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4 05:09:08

강혁(야구)

강혁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강혁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로고.svg
이영민 타격상 수상자 (창설~2000년)
2001년 이후 수상자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1958 1959 1960
이영민 타격상 제정 김동주
경남고
백인천
경동고
최관수
동산고
1961 1962 1963 1964 1965
조정일
성동고
정인성
살레시오고
이철화
부산고
김영생
대구상고
이광환
중앙고
1966 1967 1968 1969 1970
박용해
대구상고
오영복
대전고
김영신
대구상고
전장헌
선린상고
신중국
부산고
1971 1972 1973 1974 1975
정현발
경북고
정순명
충암고
김일권
군산상고
박명선
인천고
이효헌
마산상고
1976 1977 1978 1979 1980
임정면
마산상고
이만수
대구상고
김남수
신일고
김이수
부산상고
김건우
선린상고
1981 1982 1983 1984 1985
구윤
경북고
김성범
포철공고
한경수
군산상고
주은현
광주일고
김경기
인천고
1986 1987 1988 1989 1990
김현철
경북고
김훈
경남상고
곽상선
군산상고
정진식
경남고
강준기
공주고
1991 1992 1993 1994 1995
강혁
신일고
노상진
배명고
조현
신일고
김건덕
경남상고
박현철
광주일고
1996 1997 1998 1999 2000
박진형
경동고
신민기
경남고
백정훈
광주상고
수상자 없음
}}}}}}}}}}}}}}} ||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
1998 방콕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1998

{{{#fff [[두산 베어스|두산 베어스]] 등번호 10번}}}
문희성
(1998)
강혁
(1999~2000)
심재학
(2001~2003)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24번}}}
풀리엄
(2000.4.30.~2000)
강혁
(2001)
페르난데스
(2002)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11번}}}
안재만
(2001.4.29.~2001)
강혁
(2002~2004)
조동화
(2005~2006)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11번}}}
조동화
(2005~2006)
강혁
(2007)
이한진
(2008~2010)
{{{#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82번}}}
박정배
(2012~2013)
강혁
(2014~2015)
장광호
(2016)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1998 아시안 게임
주성노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6 김원형 · 20 김병현 · 21 경헌호
26 서재응 · 27 강철민 · 37 임창용
45 최원호 · 61 박찬호
포수 12 진갑용 · 42 홍성흔 · 44 조인성
내야수 6 황우구 · 7 백재호 · 11 강혁
14 신명철 · 18 김동주 · 24 강봉규
외야수 9 이병규 · 10 심재학 · 31 장영균
33 박한이 · 62 박재홍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주성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박병준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이기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신현석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
파일:external/file.mk.co.kr/image_readtop_2013_1191833_13854996091122578.jpg
강혁
姜赫 | Hyuk Kang
출생 1974년 8월 25일 ([age(1974-08-25)]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백운초 - 신일중 - 신일고 - 한양대
포지션 1루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3년 고졸 연고구단 자유계약 (OB)[1]
소속팀 현대 피닉스 (1997~1998)
두산 베어스 (1999~2000)
SK 와이번스 (2001~2007)
지도자 SK 와이번스 2군 타격코치 (2014~2015)[2]
SK 와이번스 1군 타격보조코치 (2015)[3]
신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6~2017)
해설위원 olleh tv 야구 해설위원 (2012)
병역 예술체육요원공익근무요원[4]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금메달)
등장곡 Yukari Fresh - Fat
응원가 동요 《둥글게 둥글게》 (2003~2004)[5][6]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프로 경력
3. 지도자 경력4. 근황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음주운전 뺑소니
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베어스강혁.png
2000년 LG와의 507 대첩에서 연장 10회초 결승 역전 2루타를 날린 후 환호하는 장면

전직 프로야구 선수이자 전 신일고 감독. 한때 한국프로야구에서 영구제명까지 당한 '비운의 야구 천재'라는 수식어가 붙었던 선수였다.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신일고 시절부터 이영민 타격상을 수상하는 등, 타격 기술과 타이밍을 타고났다는 천재 중의 천재 유망주였다.

