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6:05:18

Android

구글 안드로이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ndroid를 개발했던 기업에 대한 내용은 안드로이드(기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Android의 본 뜻을 의미하는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안드로이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ndroid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구글 로고.svg 운영 체제
현재 서비스 중 개발 중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아이콘.svg 파일:Chrome 로고.svg 파일:퓨시아 아이콘.svg파일:퓨시아 아이콘 화이트.svg
Android ChromeOS 퓨시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df33> 파일:Linux 로고.svgLinux
배포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Debian APT 파일:우분투 아이콘.svg
Ubuntu
Ubuntu · Linux Mint · Kubuntu · Lubuntu · Ubuntu MATE · Pear OS · 하모니카 · elementary OS · Zorin OS · Xubuntu · JingOS · GalliumOS · Pop!_OS
파일:데비안 심볼.svg
Debian
Debian · Kali Linux · Crunchbang · 구름 OS · Kylin · Damn Small Linux · Slax · TmaxOS · Raspberry Pi OS · Tails OS · Whonix · Deepin · Endless OS · MX LinuxopenmediavaultAstra Linux · VyOS · Vanilla OS · Proxmox · TrueNAS SCALE
Fedora RPM Red Hat
(RHEL)
Red Hat Enterprise Linux · Red Hat Linux · CentOS Stream · Scientific Linux · Oracle Linux · 아시아눅스 · Rocky Linux · CBL-Mariner
Mandriva OpenMandriva Lx · Mageia · PCLinuxOS
MeeGo MeeGo · Tizen · Sailfish OS
Fedora · Amazon Linux · 붉은별 · Fedora Asahi Remix
Slackware slackpkg Slackware Linux
Arch pacman Arch Linux · Manjaro Linux · EndeavourOS · Antergos · ArchBang Linux · Chakra Linux · SteamOS · Archcraft
Android apk Android · Android-x86 · Bliss OS · Fire OS · Polaris OS · Phoenix OS · Project Sandcastle · Remix OS · Wear OS · Wear OS Powered by Samsung · Meta Horizon OS · 그 외 기타 Android 커스텀 펌웨어
Gentoo portage ChromiumOS ChromiumOS · ChromeOS · ChromeOS Flex · Wayne OS · FydeOS · Whale OS
Gentoo Linux · Funtoo Linux
기타 OpenWrt · NixOS · Solus · Alpine Linux · openSUSE · RouterOS · webOS · Puppy Linux · TinyCore Linux · postmarketOS · dahliaOS · 티맥스 윈도우 · Clear Linux* OS · LinuxBoot
취소선 처리된 배포판은 개발 중단된 배포판.
}}}}}}}}} ||

모바일 운영 체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이름 개발사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컬러 화이트.svg Android 구글
파일:Wear OS 로고.svg Wear OS*
파일:WearOS Powered by Samsung 로고.svg파일:WearOS Powered by Samsung 로고 화이트.svg Wear OS Powered by Samsung* 삼성전자, 구글
파일:Tizen 로고.png파일:Tizen 로고 다크.png 타이젠 삼성전자, 인텔
파일:webOS 로고.svg파일:webOS 로고 컬러 화이트.svg webOS LG전자
파일:HarmonyOS 로고.svg파일:HarmonyOS 로고 컬러 화이트.svg HarmonyOS 화웨이
파일:Xiaomi_hyperos_블랙.svg파일:Xiaomi_hyperos.svg Xiaomi HyperOS 샤오미
파일:fitbitOS_logo.png FitbitOS* 핏빗
파일:Sailfish OS 로고.svg파일:Sailfish OS 로고 화이트.svg Sailfish OS 욜라
파일:KaiOS 로고.svg파일:KaiOS 로고 다크.svg KaiOS** KaiOS 테크놀로지
파일:PureOS 로고.png파일:PureOS 로고 화이트.png PureOS Purism
파일:샤오미.png MIUI Watch* 샤오미
파일:postmarketOS 로고.svg postmarketOS postmarketOS 오픈소스 커뮤니티
파일:iOS 로고.svg파일:iOS 로고 화이트.svg iOS Apple
파일:iPadOS 워드마크.svg파일:iPadOS 워드마크 화이트.svg iPadOS
파일:watchOS 로고.svg파일:watchOS 로고 화이트.svg watchOS*
파일:visionOS 워드마크.svg파일:visionOS 워드마크 화이트.svg visionOS*
*: 웨어러블용 운영 체제
**: 피처폰용 운영 체제
개발을 중단한 모바일 운영 체제 }}}}}}}}}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android_15.webp
<colbgcolor=#34a853><colcolor=#fff> 개발 Google
기반 Linux
출시 2008년 9월 23일
개발 언어 C, C++, Java, Rust
최신 버전 Android 15[A]
개발 버전 Android 16[A]
플랫폼 ARM, MIPS, x86
커널 Linux
커널 종류 단일형 커널
홈페이지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아이콘.svg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아이콘.svgAndroid 개발자
1. 개요2. 적용3. 성능4. 시장성5. 버전6. 플랫폼
6.1. 휴대전화/태블릿
6.1.1. Android Go edition6.1.2. Wear OS6.1.3. Android Auto
6.2. Android Automotive OS6.3. Android TV
7. 사용자 인터페이스8. 보안
8.1. SELinux8.2. SafetyNet8.3. 기기 암호화8.4. Factory Reset Protection (FRP)
9. 문제점10. 버그11. 레퍼런스 기기 현황12. Google 인증 조건13. 상징
13.1. 로고13.2. 마스코트
14. 단말기 목록15. 다양한 기기로의 이식16. 사건 사고
16.1. 2008년16.2. 2020년16.3. 2021년
17. 기타1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Android는 Linux 커널을 기반으로 Google에서 제작하고 있는 범용 모바일 운영 체제미들웨어 및 중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배포판이다. Google은 새로운 운영 체제의 버전 공개와 동시에 소스를 공개하고 있다. 이렇게 공개된 소스를 AOSP라고 한다.

