없으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 부분이다. 보통 향수, 할로윈 사탕 이 두 가지가 있다. 참고로 순수 사냥 경험치에만 적용되고 퀘스트/전보의행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 외에는 특별 이벤트 기간에만[23] 진행하는 특별 출석체크를 하면 육성에 도움이 되는 아이템을 얻을 수도 있다.

4. 공력별 육성법

가장 합리적이고 빠른 구간[24]만 설명. 일부 구간은 해당 조언에 따라 상마쩔, 비셕셔틀, 몰이 등을 통해 벗어나는 것이 좋다.

또 공력 1부터 60정도까지는 귀혼자의 성능이 더 좋다. 어디까지나 본인 판단하에 귀혼자를 졸업해도 좋다.

4.1. 1~10

애리촌에서 나이든장로에게 퀘스트를 받고 사냥하면 금방이다.

4.2. 11~19

청음곡에서 득표공 의행을 진행하거나, 레벨에 맞는 마물을 귀혼자 상태로 잡으면 금방 지나가는 구간이다.

4.3. 20 ~ 29

본격 전보의행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숨은청음북평야 맵에서 귀혼자를 켜고[25] 태세만 잡으면 된다. 개꿀 전보중 하나이다.

4.4. 30 ~ 37

숨은강하갱도2 혹은 황천-귀린지옥에 입장해서 전보의행으로 청염깨부리만 잡으면 된다. 개꿀 전보중 하나이다.

4.5. 38 ~ 39

흑혈귀곡림4에서 전보로 섬월귀만 잡는다. 만약 이벤트 기간에 허리띠 200% 이상이라면 청염깨부리 전보를 39까지 이어가도 좋다.

4.6. 40 ~ 47

흑혈귀곡림4 사타견 전보.

4.7. 48 ~ 50

숨은명주평야에서 산적 전보. 49~50은 구와즈 전보를 하면 된다.[26]

혹은 레벨 51까지는 여기서 전보를 하다가, 52가 되면 만취너구리 전보로 넘어가도 좋다. 통족제비 개체수가 이들에 비하면 적기 때문이다.

4.8. 51 ~ 54

51에는 용림산3에서 통족제비 전보, 52~54는 용림산 4에서 만취너구리 전보. 아래 혈랑전보가 아니더라도 흑웅이나 만취너구리 전보로 57을 달성해도 좋다.

4.9. 55 ~ 56

용림곡1에서 혈랑전보

4.10. 57 ~ 58

용림곡8에서 왕깨부리 전보

4.11. 59 ~ 65

용림곡6에서 우인귀 전보. 개꿀 전보중 하나이다.

4.12. 66 ~ 70

숨은철완산2에서 거암귀 전보.

이목귀 개체수가 적다고 느껴질 경우 못해도 72를 달성하기 전까지 거암귀에서 버텨도 좋다. 어디까지나 자유이므로, 이제 전보경험치가 꽤나 줄었다 싶다고 느껴질 때쯤 사냥터를 옮기면 된다.

4.13. 71 ~ 74

숨은철완산3 이목귀 전보

4.14. 75 ~ 80

생사기로2~3에서 삼족오 전보

정 안 맞는다 싶으면 모아두었던 용림성 퀘스트를 여기서 깨면 된다.[27]

4.15. 81 ~ 84

망각의방1에서 암자귀 전보. 이 구간은 파티원이 많을 경우 87까지 해도 문제없다.

4.16. 85 ~ 91

망각의방10에서 화염귀 전보

4.17. 92 ~ 93

슬픔의방2, 4에서 독운귀 전보

4.18. 94 ~ 99

슬픔의방7에서 원귀갑 전보

4.19. 95 ~ 100

슬픔의방10에서 침식인영조귀 전보.

4.20. 99 ~ 104

생사의방4에서 침식적수목귀 전보.

생사의탑 구간은 전체적으로 흉도귀걸이 효과가 적용되기에 공격력이 높아진다. 그 덕분에 104까지 이 구간에[28] 남아있는 경우도 흔하다. 104때 2차전직 최상위 무공을 획득하고 바로 산고를 잡으러 가거나, 105때 개체수가 많은 저승사자 전보를 가도 좋다.

4.21. 101 ~ 104

숨은천음계단1에서 산고 전보.

맵 구조상 괜찮은 구간 중 하나이다. 조각을 모으고 싶을 경우 104달성시 숨은천음계단2에서 퇴부토 전보를 해도 좋다. 속성은 귀찮은 마물이지만, 개체수는 나쁘지 않다.

4.22. 105 ~ 107

천음계단10에서 저승사자 전보.

다음 구간인 천음선교4에 자리가 없거나, 개체수 때문에 체감상 느리게 느껴진다면, 저승사자 구간은 개체수가 많기에 108 ~ 110까지 남아있어도 좋다. 전보 경험치를 계산해보며 사람이 많은 곳에 계속 남아있는 것도 방법이다.

4.23. 108

천음선교4에서 빙극인전보.