1990년대 초, 같은 서울구단 LG가 매번 팀의 내실을 다질 대형 유망주 스카우트에서 성공[7]하며 전력을 강화해간 것과 달리, 번번이 유망주 스카우트에 실패를 겪은 OB 베어스스카우트진은 연고학교 출신의 초대형 좌타자 강혁만은 반드시 잡겠다는 의지가 강했다. 그리고 스카우트 팀이 끈질기게 공을 들인 덕분에, OB 베어스에 입단하게 되어 있었고 계약, 공개 입단식까지 마친 상태였다.[8] 한양대 경영학과(1993학번)에 동기들과 함께 진학하기로 가등록한 상태에서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일찍 가장 노릇을 하고 싶어하는 마음을 파고들어, OB 스카우트진이 끈질기게 설득해 프로 입단 계약을 성사시킨 것이었다. 때문에 강혁의 계약 소식은 팬들과 프런트는 말할 것도 없고, 다른 구단에서도 이번만은 제대로 OB가 대박 터뜨렸다는 찬탄이 터지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강혁은 동기들과 그들의 부모에 의한 호소와 회유에 마음을 돌려 OB에 입단 의사를 취소하고, 한양대는 그대로 등록을 진행해 버리게 되었다. 이미 계약서를 작성한 OB의 입장에선 최하위권을 맴도는 팀 상황[9]에 강혁같은 초대형 타자 유망주를 놓칠 수 없는 게 당연했지만 끝까지 강혁의 마음을 돌릴 수 없어지자, 결국 괘씸죄가 더해져 이중계약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강경하게 징계하도록 탄원한 것이다. 결국 이중 계약으로 KBO로부터 영구제명 처분을 받게 된다.

당시 특급 선수가 대학에 입학할 경우 함께 동기들을 다수 데려갈 수 있었는데[10],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동기들의 부모가 식사, 용품, 야구부 회비 등 강혁의 뒷치다꺼리를 함께해 줬고, 대학에 들어갈 때도 지원금 명목으로 돈을 거둬 특급선수에게 계약금조로 지급하던 어두운 관례가 있어, 동기들 부모의 거센 항의와 호소에 꿈을 접은 것.

강혁도 자신만 바라보고 함께 운동하던 동기들이 대학 입학이 불발되고 공중에 뜨는 것에 심적으로 큰 부담을 느꼈고, 동기들의 부모들이 형편이 어려운 강혁에게 아들처럼 지원을 잘해 준 은혜가 있어, 결국 프로 입단을 포기하고 친구들과 의리를 택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한양대학교에서 신일고 시절의 활약을 이어 갔는데, 한양대 시절 야구 팬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유명한 일화가 있다. 강혁이 한양대 3학년 때 연세대와의 경기에서 5:2로 뒤지고 있는 2사 만루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섰다. 그러나 연세대 투수는 그를 밀어내기 볼넷을 감수하면서까지 고의사구로 거른다. 당시 포스가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알려주는 일화다. 더군다나 당시 연세대 투수는 제2의 선동열 소리를 듣던 임선동이었다. 그리고 그 다음 타석에는 주자가 없어서 승부했는데, 홈런을 때려 냈다. 이런 활약상으로 한양대 4학년 때 1996 애틀랜타 올림픽 때 국가대표팀 클린업으로 참가했다.[11]

1997년 한양대학교 졸업 후 영구제명 처분으로 프로 진출길이 막힌 상황에서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많지 않았다. 상무에 입대해 병역 문제부터 해결하던가, 당시 돈으로 선수를 쓸어 모으던 실업 팀 현대 피닉스에 들어가던가 둘 중 하나였다. 아버지의 건강 문제 등으로 가정 형편이 좋지 못했던 강혁은 입대 지원서까지 넣었던 상무를 포기하고 현대 피닉스에 입단하여 2년 간 활동했다.(후술하지만 결과적으로 이것은 패착이 되어버렸다.) 피닉스에서도 변함없는 활약을 보여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출, 쟁쟁한 프로 선수들이 있음에도, 국대시절 그대로 김동주와 함께 클린업 트리오로 맹활약하면서 대표팀의 금메달 획득에 크게 기여한다. 이 대회에서 3, 4, 5번 박재홍-김동주-강혁의 클린업은 그야말로 일본과 대만의 투수진을 초토화시켰는데, 결대로 부드럽게 라인드라이성 장타를 코스를 바꿔가며 날려대는 강혁, 바톤을 이어 밀어쳐서 장외 홈런을 때리는 김동주를 상대한 일본, 대만 투수들이 고개를 흔들면서 기가 질린 표정을 지었던 장면은 그들이 얼마나 무시무시한 타격 천재들이었는지 보여주는 사례였다.[12]