의외로 많이들 지나치는 사실이지만 원래는 Google에서 개발한 운영 체제가 아니다. 앤디 루빈이 설립한 Android Inc.에서 개발했으며 이후 Google이 이 회사를 인수하여 구글에서 개발을 하고 있다. 초창기의 Android는 여기서 디지털 카메라의 운영 체제로 출발했으며, iPhone 등 경쟁 스마트폰이 나온 이후 스마트폰 운영 체제로 개발 방향을 바꾸게 되었다.[3]

Android는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오픈 소스 플랫폼이며 세계 최다 사용자를 보유한 모바일 운영 체제다. 소스코드 공식 사이트 2008년 9월에 1.0 버전이 첫 등장 했다.

개방성과 범용성이 뛰어나 여러 플랫폼으로 이식 및 개발이 가능하다.

2021년 기준 Android(72.20%)와 iOS 점유율(26.99%)을 합치면 99.18%이다. 스마트폰 OS 점유율 3위였던 Windows Phone의 점유율조차 0.02%까지 떨어져서[4] 결국 Microsoft에서도 모바일 운영 체제 시장 포기를 선언하였고[5] 모바일 OS 시장은 Android와 iOS로 정리되었다. iOS는 Apple 전용 운영 체제이고 KaiOS는 피쳐폰 전용 OS니 사실상 아이폰과 하모니 OS[6]를 탑재한 화웨이를 제외한 시장에 출시된 모든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셈이다. 자세한 내용은 운영 체제/점유율 문서를 참조.

2. 적용

기본적으로 오픈 소스 기반 무료 운영 체제지만, Android는 Google이 가진 가장 큰 무기 중 하나이다. Android 덕분에 모바일 기기 제조사와 이동 통신사들을 상대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구글 플레이, 구글 검색, 유튜브 등 자사 앱을 기본 앱으로 의무 채택하여 광고 수익을 늘릴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7]

커널부터 시작해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툴)까지 몽땅 다 무료로 풀려 있으며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실제 폰과 비슷한 환경에서 돌려볼 수 있는 에뮬레이터(AVD - Android Virtual Device)도 당연히 공개되어 있다.[8] 자신이 타겟 플랫폼의 H/W 구조를 다 이해하고 있고 관련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개발 툴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원한다면 Android를 포팅 가능한 핸드폰을 한 대 구입해서 내부를 통째로 뜯어고쳐 완벽하게 자신만의 단말기를 만들어 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일부 기종을 제외한 피처폰들은 Android의 커널을 구성하는 Linux 커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하드웨어 사양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Android 구동은 어렵다.[9]

3. 성능

기본적으로는 ARM 프로세서로 포팅되어 있으며 MIPS, Power Architecture, x86-64로도 포팅이 되어 있다. 지원하는 언어는 커널 쪽은 C, 몇몇 라이브러리는 C++, 그리고 UI 및 응용 소프트웨어는 Java로 되어있다.[10] 가상 머신은 Java VM이 아니라 자체 개발한 Dalvik VM을 사용한다.[11] 이후 4.4에서 ART가 개발자용으로 탑재되었고 AOSP 4.4 ART 기본값 기사 5.0에서는 기본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Dalvik을 완전히 대체하였다.[12]

Linux 커널을 기반으로 한 OS이고 Java 가상 머신을 사용하여 성능은 좀 떨어질지라도[13] 호환성 하나는 막강하여[14] ARM 코어 프로세서뿐만 아니라 다른 플랫폼으로도 포팅이 가능해 스마트폰, PMP는 물론이고 태블릿 컴퓨터, 텔레비전 심지어 PC에도 포팅이 가능하다. 비교적 자원이 부족한 모바일 운영체제임에도 불구하고 효율성 대신 범용성을 중시한다는 점이 다소 의아하겠지만 Android는 이를 이용해 단순 OS를 넘어서 플랫폼으로써의 지위를 갖게 되었고, 막강한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실제로도 Android는 Linux를 기반으로 한 OS뿐만 아니라 그 위에서 돌아가는 각종 소프트웨어 스택까지 다 포함되므로 생각보다 훨씬 큰 개념이다. 따라서 최하단의 Linux 커널을 다른 OS 커널로 교체하더라도 상위의 다른 서비스들을 전부 동일하게 돌릴 수만 있으면 우리가 아는 Android를 다른 운영체제 기반으로도 동작시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 Windows 커널 기반으로 동작하는 Windroye(구 WindowsAndroid)가 있다.

반대로 Android 앱은 비록 Android OS가 Linux 커널 기반이라지만 엄연히 수정이 가해졌을뿐더러 상위의 가상머신,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등의 구동 환경 자체가 없고 가상머신의 지원이 없이는 애초에 네이티브 실행이 되는 코드조차도 아니므로 이론상으로도 다른 Linux 운영체제에서 직접 구동은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Linux에서는 GUI를 만들기 위해 X11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만 Android에서는 이걸 쓰지 않고 자체 G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므로 GUI Linux 프로그램은 Android에서 실행할 수 없다.

라이선스는 아파치 라이선스 2.0을 사용한다. 단, Linux 커널을 수정한 부분에 대해서는 GPL 2.0이 적용된다.

모든 Android 기반 기기에서 Google 서비스를 사용할 수는 없다. Android 기기에서 Google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Google Android 인증이 필요한데 이 인증 조건에 터치스크린, GPS, 카메라 등등의 일부 하드웨어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사실상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등 그런 구성이 허용되는 기기 이외에는 인증을 받기가 어렵다. 이것은 Google이 단순히 심술을 부리는게 아니라 애초에 그런 하드웨어 구성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인증을 받지 않더라도 Google의 서비스를 이용 못 할 뿐이지 Android 자체를 사용하는 데는 지장이 없다. Android 역시 이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Google의 서비스 없이도 Android가 돌아갈 수 있는 여러 장치를 해뒀지만 그래도 Google의 서비스가 없는 Android를 소비자가 얼만큼 반길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Google이 인증하지 않은 Android는 'Android'라는 상표나 명칭도 못쓴다. 이런 것들은 AOSP라고 따로 불린다. 지금 기준으로 보면 Android라는 상표권과 인증 여건 때문에 Android 자체보다는 AOSP만을 오픈 소스로 쳐주는 편이며 Google의 다른 제품으로 비교하면 ChromeChromium의 관계와 비슷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ndroid 기반 기기가 개발되는 이유는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Android가 단순 OS가 아니라 플랫폼이라는 지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호환성, 확장성, 범용성 측면에서 매우 큰 이득이 있기 때문에 Google 서비스를 제외하더라도 그만한 가치가 있다.