4.24. 109 ~ 114

천음선교4에서 빙극인전보.

환골탈태를 110에 할 수 있지만, 114찍을 때 까지 빙극인 전보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 이유는 환골탈태는 114에 진행할 경우 114부터 환골탈태 퀘스트 경험치를 받으면서 115를 찍을 수 있기에[29] 바로 금강불괴 라는, 마스터하면 방어력 +700 패스브 무공을 얻을 수 있다.

4.25. 114 ~ 119

숨은고락봉2에서 동자선 전보. 고락봉이지만 추락이 없는 곳이라 파티원이 모일 경우 나쁘지 않은 구간이다.

4.26. 115 ~ 120

같은 숨은고락봉2에서 천도신 전보.

4.27. 121 ~ 122

숨은서위협곡6에서 혈강시 전보를 하거나 고락촌, 천음사 퀘스트 클리어로 넘긴다.

4.28. 123 ~ 144(헬구간)

이 구간은 사냥터 구조상 좋은 전보구간이 전혀없다.[30] 따라서 지금까지 모아둔 퀘스트를 전부다 깨거나 있는 방법을 총동원해서 넘어가야하는 헬구간이다.[31]

우선 천음사 퀘스트, 고락촌[32] 퀘스트, 명주성 대부호 퀘스트를 절대로 먼저 깨지 말고 모아두었다가. 한 번에 발산한다. 허리띠 및 도핑 풀로 의행을 전부 완료한다.

그 다음 비석셔틀, 몰이, 상마 등을 통해 136까지 찍는다.

그 다음 화경 전직 후 각 136부터는 화경무공을 2개나 사용할 수 있기에 숨은망자의계곡3에서 파티사냥하면 된다. 135까지는 어찌어찌 넘겨야 한다는 뜻이다. 직업에 따라 133무공 성능이 좋으면 133부터 숨망3에서 사냥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

만약 144까지 그냥 넘기고 싶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비석셔틀, 상마쩔, 몰이다. 퀘스트를 전부 완료하고도 136미만이라면 역시 위 3가지 방법이 권장된다.

또 화경(3차전직)을 완료하면, 다음 전직인 현경을 위한 시나리오 퀘스트가 열리는데 이 퀘스트를 160까지 모아두었다가, 한번에 깨는 것이 좋다. 자세한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

4.29. 145

숨은흑귀주원1에서 삼강동전 전보. 이 구간부터는 맵과 마물 배치 특성상 다시 편해진다고 할 수 있다.

더군다나 145는 귀혼 시스템상 좋은 무기 매물이 많기 때문에 구해서 사냥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144까지는 빠르게 상마로 넘기는 유저도 많은 편이다.

4.30. 146 ~ 149

숨은흑귀주원2에서 해파리(동래적색괴) 전보. 개체수가 아주 많기에 꿀전보 구간중 하나이다.

4.31. 149 ~ 151

숨은흑귀혈로1에서 탄주어전보. 흔히 문어방이라 불리는 곳이다. 150부터는 숨은흑귀혈로2에서 사룡전보를 해도 되지만, 사룡 체력이 꽤 많아서 사냥 피로도가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

4.32. 152 ~ 153

거묵충림4에서 식인통발 전보. 과거 거목전보가 패치되었다 하지만, 그래도 개체수가 많아졌기에 해당 레벨대에서는 이 구간만한 곳은 없다.

4.33. 154 ~ 157

거목충림2에서 백족신사 전보. 백족신사 개체수가 많아서 가끔 159까지 하는 유저도 있다.

4.34. 158 ~ 159

거목충림4에서 주견사 전보.

흔한 방법은 아니지만, 거목충림4는 식인통발 전보하는 유저들이 겸해서 주견사도 같이 잡아주기 때문에 전보하는데 나쁘지 않다. 160을 찍고도 여기에 남았다가[33] 161에 탈출해도 좋다는 소리다. 그 이유는 나중에 녹림퀘 + 현경퀘로 165를 확실하게 찍고, 최대한 빨리 168을 달성해서 요분귀 전보를 하기 위함인데, 어디까지나 선택이다.

4.35. 160 ~ 167

전보효율이 좋은 구간이 거의 없다.[34]

이 구간은 160달성 후 현경 전직에 대한 모든 의행[35] + 161부터 가능한 시나리오 의행 + 녹림퀘로 최소 165까지는 건너 뛸 수 있다.[36]

그리고 160부터는 못해도 좋은 무기를 장착하지 않으면, 파티에 끼기 어렵다.[37] 적어도 물/마공 귀걸이 + 핑작이상 + 찜보도핑해서 파티에 합류하는 것을 권장한다.[38]

이렇게 165~167은 흔히 룡방, 폐허, 검언 등 무지성 사냥하면 된다.

4.36. 168 ~ 173

숨은노루담의굴1에서 요분귀 전보를 한다.

4.37. 171

녹돈의평원1에서 갑신여귀 전보를 한다.

