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질병분류기호(ICD-10) | G40~G41 |
진료과 | 신경과[1], 안과 |
관련증상 | 피로, 두통 |
관련질병 | 뇌전증[2] |
1. 개요
극소수의 사람들은 비디오 게임 등에서 볼 수 있는 번쩍이는 빛이나 무늬 같은 시각적 이미지에 노출될 경우 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발작 증세나 간질 병력이 없던 사람도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하는 동안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이러한 "광과민성 간질 발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 중 한 가지라도 경험하게 되면 즉시 게임을 중단하고 의사와 상의하세요.
광과민성 간질 발작은 현기증, 환각, 눈이나 얼굴의 경련, 팔이나 다리의 경련이나 떨림, 방향 감각 상실, 정신 착란, 일시적인 의식 상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작으로 인한 의식 상실이나 경련으로 쓰러질 경우 가까운 물체에 부딪혀서 다칠 수도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가 이러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지 살펴보고 자녀에게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어른에 비해 이러한 발작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다음의 예방 조치를 취하면 광과민성 간질 발작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조명이 밝은 곳에서 게임을 합니다.
* 피곤할 때는 게임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본인은 물론 친척 중에서 발작 또는 간질 병력이 있다면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하세요.
- Xbox에서 경고하는 광과민성 반응. #
이런 증상 중 한 가지라도 경험하게 되면 즉시 게임을 중단하고 의사와 상의하세요.
광과민성 간질 발작은 현기증, 환각, 눈이나 얼굴의 경련, 팔이나 다리의 경련이나 떨림, 방향 감각 상실, 정신 착란, 일시적인 의식 상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작으로 인한 의식 상실이나 경련으로 쓰러질 경우 가까운 물체에 부딪혀서 다칠 수도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가 이러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지 살펴보고 자녀에게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은 어른에 비해 이러한 발작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다음의 예방 조치를 취하면 광과민성 간질 발작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조명이 밝은 곳에서 게임을 합니다.
* 피곤할 때는 게임을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본인은 물론 친척 중에서 발작 또는 간질 병력이 있다면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하기 전에 의사와 상의하세요.
- Xbox에서 경고하는 광과민성 반응. #
광과민성 발작(Photosensitive Epilepsy)은 강한 광원이나 순간적인 섬광이 원인으로 일어나는 뇌전증의 일종이다. 이를 처음 보고한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얼렌(H. L. Irlen)의 이름을 따 얼렌 증후군이라고도 부른다. 1970년대 흑백 TV를 통해 발작을 일으키는 현상이 최초로 발견된 이래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사례가 있었으며, 한국에서도 1993년에 관련 사고가 처음 보고되었다.
2. 발생 원인 및 예방법
광과민성 발작의 예시 영상 (불쾌한 장면은 없으나 후술한대로 시청주의)위에서 서술한 대로 번쩍거리는 빛이 주 원인이다. 혹은 빠르게 점멸하거나 번갈아 나타나는 시각 패턴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뇌가 색깔 등을 파악하는데, 빠르게 빛들이 교차하니 뇌는 계속 그것을 파악하여야 하고, 뇌는 1개인데 빛은 계속 교차하니 결국 한계점에 도달하여 쓰러진다. 그냥 뇌에 과부하가 걸렸다고 생각하면 쉽다. 특히 주위의 조명이 어두운 상태에서 이러한 시각 자료들을 받아들였을 때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이 증상을 가진 사람이라면 TV를 보거나 컴퓨터를 할 때 주위를 밝게 하고, 화면의 밝기를 약간 낮추고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눈과 화면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하고, 피로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을 보아야 한다. # 그리고 오래된 전동차에서 형광등이 점멸하는 경우가 많으므로[3] 가능하다면 탑승을 피하되, 통학, 통근 등의 이유로 불가피하다면 안대를 쓰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저주파에서의 플리커링 현상과 관계가 있다.