4. 시장성

앱 마켓인 Google Play의 수익 구조도 다른데 AppleApp Store의 경우 앱 구매/인앱 결제 등에서 발생한 수익 중 개발자가 70%를 가져가고 나머지 30%는 Apple과 카드 회사가 반반 나눠 가지게 되지만 Google Play의 경우 개발자가 70%, 나머지 30%는 Google이 아니라 이동통신망사업자가 가져가는 구조였다. 사실 이건 Android, 구글 플레이의 규모를 고려했을 때 Google이 상당한 규모의 이득을 포기해 버린 경우인데[15] 이 계획의 파급 효과가 엄청났다. 이러한 정보가 나오자마자 전 세계의 주요 통신사들이 앞다투어 Google과 계약하게 된 것. 하지만 2012년도 이후에는 Google Play에 출시하는 앱은 Google 인앱 결제만 허가하고 2013년 6월에는 국내 MNO에 할당하는 수익 비율을 종전 25~27%에서 15%로 대폭 줄이려 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오픈 소스 OS이긴 하나 Android를 이용해 휴대폰을 만들 시 휴대폰 제조사는 Microsoft에 라이선스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Android/문제점 특허 문제 부분 참고.

오픈 소스로 풀어버린 만큼 많은 제조사들에 의해 오만가지 기종이 다 나왔으며 그 덕분에 시장 점유율이 높은 편이다. 한 예로 2013년 2분기에는 시장 점유율이 81%로 iOS(14.2%)를 큰 격차로 따돌렸다. 이미 명실상부한 시장 지배적인 모바일 OS의 위치에 올라섰다. 구글코리아가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현재 Android 사용자의 수는 10억 명 정도라고. 전체 인구 약 8분의 1이 Android를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 버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버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코드 네임 버전 릴리즈 날짜 API 버전 리눅스 커널[출처]
Android 1616.02024년 11월 19일
DP 1
API level B DP1 -
Android 15[17]15.02024년 9월 2일API level 35 -
Android 14[18]14.02023년 10월 4일API level 346.1.x
Android 13[19]13.02022년 8월 16일API level 335.15.x
Android 12[20]12.02021년 10월 4일API level 315.10.x
Android 11[21]11.02020년 9월 8일API level 304.14.x
Android 10[22]10.02019년 9월 4일API level 294.14.x
4.9.x
Pie9.02018년 8월 6일API level 284.9.x
4.4.x
3.18.x
Oreo8.12017년 10월 25일API level 274.4
3.18.x
8.02017년 8월 21일API level 26
Nougat7.1 - 7.1.22016년 10월 2일API level 253.10.73
7.02016년 8월 22일API level 243.10
Marshmallow6.0 - 6.0.12015년 10월 5일API level 23
Lollipop5.1 - 5.1.12014년 11월 12일API level 223.4.0
5.0 - 5.0.2API level 21
KitKat4.4 - 4.4.42013년 10월 31일API level 19
Jelly Bean4.3 - 4.3.12012년 7월 9일API level 18
4.2 - 4.2.2API level 173.0.53
4.1 - 4.1.2API level 163.0.31
Ice Cream Sandwich4.0.3 - 4.0.42011년 10월 18일API level 15, NDK 83.0.1
4.0 - 4.0.2API level 14, NDK 7
Honeycomb3.2.X2011년 2월 22일API level 132.6.36
3.1API level 12, NDK 6
3.0API level 11
Gingerbread2.3.3 - 2.3.72010년 12월 6일API level 102.6.35
2.3 - 2.3.2API level 9, NDK 5
Froyo(Frozen yogurt)2.2 - 2.2.32010년 5월 20일API level 8, NDK 42.6.32
Eclair2.12009년 10월 26일API level 7, NDK 32.6.29
2.0.1API level 6
2.0API level 5
Donut1.62009년 9월 15일API level 4, NDK 2
Cupcake1.52009년 4월 27일API level 3, NDK 12.6.27
Petit Four1.12009년 2월 9일API level 22.6.25
Android 1.01.02008년 9월 23일API level 1
[출처]

Android가 휴대전화/태블릿 이외에도 갤럭시 기어와 같이 다양한 디바이스에 활용되었으나 Google에서 웨어러블, 자동차 등에 맞춰 개량 버전을 출시했다. 2023년 8월 Kitkat의 Google Play 지원이 종료되었다.

버전 9.0까지 코드 네임은 A부터 시작하여 알파벳순으로 지어지며 그 이름이 모두 디저트 이름이다. 버전 10.0부터는 원래 디저트가 더 있었지만 국가마다 발음이 다르다는 이유와 비영어권 나라의 코드 네임 발음이 다르다는 이유 등으로 숫자로 OS의 이름을 정한다. 다만 코드 네임으로 버전명을 정하지 않을 뿐, 내부 개발 시에는 계속 디저트 이름이 코드 네임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이다. (11 - Red Velvet Cake, 12 - Snow Cone, 13 - Tiramisu, 14 - Upside Down Cake, 15 - Vanilla Ice Cream)

참고로 Android의 Linux 커널은 최신 버전을 사용하지 않으며 3~5년 전의 커널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충분히 검증된 안정적인 커널을 이용해 문제 발생의 소지를 최소화하겠단 의도이다. 이러한 경향은 커널 사용이 지연되는 시기의 차이만 있을 뿐 데스크톱 버전용 (롤링 릴리즈가 아닌) Linux 배포판 역시 비슷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성능 동향에 따른 것이기도 하다. 스마트폰의 성능이 아무리 비약적으로 발전한다 한들 데스크톱의 성능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굳이 최신 기술과 기능이 포함된 최신 커널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커널에 Android의 구조를 맞추기보다는 Android의 구조에 커널 버전을 맞추는 것이다.

6. 플랫폼

6.1. 휴대전화/태블릿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버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블릿 컴퓨터/안드로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 Android Go edition

Google I/O 2017에서 Android Go라는 이름으로 간단히 소개되었고 2017년 12월 Android Oreo (Go edition)으로 세부 사항과 함께 공개되었다.

기존에 저사양 기기를 타겟으로 하였지만 운영 체제의 변경점은 없었던 Android One 프로젝트를 Mi A1의 공개와 함께 중급형 사양으로 상향시키고 저사양 기기의 퍼포먼스를 위한 몇 가지의 수정 사항과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Android Go edition을 선보였다. 1GB보다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한 저사양 Android 스마트폰으로 더 나은 스마트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적은 저장 공간과 제한된(적거나 느린) 모바일 데이터 환경 등도 고려되었다.

