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d6c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16418e> 과림동 | 과림동 | 무지내동 | |
군자동 | 군자동 | 거모동 | |
능곡동 | 능곡동 | ||
화정동 | |||
대야동 | 대야동 | 계수동 | |
매화동 | 도창동 | 금이동 | |
매화동 | |||
목감동 | 논곡동 | 목감동 | |
물왕동 | 산현동 | ||
조남동 | |||
신천동 | 신천동 | ||
신현동 | 포동 | 방산동 | |
미산동 | |||
연성동 | 광석동 | [[시흥시청| 시청 ]] 장현동 | |
하상동 | 하중동 | ||
월곶동 | 월곶동 | ||
은행동 | 은행동 | 안현동 | |
장곡동 | 장곡동 | ||
정왕본동 | 정왕동 | 죽율동 | |
정왕1동 | |||
정왕2동 | |||
정왕3동 | |||
정왕4동 | |||
거북섬동 | |||
배곧1동 | 배곧동 | ||
배곧2동 |
시흥시의 법정동 거모동 去毛洞 | Geomo-dong | |
<colbgcolor=#ed6c00><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기초자치단체 | 시흥시 |
행정표준코드 | 4139012700 |
관할 행정동 | 군자동 |
면적 | 5.60㎢ [1] |
인구 | 24,831명 (9,930세대)[2] |
1. 개요
경기도 시흥시의 법정동. 행정동은 군자동에서 관할한다. 시흥시 중동부에 위치하며, 과거 군자면의 면소재지이기도 했다. 영동고속도로 군자요금소가 있다.정왕지구와 마찬가지로 시흥시에 속하지만, 지리적으로 안산시와 매우 가까워 생활권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 거모동 시가지(통칭 '도일'로 불림)의 남쪽 지역은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안산시 신길동과 경계를 이룬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1990년대 초반에는 거모리 주민들이 안산시 편입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3] 현재도 거모동 남쪽에 안산 신길지구가 바로 인접해 있다.
과거에는 어업이 성행했으나 점차 농경지로 변모하였고, 이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도시 경관이 크게 변화하였다.
2. 명칭 유래
'거모동(去毛洞)'이라는 지명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다.1. 바닷가에 위치한 넓은 들판이었는데, '들'이 '틀'로, 다시 '털'로 음운 변화를 겪으면서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라는 설.
2. 지형이 거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거머리' 또는 '거모리'라 불렸다는 설.
종합적으로는 '검은 갯마을'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3. 역사
거모동 행정구역 변천사 | |||||||||
안산군 대월면 거모포리 (去毛浦里, 1896) | → | 안산군 대월면 거모리 (去毛里, 1912) | → | 시흥군 군자면 거모리 (1914) | → | 시흥시 거모동 (去毛洞, 1989) | |||
안산군 대월면 석곡리 (石谷里, 1896) |
1989년 1월 1일, 시흥군이 폐지되고 소래읍, 수암면, 군자면이 합쳐져 시흥시로 승격되면서 시흥시 거모동(법정동)으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4. 자연환경
시흥시를 중심으로 동남쪽에 자리하고 있다. 동쪽과 남쪽으로는 경기도 안산시와 접하며, 북쪽으로는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난다 (실제로는 영동고속도로가 더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과거에는 어업이 활발했으나 점차 농경지로 바뀌었고, 현대에 들어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도시적인 풍경으로 변화했다. 거모동 산2-1번지 일대의 산 정상과 거모동 산62-2 일대 야산에서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다.5. 자연 마을
거모동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 마을이 있었다.- 거무개마을: 배우물 서북쪽, 정왕동·월곶동·도일을 잇는 삼거리에 자리했던 마을. 조선 세종 때 학자 정인지(鄭麟趾)의 셋째 아들인 정숭조(鄭崇祖)의 후손이 처음 정착했다고 전해진다. 이곳에는 조선 제16대 왕 인조의 장인인 한준겸(韓浚謙)과 그의 아들 한회일(韓會一) 등 청주 한씨(淸州韓氏) 문익공파(文翼公派)의 묘역(경기도기념물 제163호)이 있다.
- 도일(도일마을): 시흥시의 대표적인 재래시장인 도일시장이 있으며, 군자초등학교, 군자농협 등이 자리 잡은 거모동의 중심 마을이다. 조선시대에는 교통의 요충지로 석곡역(石谷驛)이 있었다고 한다.
- 망고개: 군자초등학교와 옛 장터 사이에 있는 고개로, 초등학교가 들어서면서 민가가 늘어나 취락을 형성했다. 본래 낮은 고개였으나, 광해군의 장인인 류자신(柳自新)의 여섯째 아들 류희량(柳希亮)의 묘를 옮겨올 때 풍수지리상 이유로 흙을 긁어모아 고개를 높였다고 한다. 이로 인해 '막은고개'라 불리다 후대에 '망고개'로 변했다고 전해진다.
- 배우물: 마을 중앙에 있던 우물에서 지명이 유래했다. 조선시대 바닷물이 이곳까지 들어왔을 때, 배가 닿자 선원들이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이 우물물을 마셨다고 하여 '배우물'이라 불렸다고 한다.