3. 유명세
그 유명한 닌텐도의 비디오 게임을 주로 하다가 발생한 사례를 통해 유명해졌기에 아시아 등지에서는 닌텐도 증후군으로도 불렸으며, 심지어 1997년 포켓몬스터 방영중 대형사고를 낸 덕분에 부모의 적이 되어버린 닌텐도는 한동안 수난을 겪어야 했고, TV도쿄에선 사고 후 한달여 간 포켓몬스터의 'ポ(포)'자도 꺼내지 못했다. 특히 당시 대한민국은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전이었고 제15대 대통령 선거까지 앞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지상파 뉴스에서 포켓몬 쇼크를 보도하였을 정도로 심각한 사건이었다.게임을 할 때에 방을 밝게 하고 일정거리 떨어져서 플레이하고 자주 휴식하라거나, 일본 TV에서 애니메이션들을 틀 때 오프닝과 광고가 끝나고 에피소드가 시작될 때 방을 밝게 하고 TV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서 보라(テレビを見る時は部屋を明るくして離れて見て下さい。)는 경고문이 나오는 것은 다 이런 이유 때문이다.[4] 또한 사건 이후 1998년 NHK와 일본민간방송협회가 제정한 방송제작 가이드라인에 따라 일본 애니를 포함한 방송 프로그램 전반 및 게임에서는 너무 밝거나 반복적인 장면이 깜빡깜빡거리는 장면이 나오는 점멸 방식을 줄이거나 없애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TVA에서 지나치게 밝거나 번뜩이는 장면이 있으면 명도를 낮추는 필터가 들어가는데, 이도 마찬가지의 이유 때문이다.(BD 등에서는 필터가 제거되곤 한다.)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의 경우 산하 게임사에게 하여금 자사의 엄격한 품질 관리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정해 놓았는데, 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이 광과민성 발작이 일어날 말한 장면이 있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자사의 게임사에게 거의 간섭을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한 마이크로소프트이지만 유독 게임의 접근성 문제에 대해서는 깐깐하게 대처하는 편인데, 이러한 엄격한 검사 절차도 그것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바로 위에서 경고하는 메시지가 바로 Xbox측에서 작성한 광과민성 반응 경고 메시지이다.
한국의 광과민성 발작에 관해 첨언하자면 이때 덤으로 까인 게임 중 하나가 스트리트 파이터 2인데 주로 패미컴으로 나온 해적판 스트리트 파이터 2를 원인으로 까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한국에서 해당 사건으로 피해를 입은 어린이의 아버지가 지목한 게임이 아이가 즐기던 해적판 스트리트 파이터 2라고 증언했기 때문.[5] 이 때문인지 이보다 조금 뒤에 나온 PC 엔진의 열화 정식수입판인 해태 바이스타 광고에서는 보안경이 포함되어있다는 것을 세일즈 포인트로 내세우기도 했다. 포켓몬 쇼크 이전까지 액션 게임에서 남발되었던 타격 시 모니터 전면이 번쩍이는 방식은 이후 출시 게임들에서는 대대적으로 조정되었으며 대신 타격 장면을 극적으로 연출하는 방식으로 대체되였다.
넷플릭스와 디즈니+ 등 주요 OTT 플랫폼들은 섬광효과가 포함되어있는 영상물에 대해 사전 경고를 해주고 있다.
유명세로 인한 과민성 완화 조치로 창작물들의 광원을 이용한 박력이 줄어들었다. 항의가 들어오는 것보다는 확실히 낫기 때문에 불가피하다.
4. 대중매체에서
KBS2 위기탈출 넘버원 22회(2005년 12월 10일), 157회(2008년 10월 13일), 297회(2011년 8월 1일)에서 광과민성 발작 시 대처법을 소개했다. 22회에선 주로 비디오 게임을 통해 광과민성 증후군이 일어나지만, 몸이 약한 사람의 경우 차를 타고 가다가 창 밖으로 보는, 가로수길 나뭇잎 사이로 비치는 햇빛에도 발작을 일으킬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고 나왔다.석정현이 그린 만화 귀신에서는 이 증후군을 재해석한 이야기가 나온다. SF물이니만큼 픽션이지만 말이다.