기존 Android와 비교한 특징으로
결론적으로 기존의 필수적인 기능은 모두 잘 작동하면서 저사양 기기에서 약 15% 더 빠르게 작동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Android 9에 이어 Android 10까지 역시 기존 Android 9처럼 '동일한 틀(필수적인 기능 작동 및 저사양 기기 최적화)'을 보유한 상태로 업데이트가 되었다.

이 Go Edition이 탄생하게 된 배경에는 위에서 말했던 저사양의 기기와 제한된 데이터 사용량 때문인데, 이를 수치로 환산해 보면 확실하게 알 수 있다.
<rowcolor=#fff> 대한민국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수단
최저 임금(한 달)[26] 1327.04$[27] 1323.52$[28][29] 52.8$[30] 10.56$[31] 1.76$[32]
1GB 데이터 평균 요금[33] 12.55$ 5.62$ 0.17$ 0.46$ 2.51$

위의 표를 보면 한국, 미국의 경우 데이터 요금이 상당히 비싸지만, 그만큼 최저 임금이 높다. 따라서 10GB의 데이터를 사용하더라도 겨우 125.5$일 뿐이다. 이는 단순히 데이터를 종량제로 사용했을 경우이고,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하거나, 할인이 적용되면 이 금액은 더 줄어든다. 따라서 충분히 최저 임금으로도 데이터 사용량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보장받을 수 있다.

인도의 경우 요금이 세계에서 가장 저렴하기로 손꼽히며, 실제로도 표를 확인해 보면 최저 임금이 적은 편이지만, 데이터 요금 또한 저렴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최저 임금을 늘어놓은 것이고, 인도의 최저 임금이 법으로 제정된 것이 2019년이었다. 그때까지는 공식적으로 통계에 잡히는 일자리의 약 40% 정도가 최저 임금보다 낮은 임금을 받고 일해 왔으며[34], 도시에 비해 농촌 지역은 훨씬 더 적은 임금을 지불받는다고 한다. 물론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일자리의 경우에는 말할 필요도 없이 최저 임금에 아득히 미치지 못하는 저렴한 임금을 지불받는다.

계속해서 인도네시아나 수단 같은 개발 도상국의 경우 한 달 최저 임금에 비교하면 데이터 요금이 어마어마하다. 특히 시간당 최저 임금이 겨우 0.06$, 0.01$인 데 반해, 데이터 1GB의 요금은 무려 0.46$, 2.51$이다. 10배인 10GB를 사용한다고 하면 요금은 4.6$, 25.1$가 되며, 인도네시아는 한 달 최저 임금의 반에 근접하고, 수단은 무려 근 14달 치 월급이다.

게다가 이들이 한국이나 미국처럼 4G나 5G를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들은 아직도 2G나 3G가 대부분이다. 오히려 한국이 빠르게 4G와 5G를 상용화시킨 사례일 뿐, 미국마저도 땅덩어리가 워낙에 커서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면 3G마저도 겨우겨우 지원하거나 그마저도 지원이 안 되는 오지도 있다. 즉, Go Edition은 이러한 데이터 사용이 물리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을 타겟으로 삼고 개발된 녀석이다. 따라서 이 Go Edition에 따라붙는 각종 Go 애플리케이션들은[35] 기본적으로 오프라인인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보다 친화적인 방향으로 개발된 것을 알 수 있다.

YouTube Go를 예로 들자면, 한국에서 쓰이는 일반적인 YouTube는 온라인이 아닐 경우 라이브러리 화면으로 자동으로 연결되긴 하지만, 오프라인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에러 메시지를 띄운다. 그러나 YouTube Go는 오프라인임을 알리는 메시지는 일절 보이지 않으며, 직전에 갱신해 뒀던 영상 목록이 그대로 보인다. 물론 새로운 영상을 보려면 온라인 상태지만, 오프라인 메시지를 마치 에러마냥 띄워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YouTube Go는 프리미엄 기능을 활성화시키지 않아도 영상을 기본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기능이 있으며, 나아가 다운로드할 영상의 품질(= 용량)을 선택할 수 있게끔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Google Go 또한 한국에서 흔히 사용하는 Google 앱과는 달리 오프라인일 경우 온라인으로 연결하라는 에러 메시지 대신, 자신이 예전에 검색했었던 타임라인을 띄워주고,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과정을 아이콘으로 보며주는 등의 노력을 하여 데이터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프라인으로 느껴지는 긴장감이나, 박탈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홈페이지

국내에서는 ALT 스타일 폴더가 안드로이드 고로 출시되었다.

6.1.2. Wear O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Wear O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해당 운영 체제의 탑재 디바이스는 Wear OS/단말기 목록 참조.

6.1.3. Android Auto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 Auto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Android Automotive OS

휴대전화에서 작동되어 이를 차량과 연결하는 Android Auto와 달리, 자동차에 직접 탑재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다. 자동차 자체를 하나의 Android 기기로 만드는 것이다.
.
볼보 산하의 브랜드 폴스타의 폴스타 2에 탑재되어 있으며, 르노·닛산·미쓰비시 연합GM이 2021년부터 Android가 탑재된 자동차를 만들 것이라고 한다.

2021년 2월, 포드와 링컨 브랜드에서도 2023년부터 Android를 탑재한 차량을 만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

2023년부터 출시되는 일부 BMW 차량들은 iDrive 9을 지원하며 iDrive 9는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제작된다.

안내 페이지

6.3. Android TV

Android TV는 2014년 10월 15일에 발표됐다. 휴대폰과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TV에 맞는 컨트롤 방식을 지원한다. 그 첫 제품으로는 Nexus Player가 있다.

간단히 말하면 삼성 TV에 바다나 타이젠이 들어간 것, LG TV에 webOS가 들어간 것 대신 Android가 들어가 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요즘 적당한 고가 TV에 있는 다양한 기능을 쓰기 위해 사용하는 자체 OS 대신 스마트폰의 Android가 들어간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

물론 TV 일체형 말고 분리형 제품도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LG 유플러스의 IPTV 상품인 TV G. SK나 KT 셋톱박스(기가지니A&기가지니3를 제외한 나머지 기기)에 있는 자체 OS 대신 LG에서는 셋톱박스에 Android를 내장시켜 놓고 있다.

