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08:12:26

고아읍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33a0>
파일:구미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아읍 산동읍 선산읍 도개면 무을면 옥성면 장천면 해평면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33a0> 송정동 [[구미시청|
시청
]] 송정동
원평동 원평동
선주원남동 남통동 봉곡동 부곡동 선기동 수점동
신평1동 신평동 광평동
신평2동 공단동
비산동 비산동
공단동 광평동 사곡동
광평동
상모사곡동 상모동 임은동
임오동 오태동
도량동 도량동
지산동 지산동 양호동
양포동 구포동 거의동 금전동 옥계동
형곡1동 형곡동
형곡2동
인동동 구평동 인의동 신동 황상동
진미동 진평동 시미동 임수동
}}}}}}}}} ||
구미시
고아읍
高牙邑 | Goa-eup
<colbgcolor=#0033a0><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경상북도
기초자치단체 구미시
행정표준코드 5080051
관할 법정리 18리
하위 행정구역 49행정리 518반
면적 63.46㎢
인구 40,172명[1]
인구밀도 633.03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구미시 을

강명구 (초선)
경상북도의원 | 제5선거구

정근수 (재선)
구미시의원 | 사 선거구

강승수 (4선)

이명희 (재선) }}}}}}}}}
행정복지센터 선산대로 980 (관심리 621-1)
고아읍 행정복지센터
1. 개요2. 관할 리
2.1. 원호리(元湖里)2.2. 문성리(文星里)2.3. 괴평리(槐坪里), 송림리(松林里)
3. 교통
3.1. 시내버스
4. 주요 시설
4.1. 주거4.2. 교육
4.2.1. 초등학교4.2.2. 중학교4.2.3. 고등학교
5. 출신 인물

1. 개요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 지리적으로는 구미시 정중앙에 위치해 있다.

원호리와 문성리는 구미 시가지와 바로 붙어 연담화 되어 있기에 행정상으로만 고아읍에 속해있을 뿐, 사실상 고아읍과는 별개로 봉곡동, 도량동과 함께 북구미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은근히 이상한 이름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읍 이름인 고아부터가 고아(孤兒)를 연상케 하며 관할하는 리 중에서는 대망리, 파산리, 관심리, 다식리가 있다.[2]

대경선이 정차하는 구미역 근처 구도심 및 최근 개발 중인 구미국가산단 5단지 하이테크밸리와의 접근성이 동시에 뛰어나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지역이다. 읍이지만 2025년 5월 기준 인구수로 따지면 39,046명으로 거의 4만명에 육박한다.[3] 이미 어지간한 관내 동 인구수는 추월한 상황. 양포동과 인동동에 이어 구미시 읍면동 중 인구수 3위 행정구역이다.

2025년 7월 인구가 4만명을 돌파하였으며, 구미시 내 읍면동 중 3위, 음면 중 인구는 단연 1위다.[4]

2. 관할 리

2.1. 원호리(元湖里)

고아읍에서 문성리와 함께 가장 번화한 곳이다. 봉곡동, 도량동과 붙어 있고 시가지도 연담화되어 있다.

분명 행정구역상 명칭은 원호'리'인데 가끔 이 지역의 사람들이 이곳을 왜 원호'동'이라고 부르는지 의아해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행정구역 명칭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과거 조선시대부터 구한말까지 면(面) 산하의 마을에 '동'이나 '리'라는 행정구역명을 썼는데, 1914년 일제강점기 부군면 통폐합 때 망장면, 평성면, 서내면 일부를 고아면으로 통폐합하면서 이 지역에 고아면 원호'동'이라는 행정구역명을 쓰기 시작한다.[5] 그러던 와중 1988년 읍면 산하 '동'을 '리'로 일괄 개정하면서 원호'동'에서 원호'리'로 이름이 바뀐다. 이렇듯 명칭은 바뀌었으나 원호동으로 불렀던 기간이 훨씬 길었던 탓에 여전히 관습상 원호동으로 부르는 것. 이곳 버스정류장 명칭도 원호'동'을 쓰고 있는 데에서 과거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6]

리내(里內)에 학교가 원호초등학교 1개 밖에 없다. 가까운 도량1동과 경계 지점에 문장초등학교가 있다.

들성생태공원을 사이에 두고 있는 문성리와 더불어 향후 발전 가능성이 크다. 2010년대에 신축 아파트 단지 원호푸르지오아파트, 원호세영리첼아파트 단지가 들어섰으며 지구단위계획이 잡혀 있는 곳에 구미 푸르지오 센트럴파크는 24년, 원호자이 더 포레는 25년 각각 입주를 완료했다.

