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5D3462 0%, #611594 20%, #611594 80%, #5D3462); color: #BDB76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아르사케스 1세 | 아르사케스 2세 | 프리아파티오스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프라아테스 1세 | 미트리다테스 1세 | 프라아테스 2세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아르타바노스 1세 | 미트리다테스 2세 | 고타르제스 1세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미트리다테스 3세 | 오로데스 1세 | 시나트로케스 1세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프라아테스 3세 | 미트리다테스 4세 | 오로데스 2세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
파코로스 1세 | 프라아테스 4세 | 티리다테스 1세 |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프라아테스 5세 | 무사 | 오로데스 3세 |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보노네스 1세 | 아르타바노스 2세 | 티리다테스 2세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
바르다네스 1세 | 고타르제스 2세 | 메헤르다테스 |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보노네스 2세 | 볼로가세스 1세 | 바르다네스 2세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파코로스 2세 | 볼로가세스 2세 | 아르타바노스 3세 |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볼로가세스 3세 | 오스로에스 1세 | 파르타마스파테스 |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
미트리다테스 5세 | 볼로가세스 4세 | 오스로에스 2세 | |
제40대 | 제41대 | 제42대 | |
볼로가세스 5세 | 볼로가세스 6세 | 아르타바노스 4세 | |
아케메네스 · 셀레우코스 · 사산 | }}}}}}}}}}}} |
파르티아 제국 26대 샤한샤 𐭂𐭅𐭕𐭓𐭆 | 고타르제스 2세 | ||
제호 | 한국어 | 고타르제스 2세 |
파르티아어 | 𐭂𐭅𐭕𐭓𐭆 | |
영어 | Gotarzes II | |
존호 | 샤한샤 | |
생몰 년도 | ? ~ 51년 | |
재위 기간 | 38년 ~ 51년 |
[clearfix]
1. 개요
파르티아의 제26대 샤한샤.형제인 바르다네스 1세와 왕위를 놓고 투쟁한 끝에 승리했다.
2. 생애
아르타바노스 2세의 아들이다. 서기 38년 아버지가 죽자, 바르다네스 1세와 함께 왕위에 올랐다. 기록이 부족해서 확실하지 않지만, 두 사람은 나라를 분할한 것으로 보인다. 바르다네스 1세는 서부 파르티아를 다스렸고, 고타르제스 2세는 동부 파르티아를 다스렸을 것이다. 1년 후 귀족들이 고타르제스 2세의 잔인한 통치와 가족 살해에 불만을 품고 바르다네스 1세를 초청했다. 그는 곧바로 공세를 개시했고, 고타르제스 2세는 다하에로 피신한 뒤 그곳에서 음모를 꾸미기 시작했다. 바르다네스 1세가 부왕 아르타바노스 2세 치세 말기에 반란을 일으켜 그때까지도 반란을 이어가고 있었던 셀레우키아를 포위 공격하자, 고타르제스 2세는 이때를 틈타 다하에와 히르카니아인들의 도움을 받아 동방 영토를 공략하기 시작했다. 이에 바르다네스 1세는 셀레우키아 포위를 중단하고 군대를 동쪽으로 이동시켰다.하지만 두 사람은 귀족들이 다른 자를 왕으로 추대하려 한다는 정보를 입수하자 곧 화해했는데, 바르다네스 1세가 파르티아의 왕좌를 차지하고, 고타르제스 2세는 히르카니아에서 통치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후 셀레우키아 공략을 달성한 바르다네스 1세는 아르메니아 주민들로부터 폭정을 저지르는 미트리다테스 왕을 몰아내달라는 요청을 받고, 아디아베네 왕 이자테스에게 자신과 함께 아르메니아를 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자테스는 다섯 명의 아들이 로마에 인질로 가 있었기에, 아르메니아로 쳐들어갔다가 로마의 분노를 살 것을 우려하여 거부했다. 가신이 자신의 제안을 거부하자, 바르다네스 1세는 분노해 친히 군대를 이끌고 아디아베네를 침공했다.
그런데 몇몇 귀족들이 고타르제스 2세에게 왕위를 쟁취하라고 선동했다. 서기 43년, 고타르제스 2세는 귀족들의 권유를 받아들여 군대를 일으켜 서쪽으로 진격했다. 바르다네스 1세는 즉시 군대를 회군시켜 에린드 강을 사이에 두고 형제와 대치했다. 이후 벌어진 전투에서 바르다네스 1세가 강을 건너려는 적군을 격퇴하면서 승리했다. 그는 여세를 몰아 신드 강 인근까지 공략했지만, 군대가 더 이상 이동하길 거부해서 그 자리에 승리 기념비를 세운 뒤 돌아가야 했다. 그러나 고타르제스 2세는 박트리아로 피신한 뒤 저항을 이어갔고, 파르티아는 형제간의 내전으로 혼란에 빠졌다. 그러던 서기 46년, 바르다네스 1세가 사냥을 하던 중 귀족들에게 살해되었다. 이리하여 고타르제스 2세가 파르티아의 유일한 군주가 되었으나, 상황은 더욱 나빠졌다. 타키투스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바르다네스의 살해로 파르티아의 정세는 혼란에 빠졌고, 그의 후계자에 대한 모두의 합의는 없었다. 많은 이들이 고타르제스에게 기울었고, 일부는 로마군에 인질로 잡혀 있던 프라아테스의 후손 메헤르다테스에게 기울었다. 고타르제스는 궁전의 주인이 된 뒤 잔혹함과 방탕함을 자행했고, 파르티아인들은 메헤르다테스가 왕좌에 오를 수 있게 해달라고 간청하는 비밀 탄원서를 로마 황제에게 보냈다.
49년, 메헤르다테스는 시리아 총독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의 지원을 받고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오솔레네의 아브르가르 5세를 만나 에데사로 진군한 뒤, 다시 티그리스 강을 건너 니네베로 향했다. 그러나 그곳에서 고타르제스 2세의 군대와 교전하여 패배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고타르제스 2세는 사로잡힌 메헤르다테스를
"친족도, 아르사케스 가문의 일원도 아닌 외부인이자 로마인"
이라고 꾸짖으며, 그의 귀를 자를 것을 명령했다고 한다. 고타르제스 2세는 승리를 기념하여 베히스탄의 바위에 큰 부조를 세웠다. 그는 창으로 적을 공격하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이 왕의 머리에 화환을 씌우고, 그의 머리 위로 맴도는 모습을 담았다. 동봉된 비문에는 ΓΩΤΑΡΣΗΣ ΓΕΟΠΟΘΡΟΣ
(게브의 아들 고타르제스)
라고 쓰여 있다.(게브의 아들 고타르제스)
타키투스에 따르면, 고타르제스 2세는 51년에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반면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에 따르면, 귀족들의 음모로 희생되었다고 한다. 뒤이어 메디아의 부왕 보노네스 2세가 왕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