4.38. 172

녹돈의평원2에서 광돈마인 전보

4.39. 173~177

녹돈의 평원3에서 함흥마령 전보. 174부터 마면인귀를 잡아도 된다.

4.40. 178 ~ 182

용방에서 어린화룡 전보. 검언에 자리가 없을 경우 184까지도 가능하다.

4.41. 183 ~ 184

숨은검은언덕2(뱀방) 전보를 하거나, 영초방에서 영초 전보를 한다.

4.42. 185 ~ 187

검은언덕7에서 심연의아라크네 전보. 186부터는 숨은서부국경지대에서 귀검사나 귀창술사 전보를 하기도 한다.


[1] 받자마자 사용되는게 아니라 안심해도 된다.[2] 순수 경험치가 100%므로 150%가 된다는 뜻[3] 다른 효과도 많지만 경험치 관련 효과만 소개함.[4] 순수 100% + 50% + 50%[5] 화면 우측 아래에 코보수가 나온다.[6] 마물 타격 100회가 될 때 마다 계속 30분이 되므로, 사냥시에 딱히 신경 쓰지 않아도 계속 적용된다.[7] 최대 5개까지 장착이 되며, 1개당 경험치는 +5%이다.[8] 문파에 따라 수호패 효과가 높은 곳도 있다.[9] 강화의 경우 +30%[10] 둘 중 하나만 있어도 된다.[11] 선인의지혜 공급도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12] 이벤트 기간에만 지급되는 허리띠를 의미하며, 태화노군 제자들의 이름이 들어간 허리띠는 아니다.[13] 본인만 적용되는 궤에서 나오는 비석은 제외[14] 마을맵에는 설치가 불가능하나 사냥터에서 의행을 완료할 경우 경험치 양에 따라 설치하면 좋을 때가 많다.[15] 설치한 사람 포함이며, 무리원이 없을 때 자신만 효과를 얻는다.[16] 특별한 기간에 3배를 주는 경우도 있다. 정말 드물지만 5배인 시기도 있었다.[17] 도핑으로 녹귀령만 있을시 평시는 +150%지만, 경험치 2배가 적용되면 총 +250%이 된다는 뜻이다. 250% = 100%(순수) + 50%(녹귀령) + 100%(이벤트)이다. 300%가 아니라는 점이 계산 포인트이다.[18] 귀혼의 경험치 계산 방식은 더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19] 편한 귀혼 사냥을 위해 뉴비라도 녹사오정정도는 질러줘야 좋다.[20] 쩔 인원하고 N빵한다.[21] 경험치 손실 때문인데, 귀혼의 불합리한 경험치 시스템이다.[22] 귀혼자는 매일 30분씩만 가능하지만 이 열기가 있을 때는 귀혼자를 켜도 영력이 줄지 않는다.[23] 주로 위에 언급된 가정의달,네코페스타,N주년 이벤트 때 진행된다.[24] 전보의행이 패치된 2021년 8월부터 계속 유효[39]한 사냥 방식이다.[25] 열기상태로 켜면 열기 지속되는 동안 영력감소없이 이용가능[26] 사실 이 맵에서는 개체수 많은걸로 하면 된다. 결론은 산적이나 구와즈나 둘 다 좋다.[27] 삼족어도 개체수가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기에, 지루할 수 있는 구간이다. 따라서 81을 찍고 다음 사냥터로 옮기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다.[28] 생사의방4는 개체수도 좋다[29] 허리띠 기간 기준[30] 모든 유저가 동의하는 귀혼의 공식 헬구간이라 볼 수 있다.[31] 물론 전보를 하기 힘든 구간이란 뜻이다. 아래 언급되는 방법으로 얼마든지 넘길 수 있다.[32] 고락촌 장로의 가짜저승사자[33] 물론 160을 찍으면 보통 좋은 무기를 구해놓았기에 얼른 녹림성 퀘랑 현경퀘를 다 깨고 고랩사냥터로 가버리는 경우가 더 많다.[34] 160 이후부터는 무조건 핑작이상의 무기를 구할 것이 권장되며, 160을 달성한 후 현경퀘 + 녹림퀘를 최우선으로 진행하고 165를 넘기는 것이 좋다. 그리고는 168을 달성하기 전에는 검언, 폐허 등 고랩 사냥터에 가서 버티면 되지만, 전보 경험치 혜택이 없는 무지성 사냥이라 지루할 수 있다.[35] 보통 131부터 현경관련 시나리오 의행이 시작되지만, 안깨고 160까지 모아두는게 유저들 사이에선 정석이다. 그 이유는 현경퀘 전체 경험치는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깨는 것이다.[36] 허리띠 이벤트에 풀도핑으로 모아둔 의행을 완료하면 못해도 165에 도달한다.[37] 귀혼 시스템상 불가능한게 아닌, 유저들간의 암묵적인 룰이다.[38] 못해도 최소 물공 1.2는 찍고 1.5 이상은 되어야 사냥터에 들어가기 수월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