원래 도량동과 행정구역이 걸쳐있는 꽃동산에 대단지 아파트 구미 그랑포레 데시앙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1,2단지는 도량동에, 3단지가 원호리에 들어올 예정이었고 청약까지 받았지만 시행·시공사인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에 돌입하면서 이후 상황은 알 수 없게 되었다.

2.2. 문성리(文星里)

현재 신설되고 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 5공단의 배후 주거 단지로서, 구미시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지역이다. 문성리에서 가까운 약목선산로가 2021년 전구간 개통되어 4공단, 옥계, 구평, 약목 등지로 이동해지는 것이 편리해졌다. 또한 5공단으로 통하는 5공단대교가 2025년 완공되며 5공단까지 소요시간이 단축되어 구미시 내에서 교통 측면상 상당히 훌륭한 입지를 가지게 되었다. 교통은 편리하면서도 공단과 멀리 떨어져 있어 말 그대로 친환경 배후주거단지. 5공단에 인접한 군위, 의성의 소보 비안지역에 대구경북신공항 신설이 확정됨에 따라 인접한 원호리, 도량동과 함께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들성로를 사이에 두고 문성1지구와 2,3지구가 나뉘어진다. 태왕아너스, 경남아너스빌 아파트가 위치한 북쪽 지역은 문성1지구다. 문성에서 가장 먼저 토지개발사업(당시 기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완료한 지역이다. 들성로 남쪽에 2,3지구가 있다. 농산물도매시장이 있는 곳을 기준으로 해서 남서쪽이 문성2지구. 2017 ~ 2018년에 입주를 완료한 문성파크자이, 문성서희스타힐스 아파트가 있는 곳이다. 도매시장 북쪽, 2021년 준공한 문성레이크자이와 태완 노블리안 아파트가 위치한 곳이 3지구다.

들성지 주위로 파스쿠찌, 공차, 투썸플레이스, 스타벅스 같은 프랜차이즈 업체들을 비롯해 다양한 카페들이 입점해 있다. 인노천 및 들성생태공원의 정비가 끝나 산책하기에 좋다. 들성지 옆에 수영장이 있는 들성생활체육센터가 2024년 개관했다. 들성산림공원 또한 2025년 안에 조성되며 근처에 들성 숲속도서관(가칭)이 2028년 개관될 예정이다.

2018년 문성초등학교가 개교하였다. 2026년 문성중학교가 개교한다.

문성2지구와 원호지구(원호자이 더 포레) 사이에 연결도로를 신설할 예정이다.

2.3. 괴평리(槐坪里), 송림리(松林里)

원호리, 문성리와 마찬가지로 5공단 배후 주거단지인 괴평·송림리에 도시개발사업이 진행 중이다.

3. 교통

33번 국도, 916번 지방도, 927번 지방도가 지나간다.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서쪽 끝에 살짝 걸쳐있다. 고아버스공용정류장이 읍사무소가 있는 관심리에 있다.

철도는 지나가지 않는다. 그 대신 구미역아포역이 매우 가깝고 구미역까지는 도로가 잘 뚫려있어 이동하기 어렵지 않다. 구미 어느 지역이 그렇듯이 KTX 정차역인 김천(구미)역까지는 읍사무소 기준으로 17㎞ 이상 떨어져 있어서 멀다. 고아읍에서 대중교통을 통해 김천(구미)역을 이용하려면 구미역이나 구미종합터미널까지 시내버스로 이동해 구미~김천(구미)역 간을 이동하는 KTX 리무진버스로 환승해야한다.

시내버스 노선은 구미의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구미역으로 가는 노선이 많다. 원호와 문성은 24번과 25번이, 선산대로가 통하는 고아읍 북쪽은 170번과 171번이 자주 커버해줘 시내버스를 타고 구미역까지 이동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3.1. 시내버스