다만 Android를 OS로 내장시켰다고 해서 Android TV가 되는 것은 아니다. 공식 인증을 받은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의 차이가 있기 때문.

YouTube나 Netflix, 그 외 스토어 앱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려면 인증받은 제품을 선택하는것이 좋다.

TV의 경우 소니, 샤프, 필립스, TCL[36], Vu[37]가 인증 제품이며 셋탑형의 경우에는 샤오미, NVIDIA[38], LG 유플러스[39] 등이 있다.

다만 지역별로 인증이 들어가는 것인지 Android TV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지역 설정에 따라 인증 제품이 다르게 나타나며 일체형의 경우 대부분 DVB 방식의 지상파 튜너가 들어가 있다. 국내에서 쓰는 ATSC의 경우에는 북미용 소니 TV가 유일한데 4K 지원은 되지만 북미의 ATSC 3.0 방송은 규격이 달라 국내 UHD 방송 수신은 어렵다. 또한, 한국의 실시간 OTT를 지원하는 어플들[40]의 실시간TV 기능은 규정에 의하여 안드로이드 TV에서 제거하였다. 단, 서드 파티 어플로 우회하거나 미러링 기능으로 휴대폰의 화면을 보내는 건 가능하다.

4세대 Chromecast부터는 크롬캐스트에도 Android TV OS가 들어간다.

Android TV 는 Android 기반이긴 하지만 모든 Android 앱이 아닌 개발사에서 별도 Android TV용 스토어에 등록한 앱만 이용 할수있다.
다만 비공식적으로 Android용 앱 APK 파일을 Android TV에 복사후 설치해서 사용이 가능하다.

홈페이지

===# Android Things[41] #===
Android Things는 2016년 12월 31일에 공개된 Android 기반 사물 인터넷 플랫폼이다. Raspberry Pi 3이나 NXP사의 Pico, Argon, SprIoT와 인텔의 Edison, Joule등에 설치할 수 있다. 일반 Android OS랑은 생각보다 많은 것이 다르다. Raspberry Pi에 Android Things가 설치된다 해서 일반적인 Android처럼 사용할 수는 없다.

2021년 대시보드가 종료되었고 새로운 프로젝트의 추가가 막혔다. 2022년 1월 5일에는 기존의 프로젝트들도 모두 종료가 되었다.

7. 사용자 인터페이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사용자 인터페이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티리얼 디자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오픈 소스를 지향하고 UI 커스텀에 제한을 두지 않아 인터페이스의 파편화가 상당히 심했지만 기존의 UI를 완전히 뜯어 고친 Android 5.0 공개 및 배포 이후 Material Design의 가이드라인을 따를 것을 권고하고 있다.

Material Design

8. 보안

8.1. SELinux

초창기 Android는 앱 샌드박스를 위해 DAC를 모델로 한 Linux 기본 접근 제어 기능을 사용했으나 이는 보안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래서 Linux에서 DAC보다 보안성이 높은 MAC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SELinux를 도입하여 보안성을 높였다.[42]

8.2. SafetyNet

Android 기기가 루팅 등으로 변조된 상태가 아닌지 확인하는 기능이다.
2020년대 현재 가장 유명한 Magisk에서 이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Magisk를 통해 루팅을 하면 일차적으로는 SafetyNet이 루팅을 감지해 내지만, Magisk의 핵심 기능인 MagiskHide를 사용하여 Google 서비스 등을 감시망에서 벗어나게 해주면 SafetyNet이 통과(Pass)되는 부분이 대다수이다.

8.3. 기기 암호화

9까지는 기기 암호화에 전체 디스크 암호화를 사용할 수 있었다.[43] 그러나 전체 디스크 암호화를 활성화하면 부팅 전 최초 암호 키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알람이 작동하지 않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등 치명적인 불편을 초래하였다.

초창기에는 암호화가 선택적이었기에 이러한 불편함을 겪으며 암호화를 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후에 Google 정책에 따라 암호화가 의무적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부팅 시 암호를 입력하게 한다면 상술한 큰 불편함이 따르기 때문에 제조사들은 Trust Zone 같은 보안 프로세서에 전체 디스크 암호화를 위한 키를 평문으로 보관하고, 부팅시 시스템 무결성 검사를 거치는 것으로 보안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시스템에 키를 평문으로 보관한다는 점에서 잠재적인 보안상 허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인들이 암호 해제를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지만 전문적인 해커 입장에선 보안 취약점을 찾아낸다면 충분히 뚫릴 가능성이 있다. 미국 정부에 납품한 사례가 있는 삼성 Knox의 경우도 전체 디스크 암호화가 뚫린 사례가 있다.

Android 7에서는 이를 해결한 파일 기반 암호화가 추가되었다.[44] 다만 구글 인증에 파일 시스템 기반 암호화가 의무화된 것은 Android 10부터이기 때문에 Android 9 이하 버전을 탑재하고 출시된 기기 중에서 파일 시스템 기반 암호화를 탑재한 기기는 구글 픽셀 시리즈가 거의 유일하다.[45]

Android 13부터는 전체 디스크 암호화가 완전히 삭제되었다.

8.4. Factory Reset Protection (FRP)

Android 5부터 생겨난 보안 기능, 일명 구글락이라고 하며 기본 탑재 Android 버전이 5.1부터인 기기에서는 의무적으로 탑재된다.

이 기능은 Google 계정에 로그인할 시 시스템 파티션과 별도로 분리된 특수 파티션에 Google 계정의 정보가 저장된다. 이후 환경 설정을 통해 기기 초기화를 진행하지 않고 리커버리나 Odin 등으로 강제로 기기 초기화를 진행할 경우 이후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구글 계정을 요구한다. 만약 계정 정보를 모를 경우 그대로 영원히 벽돌 폰으로 전략한다.

이 기능은 최소 하나 이상의 Google 계정이 로그인되어 있어야 활성화되므로 초기화 전 모든 Google 계정을 기기에서 삭제하여 Google 계정이 하나도 연결되어 있지 상태거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OEM 잠금 해제를 활성화할 경우 이 기능이 해제되어 환경 설정을 통한 방법이 아닌 방법으로 기기 초기화를 하더라도 구글 락에 걸리지 않는다.

