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3 00:49:07

장영균

장영균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영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2.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02

파일:1998 방콕 아시안 게임 로고.svg
1998 방콕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1998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9번
최부락
(1998)
장영균
(1999~2003)
이장희
(2004~2005)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1998 아시안 게임
주성노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colcolor=#09539D> 투수 16 김원형 · 20 김병현 · 21 경헌호
26 서재응 · 27 강철민 · 37 임창용
45 최원호 · 61 박찬호
포수 12 진갑용 · 42 홍성흔 · 44 조인성
내야수 6 황우구 · 7 백재호 · 11 강혁
14 신명철 · 18 김동주 · 24 강봉규
외야수 9 이병규 · 10 심재학 · 31 장영균
33 박한이 · 62 박재홍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주성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박병준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이기호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신현석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
장영균
張永均 | Jang Yeong-Kyun
출생 1976년 5월 20일 ([age(1976-05-20)]세)
서울특별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청원중 - 동대문상고 - 인하대
신체 176cm, 84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99년 2차 3라운드 (전체 22번,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99~2003)
병역 예술체육요원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금메달)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삼성 라이온즈
3. 연도별 성적4. 관련 문서

1. 개요

삼성 라이온즈좌투좌타 외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동대문상고 시절 모교의 1993년 대통령배 4강 진출에 일조했다.

그 뒤 인하대학교 야구부에서 뛰던 중 1997년 아시아선수권 대회와 1998년 이탈리아에서 열린 야구 월드컵 대표팀에 승선했다.

이후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도 출장해 일본전에서 홈런을 기록하는 등 대표팀의 6승 무패의 선전에 일조하며 병역 특례를 획득했다.[1][2] 다만 당시 국가대표 사령탑이 장영균의 소속 학교였던 인하대의 주성노 감독이었기 때문에, 은사 잘 둔 혜택 아니냐는 뒷말이 좀 있었다.

2.2. 삼성 라이온즈

국가대표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1999년 신인드래프트 2차 3라운드에서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되었다. 당시 언론들은 아시안 게임 금메달+병역특례 버프로 억대 계약금을 예상했으나, 예상과 달리 계약금은 이름값에 비해 저렴(?)한 7천만원이었다.기사[3]

1999년 8월 5일 KBO 퓨처스리그 쌍방울 레이더스와의 더블헤더 1차전에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이는 KBO 퓨처스리그 사상 6번째로 나온 기록이다.

그러나 국가대표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1군에서는 별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4]

2001 시즌에 2할 2푼대의 저조한 타율에도 불구하고 2001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들었으나 그 해 팀은 우승에 실패했다.

2002 시즌에는 5경기만 출장했지만 외야 백업으로 2002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들었고,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LG 트윈스를 상대로 극적인 백투백 홈런과 함께 4승 2패로 우승하면서 우승반지를 획득했다.

2003 시즌이 끝난 후 심성보, 이준[5]과 함께 방출되었다. 이후 새 팀을 찾지 못하고 은퇴했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출장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출루율 장타율 OPS
1999 삼성 9 4 .000 0 0 0 0 0 2 0 4 .500 .000 .500
2000 6 4 .00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2001 35 31 .226 7 3 0 0 3 4 0 2 .265 .323 .587
2002 5 4 .250 1 1 0 0 0 1 0 2 .500 .500 1.000
2003 1 1 .000 0 0 0 0 0 0 0 0 .000 .000 .000
KBO 통산
(5시즌)
56 44 .182 8 4 0 0 3 7 0 8 .308 .273 .580

4. 관련 문서


[1] 이 때 대표팀에서 대학 출신 외야수를 2명 뽑았는데 임재철 등을 제치고 박한이와 함께 뽑혔다.[2] 당시 7타수 2안타 1홈런 2타점을 기록하였다.[3] 당시 입단 동기로는 권오준, 임동규 등이 있다.[4] 2000년 당시에는 김주찬과 더불어 팀 내 최고의 유망주로 평가받았다.[5] 프로야구 초창기에 활약한 대도였던 이해창의 아들로 1996년 LG 트윈스의 2차지명을 받았으나, 대학 졸업반 때 지명포기를 당한 뒤 삼성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1군에서는 2003년 이승엽이 56호 홈런을 친 경기에 등판해 1.2이닝동안 1실점을 한 기록이 유일하다.