이 때의 공로를 인정받아 KBO가 그의 영구제명을 철회하고 프로선수 자격을 복권시키면서 1999년 두산 베어스에 계약금 5억 7,000만 원의 조건으로 입단하게 된다.[13]

2.2. 프로 경력

파일:강혁 두산 시절.jpg
두산 베어스 시절.
파일:external/www.sksports.net/Large_2001061123141688079_146.jpg
SK 와이번스 시절.

그러나 오랫동안 알루미늄 배트에 길들여진 스윙으로 타구에 어느정도 힘만 실어도 밀어쳐서 담장을 넘기던 천재였기 때문에 3년간 아마 생활을 지속한 것이 결정적인 패착으로 작용했는데[14], 1990년대 말부터 외국인 선수 영입을 도입하고 선수들의 체격과 근력이 좋아지면서, 전체적인 투구 스피드와 구위가 급격하게 향상된 것이다.

이 때문에 알루미늄 배트라면 아무리 빠른 공이라도 정확하게 맞춰 장타를 날리거나 라인드라이브 히팅을 하던 강혁이었지만, 나무 배트로 그 정도 타구를 날리기 위해서는 체중이동과 테이크백 후 팔로스로우 동작을 전면개조하는 것은 물론 몸에 익은 타이밍을 모두 바꿔야 하는 것이었다. 이미 대학 4년, 실업야구 2년을 거치면서 20대 중반에 접어든 강혁에게, 나무배트에 맞춰 스윙 매커니즘과 타격 타이밍을 완전히 새로 익히는 것은 역효과가 되었다.

결국 현재의 김현수가 보여 주던 모습을 이미 18~19세에 보일 정도로 오는 공을 변화구나 직구나 같은 스윙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타격 천재는, 나무배트와 투수들의 급격한 구위 상승이 벌어지던 시대가 다가옴에도 7년 넘게 알미늄 배트에 맞춘 스윙에 굳어져 버려 안타까운 시간을 허비한 셈이 되었다.

때문에 나무배트를 쓰는 프로에서는 아마 시절의 화려한 명성을 제대로 보여 주지 못했다. 두산에서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한 채 2000년 12월에 SK 와이번스의 전력보강 선수로 이적했고, SK에서도 별 활약을 보이지 못하던 중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 때 방콕 아시안 게임 이전에 병역 면탈을 시도했던 사실이 드러나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받은 병역특례가 박탈되어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마쳤다. 소집 해제 후 2007년에 복귀했으나, 10경기 무안타에 그치고 시즌 후 방출당했다. 방출당한 후 롯데로 간다는 얘기가 있었지만 이루어지지는 않았고, 그대로 은퇴했다.

부질없는 가정이지만 신일고 졸업 후 그대로 OB에 입단했다면 어떤 모습을 보였을까 하는 아쉬움을 주는 선수. 국가대표팀에서 함께 3, 4번 클린업을 치던 한살 아래 또 다른 천재 김동주가 고대 졸업 후 바로 입단하여 첫해 나무배트 적응으로 시즌 초반 부진 후 적응 시간을 가지고 나선, 프로야구 최고의 우타자로 활약하게 되고, 고교 때만 해도 팀의 전력이 약해 눈에 띄지 않았던 동기생 이병규가 프로에서는 넘사벽의 성적을 쌓고 레전드가 된 것과 비교하면 더욱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었다.

3. 지도자 경력

파일:attachment/kh.jpg
SK 와이번스 코치 시절

은퇴 이후 자신이 공익근무요원으로 일했던 인천 남구청과의 인연으로 리틀 야구단 지도자를 맡게 되었다.

2013년 10월, SK 와이번스의 2군 타격코치로 임명되었다.