버스
[[구미 버스 20|
20-2
]] [[구미 버스 20|
20-3
]] [[구미 버스 22|
22
]] [[구미 버스 24, 25|
24(-1)
]] [[구미 버스 24, 25|
25
]] [[구미 버스 26|
26번대
]] [[구미 버스 28|
28(-1)
]] [[구미 버스 29|
29
]] [[구미 버스 52|
52(-1)
]] [[구미 버스 70|
70-1
]] [[구미 버스 70|
70-2
]] [[구미 버스 80|
80-1
]] [[구미 버스 140|
140-3
]] [[구미 버스 140|
140-6
]] [[구미 버스 170|
170(-2)
]] [[구미 버스 171|
171번대
]]
[[구미 버스 172|
172
]] [[구미 버스 173|
173
]] [[구미 버스 174|
174번대
]] [[구미 버스 175|
175
]] [[구미 버스 185|
185-2
]] [[구미 버스 190|
190-2
]] [[구미 버스 260|
260
]] [[구미 버스 340|
340-5
]] [[구미 버스 340|
340-6
]] [[구미 버스 340|
340-7
]] [[구미 버스 380|
380-3
]] [[구미 버스 410|
410-1
]]
[[구미 버스 410|
410-2
]] [[구미 버스 410|
410-3
]] [[구미 버스 410|
410-5
]] [[구미 버스 410|
410-6
]] [[구미 버스 410|
410-7
]] [[구미 버스 411|
411-1
]] [[구미 버스 411|
411-3
]] [[구미 버스 411|
411-4
]] [[구미 버스 411|
411-5
]] [[구미 버스 411|
411-7
]]

4. 주요 시설

4.1. 주거

<rowcolor=#fff> 단지명 세대수 입주 건설사
럭키아파트 270 1991년 10월 럭키개발
봉한금류아파트 146 1992년 11월 금류건설
초원아파트 86 1994년 11월 한명종합건업
삼우힐타운 302 1994년 12월 삼우건설
괴평무지개 105 1995년 12월 삼덕건설
청솔타운 299 1996년 5월 문화개발
금오골든타워 121 1996년 5월 미금종합건설
원호점보타운 810 1997년 1월 태산주택건설 | 대원주택건설
원호한누리타운 2단지 1,230 1997년 4월 삼우건설
원호한누리타운 3단지 750 1997년 4월
원호대우아파트 649 1997년 10월 대우건설
고아에덴타운 946 1999년 11월 주식회사 에덴
예강장성타운 80 2000년 10월 장성종합건설
문성 경남아너스빌 600 2009년 2월 경남기업
구미원호 푸르지오 818 2010년 2월 대우건설
문성 신화오페라하우스 28 2012년 9월 신화주택건설
헬리오폴리스 16 2014년 2월 주식회사 BJ
부림그랜드 32 2014년 3월 부림종합건설
행복정원 24 2014년 12월 주식회사 강토
우성행복타운 32 2015년 1월 신명종합건설
문성 태왕아너스 123 2015년 8월 태왕이앤씨
미도힐스 49 2015년 9월 미도종합건설
남촌블루스타 28 2015년 12월 비룔건설
구미 고아 세영리첼 레이크뷰 581 2016년 3월 세영종합건설
문성파크자이 1,138 2017년 7월 GS건설
문성 서희스타힐스 977 2018년 1월 서희건설
문성레이크자이 975 2021년 2월 GS건설
문성 태완노블리안 332 2022년 1월 태완건설
구미 푸르지오 센트럴파크 819 2024년 4월 대우건설
원호자이 더 포레 835 2025년 5월 GS건설
문성 태왕아너스 2차[지역주택조합] 483 미정 태왕이앤씨

4.2. 교육

4.2.1. 초등학교

4.2.2. 중학교

4.2.3. 고등학교

5. 출신 인물


[1] 2025년 7월 주민등록인구[2] 물론 발음이 이렇지 고아읍은 높을 자에 어금니 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망리는 큰 자에 바랄 자로 파산리도 갈래 자에 뫼 자로 이루어져 있다. 관심리는 벼슬 자에 마음 자라서 한 글자는 맞긴 하고 다식리는 글자 그대로 다식(多食)이 맞다.[3] 이중 원호리 인구가 15,596명이고 문성리 인구가 14,225명이다. 읍 전체 인구의 약 75%가 해당 두 지역에 살고 있는 셈.[4] 경상북도 내 읍 중 흥해읍, 오천읍에 이어 3위에 육박하는 인구다.[5] 다른 지역보다 유독 경상북도에서 읍, 면 산하 행정구역을 리 대신 동으로 많이 썼다.[6] 해당 버스정류장을 가보면 '원호리'라고 문구가 표기되어 있으나 버스정보시스템 상에는 '원호동'이라고 나와있다. 버스 안내 방송도 '원호동'이라고 알려준다. 2010년 버스정보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과거 명칭을 입력한 것으로 보인다.[지역주택조합] [8] 이름이 특이한 것으로 유명한 편이다.[9] 원호리와 도량1동의 경계선에 위치한다[10] 현일중학교와 붙어 있다.[11] 형곡동 출생이지만 고등학교를 고아읍에 위치한 현일고등학교를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