구글 락에 걸렸을 때, 아예 방법이 없는 게 아니다. TWRP 등의 커스텀 리커버리를 설치하고 기존에 있는 모든 파티션을 날려버린 뒤 안드로이드를 다시 설치한다면 FRP 정보도 삭제되므로 구글 락을 해제시킬 수 있다. 물론 삼성 갤럭시에서 진행하면 녹스가 깨진다. 그 외에도 구글 락을 우회하는 방법들이 유튜브에 업로드되어 있다.

9.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버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버그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레퍼런스 기기 현황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tablealign=center> 파일:구글 아이콘.svg파일:구글 픽셀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db2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스마트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rowcolor=#fff> 2016 2017 2018 2019
Pixel | Pixel XL 2 | 2 XL 3 | 3 XL 3a | 3a XL
4 | 4 XL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4a | 4a 5G
5
5a
6 | 6 Pro
6a
7 | 7 Pro
7a
Fold
8 | 8 Pro
<rowcolor=#fff> 2024
8a
9 | 9 Pro | 9 Pro XL | 9 Pro Fold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태블릿 컴퓨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2015 2018 2023
C Slate Tablet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스마트 워치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2022 2023 2024
Watch Watch 2 Watch 3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무선 이어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2017 2019 2021 2022 2024
Buds Buds(2세대) Buds A-Series Buds Pro Buds Pro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크롬북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2013 2015 2017 2019
Chromebook Chromebook(2세대) PixelBook PixelBook Go
}}}}}}}}} ||
액세서리 }}}}}}}}}

Google이 직접 개발에 참여하여 소프트웨어 지원 역시 전적으로 책임지는 제품은 Google Nexus 시리즈, Google Pixel 문서 참조.

Nexus, Pixel 시리즈 이외에도 Google이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이른바 준레퍼런스 기기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3.0 Honeycomb을 탑재한 갤럭시 탭 10.1Xoom이 있다. 하지만 갤럭시 탭 10.1의 경우 삼성전자의 기기라는 느낌이 강한 반면 Xoom의 경우 사후 지원까지 Google이 전적으로 책임질 정도로 레퍼런스라는 느낌을 준다. 또한 2013년 들어서 이미 시장에 출시된 기기 중 Google 순정 Android만 탑재하고 제조사 커스텀을 극한으로 최소화한 Google Play edition 모델들도 공개되었다. 현재까지 공개된 모델은 갤럭시 S4, ONE, 엑스페리아 Z 울트라가 있다. 다만 제조사 커스텀이 되어 있기 때문에 Google이 서포트를 해주기는 해도 운영 체제 업그레이드는 각 제조사들이 책임진다고 한다.

Android L부터는 Android One이라는 준 넥서스가 생긴다. 기존의 Google Play 에디션과의 차이점은 사양이 특정하게 지정되어 있으며 운영 체제를 넥서스마냥 Google에서 100% 관리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Android 원은 Windows Phone처럼 되는 것이다. 지정된 사양 내에서 제조사가 하드웨어를 자유롭게 만들고 운영 체제는 Google이 책임진다.

한편 Nexus 시리즈는 5X와 6P를 끝으로 단종되었으며 그 뒤를 Pixel 시리즈가 잇고 있다.

12. Google 인증 조건

Android의 기반이 되는 소스 코드인 AOSP는 오픈 소스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수정 및 사용할 수 있지만 그것을 Android라는 이름을 걸고 팔 수 있는 것은 아니다. Android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Google의 인증이 필요하다.[46] Google의 인증을 받으면 Google Play 등이 포함된 GApps를 기본 탑재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Google에서 인증해 주는 기기는 다음과 같은 사양을 포함하고 있다.

인증을 받지 않은 기기는 공식적으로 Google 앱스를 탑재할 수 없으나 GAPPS를 별도로 설치하면 인증 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51]

13. 상징

13.1. 로고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2008-2014).svg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2014-2019).svg
<rowcolor=#fff> Android 1.0 ~ 4.4 Android 5.0 ~ 7.1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2017-2019).svg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2019-2023).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2019-2023) 컬러 화이트.svg
<rowcolor=#fff> Android 8.0 ~ 9.0 Android 10.0 ~ 13.0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컬러 화이트.svg
<rowcolor=#fff> Android 14.0 ~

13.2. 마스코트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아이콘(2008-2014).svg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아이콘(2014-2019).svg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아이콘(2019-2023).svg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아이콘.svg
<rowcolor=#fff> Android 1.0 ~ 4.4 Android 5.0 ~ 9.0 Android 10.0 ~ 13.0 Android 14.0 ~
이 캐릭터가 Android의 마스코트, bugdroid다.

관절이 있는 Android 마스코트는 SKT에서 만든 것으로 TV 광고에도 자주 출현했다. SKT쪽의 마스코트 이름은 '안드로보이'이고[52] KT 쪽 이름은 '안드로봇'이다. KT쪽은 관절 묘사가 없다.

SKT의 2010년 초반 광고에서 수시로 나왔었고 가슴에 T 로고까지 박아놓았기 때문에 SKT에서 만든 캐릭터인 줄 아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 Android와 관련되지 않는 광고에도 자주 써먹었으나, iPhone 4를 출시하면서부터는 캐릭터를 쓰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Google에서 제공하는 2D 형태의 Android는 오픈 소스로서 아무렇게나 써도 된다.

2010년 9월에는 캐릭터 도용 의혹을 받았었다. (#/#) 아타리 게임인 "Gauntlet: The Third Encounter"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생김새가 비슷하다는 것이다.

국내에 판매용 피규어로 두 종류(Google과 아티스트 앤드류 벨이 협업한 것과 한국인이 제작한 것)가 나와 있으며 이 중 후자는 오줌을 싸거나 스키를 타는 등 다양한 행동과 표정을 만들 수 있다.

2023년에 구글에서 Android 브랜드의 로고를 변경하며 bugdroid를 3D화 시켰다. 이는 bugdroid가 Android처럼 역동적으로 보이길 원해서하고 하며 그에 맞추어 다양한 안드로이드 아이콘들을 선보였다. 13 버전까지의 버그로이드와 달리 눈이 검은색이 되었고 드럼통 같은 체형이 약간 동글동글해진 모양으로 변했다.