2015년 6월에 팀 타격 부진으로 김무관 타격코치가 2군으로 내려가고 타격 보조코치 정경배가 메인 타격코치가 되자, 1군 타격보조 코치로 올라왔다.

2015 시즌 종료 후 모교인 신일고 감독으로 부임했으나, 2017년 10월에 사임했다.

4. 근황

현재 인천에서 야구 아카데미를 차려 운영 중이다.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음주운전 뺑소니

2000년 8월 27일, 서울시 논현동에서 음주운전으로 사고를 낸 후 도망가려다 경찰에 붙잡혔고 불구속 기소되었다. 이 사고 이전까지는 KBO 신인상 후보로도 거론되었지만, 결국 저 사건 하나로 인하여 당연히 완전히 말아먹었고 시즌 후 두산 구단이 보호명단에서 제외시켜 SK 와이번스의 전력보강선수로 팀을 옮기게 됐다.#

6. 여담

7. 관련 문서


[1] 한양대 진학 등으로 인해 실제 입단은 1999년에 하였다.[2] ~6월 4일[3] 6월 5일~[4]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 때 방콕 아시안 게임 전에 병역 면탈을 시도한 사실이 드러나 예술체육요원 자격 박탈.[5] 빠바바빰빠밤 강! 빠바바빰빠밤 혁! 빰빠바밤 빠바바밤 강!혁!홈!런!x4[6] 현재 최정이 사용하는 그 응원가 맞다. 제프 잉글린이 사용했던 응원가를 물려 받았으나 후술할 사건으로 군복무 이행을 위해 자리를 비우게 되자 최정이 이 응원가를 쓰게 되었고 강혁이 소집 해제 후 2007년에 복귀했으나, 응원가를 돌려 받지는 못했다.[7] 김동수, 송구홍, 이상훈[8] 윤동균 당시 OB 감독이 자신의 현역 시절 등번호 10번을 내어줄 정도로 기대를 받고 있었다. 사실 이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는데 입단 계약일이 1992년 9월 19일로 당시 고졸 선수들의 입단 교섭일(11월 1일부터 15일까지)을 OB가 어겼던 것.[9] 1990 시즌에 팀 사상 첫 꼴찌의 수모를 당했고 1991 시즌에는 신생팀 쌍방울 레이더스에마저 밀려 2년 연속 꼴찌에 머물렀다. 삼청태를 제외하고 2년 연속 꼴찌에 머문 첫번째 팀이 OB였다. 이 당시가 OB-두산베어스 역사상 최악의 암흑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 후 2년 이상 연속 꼴찌는 쌍방울(1994~1995), 롯데(1997~1998, 2001~2004), 한화(2009~2010, 2012~2014, 2020~2022), KT(2015~2017)가 기록하게 된다.[10] 특급선수는 당연하고 사실 그 학교에서만 잘 나가는 선수이면서 지역에서 좀 알려진 정도로 프로 지명 최하위권급에 들기만 해도 위와 같이 대학팀에서 동기들을 받아주는 경우가 흔했다. 물론 이런 경우는 뒤로 소문이 나거나 대학 갈걸로 프로구단과 얘기가 다 되어서 프로에서 지명을 안 하는 경우도 많았지만.[11] 당시 올림픽 야구는 프로 선수의 출전이 허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 올림픽 야구 라인업을 보면 알겠지만, 훗날 프로에서 이름 한 번쯤은 들어 본 사람들이 많이 참가했다. 그 때 강혁을 고의사구로 거른 투수 임선동도 올림픽에 같이 나섰다.[12] 특히 직전 펼쳐진 98 이탈리아 세계야구선수권 대회에서 혼자서 야구를 다했다는 소리를 들으며 준우승까지 거둬 아마야구에선 가히 세계최고수준이었다.[13] 강혁의 계약금 5억 7000만원은 현재도 역대 신인 야수 최다 계약금이며, 이후 2021년 입단한 나승엽이 5억원을 받으며 역대 신인 야수 계약금 2위에 자리하게 된다.[14] 참고로 대학야구에서 나무 배트를 쓰기 시작한 것은 2000년부터이며, 고교야구는 2004년 봉황대기부터 나무 배트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