5. 기타
일반적인 뇌파 검사에서 형광등이 빠르게 깜빡이는 빛 자극을 10-20초 정도 포함하고 있다. 발작이 있었던 환자에게, 이것이 광과민성 발작이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일종의 유발 검사다. 광과민성 증후군이 확실한 경우 눈을 감아도 발작이 심해지기도 한다.정보기술 분야의 접근성에서도 다루는 이슈이다. 정보접근성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가장 빠르게 설명할 수 있는 예시로 쓰인다.
6. 광과민성 증후군 경고가 나오는 작품들
- A Dance of Fire and Ice: 일부 유저 제작 맵에 '광과민성 경고!' 라고 표시된다.
- ARMA 3: 메뉴얼에 적혀 있다.
- ARTMS의 Virtual Angel 뮤직비디오: 빨라지는 비트에 맞춰서 화면전환을 하도록 연출이 됐다. 그러다보니 눈이 아프다고 호소하는 팬들에 의해 공식 계정 뮤직비디오는 앞에 경고문을 띄우게 되었으며, 이후 눈아픈 연출을 줄인 Human Eye 버전이 새로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 어느 미친 팬이 2배 더 반짝이는 버전을 만드는데... - BeamNG.drive[6]
- Brain Power[7]
- CHUNITHM
- CHRISTMAS IN NELL'S ROOM: 밴드 NELL의 콘서트로, 각종 회전하는 조명과 레이저 등 화려한 조명이 콘서트의 특징이기 때문에 야광봉 사용이 금지되며, 2010년대 후반부터 아예 공지로 광과민성 증후군 주의 문구를 예매시에 띄우고 있다.
- DJMAX RESPECT V
- EZ2ON REBOOT : R
- GTFO: 게임 실행부터 경고하고, 바로 다음 인트로부터 발광장면이 나온다. 그외로 실내 자체가 어두운데 몬스터들이 발광하거나 전등이 깜빡이는곳이 많다.
- Geometry Dash: 창작이 자유로운 게임 특성상 얼마든지 광과민성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는 레벨이 만들어질 수 있고 많이 만들어져 왔다. 1200만 다운로드 레벨의 예시
- Just Shapes & Beats: 연출이 반짝이는 경우가 많아 게임 시작 전에 안내된다.
- Life is Strange: 맨 처음 시작 및 이후 몇차례 반복돼서 나오는 폭풍 장면에서 뇌우가 번쩍한다. 이후 후속작들인 Before the Storm, The Awesome Adventures of Captain Spirit, 2편, 그리고 True Colors에서도 꾸준히 경고문이 삽입된다
- Muse Dash
- Overcooked!
- Phigros
- Rhythm Doctor : 게임 첫 화면에서 이 병명에 대한 언급과 경고를 하며 시작한다. 실제로 게임 내 일부 스테이지가 번쩍거리고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리듬 닥터를 하다가 신경과 닥터를 만나네 - Roblox의 공포게임 DOORS
- Roblox의 장애물 코스 게임 Juke's Towers of Hell
- Sixtar Gate: STARTRAIL
- Superliminal
- VOEZ[8]
- Vampire Survivors
- osu!: 다수의 맵에 경고문구가 표시된다.
- 나인 인치 네일스의 Came Back Haunted 뮤직비디오: 뮤직비디오 초반에 광과민성 증후군 경고 문구가 나오며 심지어는 유튜브 영상 설명에도 광과민성 증후군 경고 문구가 쓰여있다.
- 디즈니 매직 킹덤
- 대항해시대 오리진
- 더 롱 다크. 광과민성 경고 뿐만 아니라 생존게임인 만큼 여러 생존 요소와 방법들을 따라하다가 죽거나 다치는 사고의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경고도 살벌하게 띄워준다.
- 더 파이널스
- 레인월드
- 렌필드
- 로스트아크: 회상의 방의 문구를 보면 광과민성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문구가 적혀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나피리 시네마틱과 전설의 전당 스킨 트레일러에 광과민성 경고 문구가 적혀있다.
- 명일방주
-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
- 발로란트
- 붕괴: 스타레일
- 뿌요뿌요 테트리스 2
- 사이버펑크 2077
- 산나비
- 스트리트 파이터 6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영화 자체에는 경고되어 있지 않지만, 영국 영화 협회 및 일본 영화관들에서 경고문을 게시했다.