14. 단말기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단말기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다양한 기기로의 이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ndroid/이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사건 사고

16.1. 2008년

2008년 상반기까지 안드로이드가 블랙베리 OS카피캣이었다는 사실은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iPhone이 대박을 터뜨리는 것을 본 구글은 블랙베리 스타일을 버리고 뒤늦게 iPhone 스타일로 급선회해 오늘날 같은 방향을 잡게 되었다. 당시 버려졌던 블랙베리 스타일의 세로 쿼티 안드로이드 폰은 이후 모토로라 CharmAdmiral, HTC 차차 등이 출시되며 다시 잠깐 빛을 보긴 했다.

16.2. 2020년

2020년 5월쯤, 안드로이드 10이 올라간 스마트폰에서 특정 사진을 배경화면으로 하면 휴대폰이 먹통이 되는 현상이 있었다. [53] 원인은 색상 파일을 제대로 읽지 못해 생긴 걸로 추정된다. [54]

혹시나 실수로 했다면 해결 방법이 몇가지가 있다.

1. 안전 모드로 진입해 배경화면을 변경하고 재부팅을 하면 된다.

안전 모드 진입법
재부팅을 할 때 음량 내리기 버튼을 누르면 안전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2. 재빠르게 설정에 들어가 배경화면을 변경한다.

16.3. 2021년

2021년 3월 23일, Android의 업데이트된 Google의 웹뷰 애플리케이션이 문제를 일으켜 업데이트된 버전을 자동 설치한 전 세계의 모든 Android 폰의 앱 실행이 먹통이 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안드로이드 시스템 웹뷰 대란참조. 국내에서는 카카오톡네이버 등 일상생활에서의 거의 모든 앱이 먹통이 되었다고 보면 되며, 이 때문에 웹뷰 앱이 이러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걸 알 리가 없으니 카카오톡 삭제를 여러 번 하고 폰도 공장 초기화를 돌리고 심지어는 폰을 바꾸는 사람들도 있었다. 삼성 서비스 센터는 사람들로 미어터지게 되었다.

문제 해결 방법은 설정 -> 애플리케이션 -> Android System Webview 선택 -> 더 보기(점 세로로 세 개) -> 업데이트 삭제 -> 재부팅, 웹뷰가 없는 경우 똑같이 Chrome 선택 -> 더 보기 -> 업데이트 삭제 -> 재부팅 과정을 거치면 해결이 된다. 또한 잠수함 패치의 위험성이 그대로 나타난 사례라 할 수 있다.

17. 기타

파일:DSC_0244_2.jpg}}} ||
XDA 포럼에서 한 중국인 개발자가 준레퍼런스폰인 OnePlus 6T에서 네이티브 ARM64버전의 Windows 11 구동에 성공했다. 개발자와 역대 포팅 전적에 따르면 스냅드래곤 8XX 칩셋에서 가장 잘 작동한다.[61] 개발자는 포팅 방법 그리고 무엇이 작동하는지까지 글을 써놓았으며 심지어 부팅 과정을 보여주는 유튜브 동영상 까지도 있다.
* 2023년 9월 기존의 안드로이드 로고를 android에서 Android로 변경했다. 그와 동시에 공식 글꼴이 구글 로고와 비슷해졌으며 안드로이드의 마스코트인 버그로이드 또한 3D로 변하였다.