6. 주요시설
행정동 군자동 주민센터 인근에 도일시장이 있으며, 군자파출소와 군자우체국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군자파출소 방면으로 쭉 올라가다 보면 군자도서관이 있다. 산들공원 근처에 거모종합사회복지관이 위치해 있다. 영동고속도로 군자요금소와 군자분기점이 있다.6.1. 문화재
- 청주 한씨 문익공파 묘역 (경기도기념물 제163호)
- 거모동 청동기시대 주거지 유적
6.2. 교육
6.2.1. 초등학교
6.2.2. 중학교
6.2.3. 고등학교
6.3. 주거
<rowcolor=#ffffff> 시공사 | 단지명 | 입주 | 세대수 | |||||||
- | 일우아파트 | 1988년 1월 | 410세대 | |||||||
아주건설 | 아주 1차 | 1989년 10월 | 72세대 | |||||||
아주 2차 | 1991년 2월 | 82세대 | ||||||||
| 거모 동원 | 1991년 11월 | 416세대 | |||||||
아주건설 | 아주 3차 | 1992년 6월 | 180세대 | |||||||
합성공업공사 | 녹원아파트 | 1992년 10월 | 220세대 | |||||||
아주건설 | 아주 4차 | 1993년 7월 | 299세대 | |||||||
아주 5차 | 1994년 10월 | 136세대 | ||||||||
보우공영 | 보우아파트 | 1995년 6월 | 131세대 | |||||||
[[파일:982377.jpg | width=100]] | 거모 유호 | 1998년 3월 | 457세대 | ||||||
동보건설 | 동보아파트 | 1999년 11월 | 1,392세대 | |||||||
| 군자 서희스타힐스 | 2023년 8월 | 916세대 |
7. 교통
7.1. 버스
거모동 경유 버스 노선 | ||
오름차순, 노선 번호를 클릭하면 자세한 노선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
주요 행선지별 노선 분류 | ||
| ||
| ||
| ||
| ||
광명, 독산 | ||
|
- 1: 2024년 현재 거모동에서 출발하는 광명 버스 노선 중 하나로, 시화 구 이마트 및 오이도역, 월곶으로 가는 노선이다.
- 20: 원래 1번을 달고 운행하던 버스의 후신이다. 군자파출소 방향으로 올라오지 않고 녹원아파트를 거쳐 5602번과 비슷한 경로로 능곡동을 거쳐 시흥시청후문까지 운행한다.
- 30: 버스의 노선 상 시흥고등학교, 장곡고등학교 등, 지역 학생들이 많이 가는 고등학교를 지나가는 터라, 학생 수요가 많다. 또한, 안산시 중심가인 중앙역과 안산버스터미널 인근을 지나간다는 특징 덕분에 놀러 나가는 학생, 가족들이 많이 애용하는 노선이다. 하지만 안산 34번 버스와 같이 이 버스도 감차가 너무 심해서 한 번 놓치면 1시간 이상을 기다려야 될 때가 많아서 안산역으로 가는 버스를 타고 안산역에서 환승하는 게 더 빠르다.
- 34: 이 동네에서 유일한 선부동행 차이다. 그러나 배차간격이 매우 길어, 높은 확률로 버스 정보 시스템에 '정보 없음'으로 표시된다. 이 버스를 기다리기보다는 안산역으로 이동하여 환승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 39: 2023년 11월 6일 군자서희스타힐스 입주로 거모동까지 연장되어 거모동에서 장곡동, 시흥시청, 매화동을 거쳐 광명시, 서울 개봉역으로 이동하기 편리해졌다. 이전에는 거모동에서 광명시나 개봉동으로 가려면 광명 버스 1번만 이용하여 약 1시간 40분 정도 소요되었으나, 39번 연장으로 소요 시간이 단축되었다.
- 61: 장곡동 방면으로 승차하면, 장곡고등학교, 시흥고등학교 등을 거쳐 삼미시장, 부천 남부역(소풍) 방향으로, 신길동 방면으로 승차하면, 안산역과 반월공단으로 향한다. 통학 학생, 출퇴근 직장인들의 이용이 많아 아침이나 퇴근 시간에는 매우 혼잡하다. 철도가 없는 거모동에서 주변 허브역인 안산역으로 연결해주고 공단을 경유하는 중요 노선이다. 코로나19 이후 배차 간격이 다소 길어졌다.
- 76: 운행 빈도가 낮은 노선으로, 본오동과 동보아파트를 연결한다. 한때 신길동 지구가 개발 중일 때, 신길역사문화공원, 신길고 등을 거모동과 잇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102: 과거 11-3번 버스 노선이 통합된 것으로, 거모동에서 시흥시청, 광명역으로 이동하기 편리해졌다.
- 5602: 시흥고등학교 방면으로 운행하지만, 녹원아파트 방면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동원아파트나 도일시장을 경유하지 않으며, 종점인 서울 구로구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가면서 고속도로를 이용한다.
7.2. 철도
직접적인 철도역은 없으나, 버스를 이용하여 약 10분 거리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 및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안산역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20분 이상 소요될 수 있다.7.3. 택시
군자도서관 주변에 택시 정류장이 있다. 다만, 거모동이 시흥시와 안산시의 경계 지역이다 보니, 일부 택시 기사들이 시외 할증이나 요금 흥정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미터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부당한 요금 요구에는 응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안산역까지는 약 6,000원, 선부동 동명아파트(동명상가)까지는 약 4,000원, 중앙역 일대까지는 약 8,000원 정도의 요금이 예상된다 (교통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8. 사건사고
9. 관련 문서
[1] 2017년 12월 기준 5.59㎢[2] 2017년 12월 기준[3] 참고로 구 수암면 소재지였던 안산동(수암동, 장상동, 장하동)은 1995년에 편입이 성사되었다.[4] 구 군자공업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