- 에이리언: 로물루스
- 인크레더블 2: 중간에 스크린슬레이버 (Screenslaver)의 방으로 엘라스티걸이 침입하는데, 그 과정에서 스크린슬레이버가 이용하는 최면술 화면이 흑백이 연속적으로 빠르게 깜빡거리는 화면이라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 아케인[9]
- 약한영웅의 나백진
- 역전재판 456 오도로키 셀렉션
- 오징어 게임[10]
- 원신: 화려하고 번쩍임이 많은 연출 효과로 인해 게임 실행 시 경고 문구가 표시되며, 공식 유튜브 채널의 일부 영상 설명에도 경고 문구가 삽입되어 있다.[11]
-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 : 1.51 업데이트 이후 경고 문구가 새로 추가되었다. 트럭 시뮬레이터이나 하이빔, 빠른 속도로 지나갈 때의 가로등 등으로 인해 경고 문구가 추가된 것으로 추측된다.
- 유비소프트의 게임들[12]
- 젠레스 존 제로
- 쿠키런: 킹덤의 변신 뮤직비디오: 뮤직비디오 시작 전 광과민성 증후군 경고 문구가 나오고, 뇌신무장 쿠키업뎃때 게임 내에서 경고가 나온다
- 크루엘라: 개봉 시부터 전국 영화관에서 경고문을 게시했다.
- 트로이 시반의 My My My! 뮤직비디오: 뮤직비디오 시작 전 광과민성 증후군 경고 문구를 띄우고 있다.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13]
- 호그와트 레거시
- 델타 포스
7. 관련 문서
- 뇌전증
- OME
- 닌텐도 증후군
- 포켓몬 쇼크[14]
- Pixel Gun 3D - 조금 특이한 경우인데 총의 실명 효과 때문에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킨 사람이 있다.[15]
- 고질라 VS. 콩 - 후반부 전투신에서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킨 사람들이 있다
[1] 예전에는 신경과와 정신건강의학과를 구분하지 않고 신경정신과에서 뇌전증을 다루었으나, 현재는 뇌전증이 발생할 경우 우선 신경과에서 진단 및 치료를 하고 증상에 따라 추가적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다. 다만 뇌파가 정상적인데도 뇌전증에서 보이는 발작과 유사한 발작이 보이면 정신과에서 전환장애 진단을 받게 된다.[2] 미국 뇌전증의 날에 맞추어 소셜 미디어(트위터)에 해당 증상을 악화시키도록 의도한 움직이는 그림을 게시한 사람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3] 예를 들면 1990년대 생산된 3호선 코레일 전동차. 현재는 전량 퇴역했으므로 3호선에선 안심해도 된다.[4] 주로 아동 대상 및 전연령 시청가 작품에서 경고메시지가 나온다. 작품에 따라서는 작품속 등장인물이 경고메시지를 직접 안내하거나 개그 액션으로 연출하기도 하며 메시지 자막은 반드시 표시된다.[5] 신문기사에 나온 사진을 보면 그중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3 해적판 판본인 듯 하다.[6] 게임 실행시 주의하라는 경고문이 나옴[7] 공식 영상은 아니고, Martin이라는 유튜버가 제작한 동영상에서 경고 문구가 나온다.[8] 공식 홈페이지에 적혀 있다.[9] 3화부터 발생. 특히 7화가 가장 심하다. 시청시 주의 요망.[10] 4화 시작 부분에 삽입되었다.[11] 라이덴 쇼군 캐릭터 플레이 PV 등[12] 해당 경고문을 처음 띄운 게임이 무엇인지는 불분명하나 2014년 경부터 추가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이후부터 대부분의 유비소프트 게임들은 게임 시작 전 광과민성 증후군 경고문을 띄우고 있다.[13] 세가 다음 컬러플 팔레트 상표가 나오고 나서 빛을 보고 어떤 증상이 있다면 의사와 상담하라 라는 경고문이 나옴[14] 광과민성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절대로 검색해서는 안 될 검색어다.[15] 경고를 넣는 것 대신 무기 너프와 실명 효과 너프를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