18. 둘러보기



[A] 2024년 11월 19일 기준[A] [3] 관련 기사[4] 1분기 스마트폰 OS 점유율 Android 86%, iOS 14%, Windows Phone 0.1%(2017. 7. 20) #[5] Microsoft is finally killing off the Windows Phone (9 OCTOBER 2017) #[6] 참고로 화웨이도 제재 이전에는 Android를 탑재했으며, 제재 이후 새로 탑재한 HarmonyOS 역시 출시 몇년간은 AOSP기반이라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사실상 Android와 차이가 없었으며 APK 애플리케이션도 지원했다.[7] 대표적 예시로 구글은 Safari 내 기본 검색 엔진 탑재를 위해 Apple에게 연간 150억 달러가량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반iOS 진영에서는 Android가 시장을 장악했기 때문에 삼성 인터넷 등의 제조사 앱보다는 구글과 크롬 등 자사 앱을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애플과 기기 판매 점유율이 비슷한 삼성전자의 기기 점유율은 높아도 앱 점유율은 매우 낮은 편이기 때문에 자사 앱으로 수익을 창출한 뒤 30억 달러라는 비교적 적은 금액만 지급한다.[8] 하지만 이 에뮬레이터는 속도가 워낙 느린 편이라 대부분 개발자들은 실제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나침반, 중력 센서, GPS, WiFi Direct 등은 테스트가 에뮬레이터에서 사용할 수 없기에 한계가 있다. 다만 속도 문제는 인텔 CPU 한정으로 인텔 HAXM을 설치하면 비교적 빠르게 구동된다.[9] Linux 커널은 메모리 관리 유닛 (MMU)이 탑재된 CPU 코어가 필수적이나 피처폰들은 대부분 한 단계 격이 낮은 메모리 보호 유닛(MPU)만 탑재하므로 Linux 커널 구동은 무리다.[10] 2017년에는 Google이 Android의 공식 언어로 Kotlin을 추가함에 따라 앞으로의 응용 소프트웨어들은 Kotlin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11] DVM이라고도 한다. 현 Oracle의 JVM의 특허를 피해 가기 위한 편법. 실제로도 이것 때문에 2010년부터 2021년까지 Oracle과 법정 싸움을 다툰 적이 있다.[12] 아예 Dalvik을 활성화시키는 태그가 사라졌다. Android 4.4까지만 해도 개발자 옵선에서 ART와 Dalvik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 5.0부터는 개발자 옵션에서도 달빅을 선택할 수 없게 되었다.[13]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네이티브 코드인 NDK도 제공하고 있다.[14] x86 프로세서인 클로버트레일이 장착된 Android 기기가 나왔지만 호환성 문제를 거의 겪지 않았다. 이는 인텔이 Houdini Binary Translator을 x86 Android에 내장했기 때문이다.[15] Google이 광고로 먹고사는 인터넷 기업임을 기억하자. AdMob으로 iPhone 및 Android 광고 시장을 선점했으며 마찬가지로 iPhone과 Android의 기본 검색 엔진을 Google로 함으로써 검색 사이트 점유율을 크게 끌어올렸다. 그에 따라 Google의 순이익은 2010년 4반기에는 작년에 비해 순이익 5배, 2011년 2분기에는 작년에 비해 36% 순이익이 상승했다.(참고)[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Android_version_history[17] 코드 네임은 바닐라 아이스크림(Vanilla Ice Cream).[18] 코드 네임은 업사이드 다운 케이크(Upside Down Cake).[19] 코드 네임은 티라미수(Tiramisu).[20] 코드 네임은 스노우 콘(Snow Cone).[21] 코드 네임은 레드 벨벳 케이크(Red Velvet Cake).[22] 본래 코드 네임도 붙였지만 이 버전부터는 숫자만 붙인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계속 디저트 이름 코드가 부여되고 있다. Android 10에 배정된 코드 네임은 퀸스 타르트(Quince Tart).[출처] #[24] 2022년부터 데이터 절감 기능이 개선된 기존의 YouTube 앱으로 통합되었다.[25] Android 폰이라면 항상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YouTube 앱 또한 재구성되었는데 일단 아이콘이 빨간색 플레이 버튼에서 불덩이 모양의 플레이 버튼 아이콘으로 대체되었고 실행 속도나 영상을 재생하는 처리 속도 역시 또한 전보다는 훨씬 더 빨라졌다.[26] 2023년 기준. 최저 임금($)×8시간×22일[27] 시간당 9,620원=7.54$ #[28] 시간당 7.52$ #[29] 놀라운 점은 2023년 현재까지도 앨라배마,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사우스캐롤라이나, 테네시. 조지아, 와이오밍 이상 7개의 주는 주(state) 정부에서 최저 임금을 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지역은 연방 정부에서 2009년에 제정한 최저 임금인 7.25$가 적용된다.[30] 하루당 178루피 = 시간당 22.25루피 = 2.16$ #[31] 족 자카르타(DKI Yogyakarta) 지역 기준 연간 1,981,782루피아 = 시간당 938.3루피아 = 0.06$ #[32] 월간 425SDG = 시간당 2.4SDG = 0.01$ #@[33] 2022년 기준. #이곳에서 전 세계의 데이터 평균 요금을 확인 가능.[34] Earlier, only workers from a particular set of industries (40 percent of the entire workers' population) were entitled to receive minimum wages. Nevertheless, since passing the wage code in 2019, there has been no new development on implementing a national minimum wage for Indian workers.(이전에는 특정 산업군(전체 근로자 인구의 40%)의 근로자만 최저 임금을 받을 자격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9년 임금법이 통과된 이후로 인도 노동자를 위한 국가 최저 임금 시행에 대한 새로운 진전은 없었다.) 출처 #[35] Google Go, YouTube Go, Gallery Go, Camera Go, Google Maps Go 등이 있다.[36] 중국계 전자 제품 회사.[37] 인도 전자 제품 회사.[38] 쉴드가 대표적[39] 초기형 모델 제외.[40] Wavve, TVING[41] 2022년 종료[42] https://source.android.com/security/selinux[43] 초창기 기기의 경우 보안 설정의 휴대 전화 암호화 기능을 켜 전체 디스크 암호화를 활성화할 수 있다. 암호화가 의무화되고 난 후의 기기는 암호화가 기본적으로 되어 있어서 설정을 건들 필요는 없지만, 암호키를 저장하지 않는 옵션을 켤 수는 있다.(삼성전자 휴대폰의 경우 보안 시작) 물론 이것을 켤 경우 부팅 시마다 암호 키를 입력해야 한다.[44] https://source.android.com/security/encryption[45] 전체 디스크 암호화를 탑재한 Android 9 이하 기기를 Android 10 이상으로 업데이트해도 전체 디스크 암호화가 유지된다.[46] 그래서 화웨이 폰에 탑재된 운영 체제는 AOSP 기반이지만 Android라는 이름이 아닌 HarmonyOS라는 이름으로 탑재되었다.[47] FHD(1920*1080)의 화소가 약 207만 화소이다.[48] 보급형 중에서는 포함되지 않고도 되는 것이 있는데, 그 이유는 일부 보급형에는 방향 센서가 없어 방위각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49] 그래서 일부 피처폰의 경우 Google 앱을 탑재하기 위해서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기도 한다. 물론 일부이고 LG 폴더 같은 것들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지 않아 Google 앱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50] 제조사들이 앞다투어 지원하고 있는 802.11ac802.11ax는 필수가 아니다.[51] Google 인증 조건을 명시한 문서[52] 스마트T 오브제 등 일부 광고에 여성형이 있었지만 안드로보이의 여자친구 격으로 밀고 나간 건 아니고 일회성으로만 쓰였다.[53] https://X.com/UniverseIce/status/1266943909499826176 여기에서 그 배경화면이 있다. 실험이라도 웬만하면 하지 말아야 한다.[54] 다행히 지금은 잠잠해진 듯하다. 혹시라도 누가 이 사진이 예쁘다고 배경화면으로 하라고 하면 하지 말자.[55] 몇몇 삼성 임원진 주변인들은 이게 사실인 걸 안다 카더라.[56] 다만 당시의 Android는 아주 기본적인 구조만 만들어져 있었기 때문에 삼성이 Android를 인수했다 하더라도 모바일 운영 체제 점유율에서 압도적 1등인 지금의 Android를 만들 수 있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이걸 탑재한 삼성 갤럭시가 전 세계에서 Android 진영의 선봉장을 자처하면서 점유율을 끌어올린 덕분에 결과적으로 최근의 Android 개발에는 삼성전자가 부분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순정 Android들도 삼성 One UI의 디자인을 많이 참고하는 등 Android 진영 안에서 삼성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일단 판매량 1위, 안드로이드 점유율 1위인 데다 Android 12L 같은 경우에는 함께 협업해 제작했다. One Ui의 기능을 따오기도 한다.[57] Mirach, 안드로메다 자리 베타별.[58] 내장 메모리가 8 GB 안팎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사용하려면 내장 메모리에는 오직 앱만 설치하고 다른 파일들은 모두 SD 카드에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대용량 어플은 가능하면 SD 카드에 설치되도록 하는게 좋다.[59] 예를들어 갤럭시 S8이 파이(9.0)먹는다.[60] 보안 업데이트 및 마이너 업데이트 포함.[61] 그리고 콜 오브 듀티를 구동했던 스마트폰도 역시 동일 기기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